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부
농사꾼
농삿군
농삿꾼
소작인
농장 노동자
노동자
d라이브러리
"
농민
"(으)로 총 148건 검색되었습니다.
3 작물개량과 육종의 첨병
과학동아
l
199212
연구하고 있다.농업생산은 토지를 이용한 작물재배가 전제돼야 할 뿐아니라 최종 이익이
농민
들의 소득증대와 직결돼야 하므로 농업에서 이용되는 첨단기술도 작물의 종자 속에 집적했을 때가 기장 효율적이다. 우리 농촌에서는 유전공학 등 첨단기술을 도입해 소득을 증대시키고 국제경쟁력을 ... ...
5 미생물 앞세워 생태계 오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212
않은 농약이 지하수로 스며들거나 하천으로 유입돼 생태계를 파괴시킨다. 특히 농약은
농민
들에게까지 피해를 입히며 농약이 잔류된 곡식 및 과일 등을 먹으면 암이 유발될 수도 있다.농약을 필요악인 문명의 도구로 받아들이고 참아야 하는 것인가. 농약의 피해로부터 벗어나는 방법을 역시 ... ...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12
유충인 배추애벌레가 그것. 전자는 유충이 벼 잎을, 후자는 배추잎을 갉아먹어
농민
들에게 해충이 되고 있다. 그러나 살충제 살포로 인해 이제 이러한 나비들은 보기조차 힘들게 됐다. 오히려 살충제 과다 사용이 사회문제화되면서 '배추벌레도 안먹는 배추'보다 '배추벌레가 먹은 배추'니까 ... ...
1 '85년 위성발사 상업화 선언
과학동아
l
199210
환경조성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최근 등소평이 '11억 인구중 9억이 농촌에 살고 있으므로
농민
생활의 향상 여부가 중국의 사회정국 안정과 직결된다"라고 강조하고 있는데, 성화계획(spark plan)에서도 적정기술의 집중적인 확산을 통해 농업생산량의 8~9% 성장률을 계획하고 있다.화거계획(torch plan)에서 ... ...
PART3 날로 다양해지는 쌀가공품들
과학동아
l
199209
비중은 매우 높다. 농가소득의 49.4%, 식량작물의 84%를 쌀이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농민
의 85%가 쌀생산에 참여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농업의 구조상 감산보다는 양질미를 생산토록 유도하고 있으며, 여유분은 가공식품을 제조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특히 밀 옥수수 콩 설탕 등 주요 가공식품 ... ...
PART4 쌀육종 연구의 메카 IRRI
과학동아
l
199209
몇가지 문제점은 첫째 수량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둘째 과학기술적 생산능력과
농민
이 생산하는 능력과의 차이가 적고, 셋째 집약적인 벼 단작 재배로 논의 환경 즉 토양이 퇴화됐으며, 넷째 수리 시설이 낡아있음을 들 수 있다.쌀의 수량성은 금후 5~10년 사이의 인구 증가에 맞추기 위해서는 20~2 ... ...
「지구의 산소탱크」열대우림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9206
그 길을 따라서 화전민들은 열대 우림 깊숙히 진출했다. 그러나 제 3세계의 가난한
농민
들을 비난할 수는 없다. 그들을 비난하는 것은 전쟁터에 총알받이로 내몰리는 보병들을 전범(戰犯)이라고 비난하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열대우림의 파괴라는 전 세계적인 문제에는 그들을 수탈했던 선진국들의 ... ...
실리콘밸리의 아침
과학동아
l
199109
일본보다 더 두려운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노동조합이라고 이야기한다. 쌀 한톨에도
농민
의 땀이 서려있듯이 산업의 쌀인 실리콘 칩에도 제3세계의 수많은 근로여성의 땀과 눈물이 서려있음을 우리는 알아야 하겠다 ... ...
멸종위기에 놓인 판다(Panda)
과학동아
l
199108
최소한의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에는 경작지가 부족해 성(省)정부나
농민
들이 모두 대나무숲을 잘라내고 거기에 논밭을 일구어야 할 상황이다.많은 동물전문가들은 판다에게 가장 좋은 생활환경은 동물원이 아니라 야생상태라고 얘기하지만 야생판다보호회는 이들에게 보금자리를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08
성공한 것도 봉건시대의 영주들이 농노들을 너무 압제했기 때문이다. 굶주림에 시달린
농민
들이 들고 일어나 왕정을 뒤엎은 것이다. 따지고 보면 여기에도 먹는 일이 도화선이 된다.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는 종(노예)을 부려도 밥만은 한솥에 지어 먹었다. 그에 반해 백인들은 노예들이 따로 양식을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