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뉴스
"
세기
"(으)로 총 2,43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의 미래 내게 달렸쥐∼
동아사이언스
l
2019.12.30
흑사병이 발병해 쥐에 대한 두려움이 확산되기도 했다. 하지만 쥐가 없었다면 지난 한
세기
동안 생명과학의 진보는 쉽게 이뤄지지 않았을 것이라는 평가가 더 많다. 쥐가 과학자들의 눈에 들어온 건 19
세기
말이다. 일부 학자들이 질병 메커니즘과 치료 방법을 찾는 데 쥐를 본격적으로 ... ...
양자우월성 달성하고 블랙홀 찍고…BBC가 뽑은 올해 대단한 스토리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7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에서 그 존재를 제시한 이후 한
세기
만에 이를 증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해왕성 너머 태양계 외곽 카이퍼벨트의 소천체인 울티마 툴레(2014 MU69)의 새로운 고화질 영상이 24일(현지 시간) 공개됐다. 최근접지점에 접근하기 7분 전 6700㎞ ... ...
[사이언스N사피엔스]뉴턴이 있으라 하시매
2019.12.26
수 있다. 좀 넓게 보자면 이 자유낙하의 문제는 아인슈타인과 스티븐 호킹을 거쳐 21
세기
까지 이어지고 있다. 참고자료 1. 제임스 글릭 《아이작 뉴턴》(김동광 옮김), 승산. 2. 아이작 뉴턴 《프린키피아 제1권 물체들의 움직임》(이무현 옮김), 교우사. 3. 아이작 뉴턴 《프린키피아 제2권 물체들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
2019.12.25
마찰열로 설명하는 데 만족해야 했다. 그러나 물리학과 화학 이론이 정교해지면서 20
세기
후반 들어 패러데이의 사전용해 가설이 부활했다. 물분자는 산소원자 하나와 수소원자 둘로 이루어진 분자다. 그런데 산소원자핵은 수소원자핵에 비해 전자를 끌어당기는 힘이 더 강하다. 그 결과 물분자에서 ... ...
'실패했어도 칭찬해'…민간최초 달착륙 시도 올해를 달군 과학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에서 그 존재를 제시한 이후 한
세기
만에 이를 증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베레시트와 달 표면과의 거리가 22km일 때 스페이스IL이 촬영한 사진을 공개했다. 스페이스IL 제공 마틴 리스 영국왕립천문학회 펠로우는 스페이스IL이 발사한 ... ...
[과학게시판] 전기연구원, 꽃동네대학 친황경 ‘에코캠퍼스’ 구축 지원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끝없는 도전 특별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특별전은 한국전쟁 폐허 속에서 반
세기
만에 세계적인 과학기술 강국으로 일으켜 세운 과학자들과 국민들의 ‘끝없는 도전’을 전시하는 특별전이다. 한국이 직면했던 도전과제와 이를 극복하면서 이룩한 변화된 생활상을 7가지 주제로 시대별로 ... ...
달에 '거미'를 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NASA)의 상업달탑재체서비스(CLPS)를 통해 달에 간다. 미국이 1972년 아폴로 17호 이후 반
세기
만에 달 표면에 보내는 탐사선이다. 18일 서울 서대문구의 한 호텔에서 한국을 찾은 타나슈크 대표를 만났다. 타나슈크 대표는 “유년시절의 꿈을 실행에 옮겼지만 철저히 비즈니스의 대상으로 접근하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사이언스가 선정한 올해 최고의 연구성과 '블랙홀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12.22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에서 그 존재를 제시한 이후 한
세기
만에 이를 증명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우주에서 가장 빠른 존재인 빛조차 빠져나가지 못해 어둡고, 지구와의 거리가 너무 멀어 직접 그 존재가 증명된 적이 없었다. 관측에 성공한 M87과 지구와의 거리만 ... ...
1400년전 아라가야 지배자 무덤천장에 새긴 별자리 그림
동아사이언스
l
2019.12.21
아라가야는 주변 강국들의 틈바구니에서 고유문화를 지키며 수백 년 동안 생존했다. 5~6
세기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1000기 크고 작은 무덤들은 해발 50m 구릉 능선을 따라 늘어서 있다. 일제강점기인 1917년 일본 학자가 조사를 시작한 이후 최근까지도 무덤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말이산 ... ...
[인류와 질병]알레르기의 진화
2019.12.21
어떻게 이런 형질이 사라지지 않고 계속 진화할 수 있었던 것일까? 위생 가설 19
세기
무렵 유럽을 중심으로 위생 수준이 급격히 향상되었다. 화장실이 보급되고 하수 처리 시설이 들어서면서 물이 깨끗해졌고 이는 감염성 질환을 크게 줄인 원동력이 되었다. 사실 인간의 수명이 크게 길어진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