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부
농사꾼
농삿군
농삿꾼
소작인
농장 노동자
노동자
d라이브러리
"
농민
"(으)로 총 148건 검색되었습니다.
상부상조하는 지혜의 동물 말
과학동아
l
200201
또 그 토지에서 나는 풀을 먹으므로 경제적이고 사육하기가 쉽다는 점은 개발도상국의
농민
들이 잘 알고 있다. 6천년 전 사람들이 소나 양을 모으는데 말을 사용한 것과 똑같이 지금도 북아메리카나 호주에서는 동일한 일에 말이 이용되고 있다.이제 전쟁에서 이용되지는 않지만, 말은 아직도 많은 ... ...
새롭게 밝혀진 피라미드의 신비5
과학동아
l
200107
원천인 물을 찾아 나일강변으로 이주해야만 했다. 이 유목민들이 사막을 떠나 나일강변
농민
들과 통합했던 것은 물론 사막의 지혜를 가져왔다. 이들 두 민족의 역동적인 통합은 고대이집트에 문명의 씨앗을 뿌렸다. 인구는 증가했고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하기 위해 사회 조직이 더 나아져야 했으며, ... ...
세계는 지금 구제역 비상
과학동아
l
200105
과거에도 가축가격이 올라가면 가축도둑이 늘었던 일이 있었다며, 이미 지난 6개월 간
농민
들이 가축도둑으로 인해 1백5십만달러의 손실을 입었다고 밝혔다.황사가 원인?우리나라도 작년에 발생한 구제역 파동의 여파가 아직까지 계속되고 있다. 작년 3월 26일 경기도 파주의 한 젖소농가에서 ... ...
⑤ 자생식물이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정혁
과학동아
l
200104
하지만 정단장의 조직배양기술 덕분에 ‘초백’이라는 이름의 이 감자는 2-3년만에
농민
들의 손에 들어갈 수 있었다. 장박사는 크게 감동했고 은퇴한 지금도 정단장을 친형제처럼 생각하며 연락하고 있다고 한다.인공씨감자 기술을 북한에 제공해 북한의 식량난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 ...
물 줄 때를 알려주는 감자
과학동아
l
200101
농작물 재배에 사용될 예정이다. 연구책임자인 앤토니 트리웨바스 교수는“이 감자는
농민
들에게 아주 유용한 작물이 될 것이다. 40년 안에 농작물 재배에서 가장 비싼 것이 물이 될 전망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기술이 다른 과일나무나 채소로 확장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
③ '유전자가 변형된 콩' 내년부터 표시
과학동아
l
200012
정부관리들은 스타링크가 미국 전체 옥수수밭의 1% 미만에서만 재배되고 있지만
농민
들과 곡물창고업자들이 유통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다른 옥수수와 섞어버렸기 때문에 이 같은 일이 벌어졌다고 설명했다. 유전자변형농산물은 육안으로는 확인할 길이 없어 일단 다른 농산물과 섞여버리면 특별한 ... ...
Ⅲ. 추석달이 1년중 가장 멋진 달일까
과학동아
l
200009
달이 떠오르는 시간의 차이가 1년 중 가장 적기 때문에,누렇게 익은 밀밭을 추수하는
농민
들에게는 해가 질 무렵 곧이어 떠오르는 달은 노동시간을 약간 늘려주는 고마운 존재였다.그러나 서양사람들도 양력 9월의 보름을 그리 큰 명절로 취급하지 않았다.우리나라도 1년중 가장 풍족한 때는 9월이 ... ...
한국은 복제동물 최강국?
과학동아
l
200004
확인된다면(예를 들어 젖소는 1년 반 정도 자라야 우유 생산량이 검증된다) 복제소가
농민
에게 적지 않은 매력으로 다가올 것이다.그런데 한가지 간과해서는 안될 점이 있다. 한우의 최종 소비자, 즉 일반 국민이 과연 복제 쇠고기를 어떻게 볼 것인가의 문제다.대량으로 생산됐기 때문에 한우의 ... ...
멸종의 덫 벗어나는 미국 회색늑대
과학동아
l
200004
계획이 추진됐다. 하지만 이 계획은 늑대가 사람과 가축에 위험하다는 해당 지역
농민
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물론 보다 근본적인 이유는 늑대보호구역으로 지정되면 마음대로 토지를 개발할 수 없다는 점이었다.거의 15년에 걸친 논쟁 끝에 타협안으로 회색늑대의 자연방사계획은 실시될 수 있었다. ... ...
복제소 영롱이와 유전자 조작 슈퍼벼
과학동아
l
199903
자연에 이익만을 제공할 것인지는 미지수다. 당장은 맛좋고 영양가 높은 우량종이
농민
이나 소비자에게 인기를 끌지 모른다. 그러나 멀지 않은 장래에 전국에 우량종만이 생존하고 있을 상황을 가정해보자. 각 우량종은 동일한 유전자를 지닌 쌍둥이들이기 때문에 생물종의 다양성은 지극히 한정될 ... ...
이전
3
4
5
6
7
8
9
10
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