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뉴스
"
세기
"(으)로 총 2,432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좋은 문제 찾는 게 문제"
2020.01.18
수학자라도 좋은 문제를 찾고 그 문제의 난이도를 예상하는 일은 굉장히 어렵다. 20
세기
가장 위대한 수학자 중 한 명인 다비트 힐베르트는 1900년 파리에서 열린 세계수학자대회에서 기존과는 아주 다른 방식의 강연을 선보였다. 자신의 연구 결과를 발표하는 대신 훗날 ‘힐베르트의 23가지 ... ...
[주말 고고학산책]강인한 전사 바이킹은 왜 그린란드를 버렸나
2020.01.18
식단에서 해산물의 비중은 20%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바이킹이 그린란드를 떠나는 14~15
세기
의 유골에서는 식단에서 해산물의 비중이 80%까지 올라갔습니다. 이미 그린란드에 정착해 농사와 목축을 했을 텐데도 곡식과 고기의 비중이 줄어든 겁니다. 고고학자들은 이 결과를 날씨가 점점 추워지면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과학 논문도 변해야 한다
2020.01.17
시장포화상태에 가깝다. 이는 정부와 대학, 그리고 학술지 기업이라는 삼각동맹이 지난 20
세기
중반부터 만들어낸 기형적인 생태계 때문이다. 이 생태계에서 정부는 과학자를 국가의 부속품처러 관리하고,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려는 욕망을 달성한다. 부분적으로 이러한 정부의 욕망은 대중의 ... ...
세포 움직임까지 느끼는 3D 촉각 인식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0kg의 사람이 굽 반경 1cm 구두를 신고 인식장치를 밟았을 때 굽에 가해지는 압력의 면적과
세기
가 인식장치에 실시간으로 표시됐다. 연구진은 이를 세포 수준까지 적용했다. 사람 심장세포 움직임을 3차원으로 측정해 심장세포 하나가 박동할 때의 압력이 구두 굽으로 밟는 힘보다 약 1만배 ... ...
로봇 동료와 함께 일할 준비 얼마나 됐습니까 (2부)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아니라 인지능력을 가진 새로운 '기계시대’를 여는 기술적 변곡점에 와있다는 것이다. 18
세기
후반과 19
세기
초의 산업혁명과 비교해 볼 때, AI 도입에 따른 변화는 10배 더 빠르고 규모는 300배에 이른다는 주장도 나온다. 속도와 규모로 보면 충격은 3000배에 이른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추측에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체온을 올리면 건강에 좋은걸까
2020.01.14
평균 체온은 37.22도로 평균(37.02도)보다 0.2도 높았다. 다음으로 난방 시설의 차이다. 19
세기
만 해도 난방 시설이 부실해 인체는 주위로 뺏기는 열을 열생성을 통해 보충해야 했고 따라서 기초대사율이 높았다. 그러나 점점 난방이 좋아지면서(지구온난화도 기여했을까?) 열생성의 필요성이 덜해 ... ...
지질자원硏, 백두산 화산연구단 신설해 마그마 등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20.01.12
있다. 중국을 중심으로 한 과학자들이 백두산의 분화 가능성을 연구하고 있다. 20
세기
말 중국 연구팀은 백두산 지하에 4개의 마그마방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이 가운데 하나는 서울의 두배 면적인 1256㎢에 걸쳐 퍼져 있을 정도로 클 것으로 추정됐다. 지질자원연구원은 이같은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감염
2020.01.11
페스트는 쥐에 사는 쥐벼룩을 타고 인간 사회에 퍼졌다. 14
세기
페스트 대유행 때, 유럽에서 단 5년 만에 7500만 명이 죽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감염균은 인간의 면역계와 공진화할 충분한 시간을 가지지 못했다 ... ...
[과학게시판] '슈퍼버그' 특별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1.09
이번 전시는 영국과학박물관에서 기획한 '슈퍼버그' 전시를 유치해 재구성한 행사다. 20
세기
의학의 기적이라고 불리는 항생제의 개발부터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키운 슈퍼박테리아, 슈퍼박테리아를 없애기 위한 새로운 연구를 소개할 예정이다. 관람은 무료이며, 자세한 사항은 국립중앙과학관 ... ...
구글·페이스북도 탐낸 ‘로봇 핸드’ 10년간 열정으로 ‘진일보’
동아사이언스
l
2020.01.09
가볍고 작은 물체부터 무겁고 큰 물체까지 잡는 동작을 할 수는 있지만 어느 정도의
세기
와 힘으로 잡고 얼마나 빠르게 잡느냐는 또 다른 문제다. 사람의 손이 어떻게 물건을 잡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이 명확하게 정의가 돼 있지 않다. 배지훈 융합생산기술연구소 로봇그룹 박사는 2012년 서비스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