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스페셜
"
뒤
"(으)로 총 3,941건 검색되었습니다.
캐나다 호수 부근서 발견된 다이아몬드가 말했다…“27억년 전 지구도 살만 했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21.07.09
지구가 형성되고 35억 년 전 생명체라고 불릴 만한 존재가 등장한 것으로 추정해 왔다. 그
뒤
아주 오랜 기간 잠잠하다가 고생대 초기인 약 5억4000만 년 전에 이르러서야 다양한 생명체가 한꺼번에 폭발적으로 출현한 ‘캄브리아기 폭발’이 일어났다는 학설이다. 캄브리아기 폭발 이전인 약 18억 ... ...
미 연구팀 "산모 코로나 백신 맞아도 모유에 아무런 영향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1.07.08
쌓이고 있는 셈이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지난달 17일 정례브리핑에서 “출산한
뒤
수유를 하는 산모의 경우 백신 접종이 국내 기준으로 금기가 아니다”며 “현재 백신 접종을 할 수 있다고 안내하고 있다”고 밝혔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느려지는 시간
2021.07.08
극단적인 상황을 좋아한다. 만약 중력이 엄청나게 강해서 그 주변의 시간이 크게
뒤
틀려 1초의 간격이 대단히 커지면 어떻게 될까? 여기서 대단히 크다는 것은 수학적으로 무한히 크다, 즉 무한대가 된다는 뜻이다. 시간간격이 무한대가 된다는 것이 무슨 뜻일까? 1초의 시간이 흐르는 데에 무한대의 ... ...
한 달 만에 3%→51.7%…델타 변이 미국 지배종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8
9·코로나19)의 지배종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델타 변이는 올해 3월 미국에서 처음 보고된
뒤
지난달 초까지도 전체 확진자의 3% 수준에 머물렀지만, 한 달 만에 빠른 속도로 퍼지며 전파력을 과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CNBC방송 등 미국 언론은 7일(현지시간) “전염성이 높은 델타 변이가 코로나19 ... ...
반짝반짝 작은 별? 사실은 쌍둥이 초거대 별!
과학동아
l
2021.07.08
떨어져 있고, 태양보다 100배 큰 별(항성)인 ‘VVV-WIT-08’이 갑작스럽게 밝기의 97% 잃은
뒤
, 약 200일 동안 어두워진 상태로 있다가 다시 빛나는 현상을 포착했다. 초거대 별이 몇 달 동안 별빛이 희미해졌다가 밝아지는 현상은 이제껏 알려진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어 오랫동안 미스터리로 남아있었다. ... ...
저녁 모임 2인까지만, 행사 전면 금지...거리두기 4단계 도입되면 수도권 사실상 '셧다운'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4단계에서는 등교도 전면 중단되고 원격 수업으로 바뀐다. 교육부는 일선 학교들이 1~2주
뒤
에는 방학에 들어가는 만큼 우선은 현행 등교 방침을 유지한다는 입장이다. ... ...
하루 확진자 1240명 찍은 ‘3차 유행’과 ‘4차 유행’ 비교해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확진자를 기록하며 급증하다가 성탄절 주 하루 평균 확진자 1038명으로 정점을 기록한
뒤
다음 주 하루 평균 확진자가 894명으로 떨어지며 이후 완만한 감소 추세를 나타냈다. 지난주까지도 3차 유행은 하루 확진자 규모가 400~700명대를 기록하며 주말과 공휴일에는 검사 건수 감소로 주 초반에는 ... ...
코로나 회복 후 중증 억제하는 ‘기억T세포’ 장기간 유지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나타났다. 경증과 중증 여부에 관계없이 대부분 회복자들에게 유지됐다. 10개월이 지난
뒤
에도 코로나19 바이러스 항원을 만나면 기억 T세포는 활발히 증식했다. 특히 코로나19 회복자들에게 줄기세포 유사 기억 T세포가 잘 발생한다는 사실도 규명했다. 줄기세포 유사 기억 T세포는 장기간에 걸쳐 ... ...
[랩큐멘터리]난치병 원인 '단백질 수명' 결정하는 신호를 탐색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냈다. 김상윤 포스텍 생명과학과 박사과정생 2018년에는 기존의 분자생물학 학설을
뒤
짚는 연구도 내놨다. 진핵생물의 세포질에서도 박테리아처럼 포밀 메티오닌이라는 특정 아미노산이 단백질 합성을 시작할 수 있으며 동시에 포밀 메티오닌이 단백질 분해신호로 작용하는 새로운 단백질 분해 ... ...
방역당국 “현재 4차 유행 초입...확산세 8월 초까지 지속될 듯”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확진자가 발생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수도권의 현재 거리두기 단계를 일주일 연장한
뒤
7일과 같은 유행이 확산한다면 서울 또는 수도권에 대해 가장 강력한 새로운 거리두기 단계를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사태가 심각해지면서 생활치료센터를 다시 추가로 늘리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