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부
농사꾼
농삿군
농삿꾼
소작인
농장 노동자
노동자
d라이브러리
"
농민
"(으)로 총 148건 검색되었습니다.
풍속화 속 수학 김홍도 vs 신윤복
수학동아
l
201112
성격은 많이 다르다. 둘 다 조선 후기의 일상 생활을 그림에 담았지만, 김홍도는 주로
농민
이나 수공업 종사자들과 같은 서민들의 활기찬 일상을 그렸다. 반면 신윤복은 여인들의 생활과 양반들의 풍류, 남녀간의 애정을 주로 다루었다. 신윤복의 작품은 에 남겨진 30여 점의 작품과 ... ...
지리산이 감싼 1500년의 눈물
과학동아
l
201112
일으킨 전봉준 선생의 가옥은 전형적인 초가 3칸의 모습과 함께 조선말의 암울한
농민
사회를 느끼게 해준다.함평에는 고려시대에 지어져 700년을 견뎌온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돌다리를 볼 수 있다. 또 보길도를 가면 조선시대에 신선과 같은 삶을 살았던 윤선도의 정원이 있다. 윤선도의 정원을 ... ...
Part 3. 원전과 오토바이, 뭐가 더 위험할까
과학동아
l
201105
잦던 때에 내린 비였다. 봄 채소를 키워야 하는
농민
들에게도 단비가 될 만했다. 하지만
농민
은 물론이고 대다수 국민에게는 그렇지 않았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방출된 방사성 물질이 기류를 타고 일본 남쪽으로 내려간 뒤, 다시 한반도 쪽으로 북상하는 바람에 실려 날아와 제주도와 남부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104
세상을 드나들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한 세상에서 지오는 함성을 지르며 몰려드는
농민
들을 본 듯했다. 다른 세상에선 전쟁터가 보이기도했다. 요란한 포성이 울리고 군복을 입은 군사들이 뒤엉켜 싸우는 모습에 지오는 몸서리를 쳤다.하지만 그 다음 세상은 평화로웠다. 초가집과 기와집이 ... ...
전국이 들썩들썩~, 구제역 공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4
퍼져서 많은 사람들을 울리고 있어. 가족같이 키우던 동물들을 한순간에 땅에 파묻는
농민
은 물론, 동물을 살처분하는 공무원들도 힘들어 하고 있지. 전문가들은 구제역이 걸린 가축을 살처분하는 것보다 병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어. 그러기 위해서는 철저한 방역 ... ...
현장점검-구제역 지하수 3년 뒤 진짜 위기 온다
과학동아
l
201104
한 축산
농민
은 “울퉁 불퉁한 땅에 매몰지를 만들고 덤프트럭으로 가축을 쏟았다”며 “
농민
들은 침출수가 다 아래로 샜다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이준엽 안동시 와룡면장도 “매몰 뒤 땅이 꺼진 곳이 있다”고 말해 바닥이 샜을 가능성을 내비쳤다.하지만 이런 조건을 모두 만족해 침출수가 ... ...
그림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021
시계가 만들어진 것은 무거운 추의 힘을 이용한 시계탑이 생기면서부터예요. 중세시대에
농민
들은 해가 뜨고 지는 시간에 맞춰 일을 했어요. 그런데 도시의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광장에 시계탑이 생기면서 사람들은 시계가 편리하다는 걸 알게 됐지요. 그 후로 추시계, 태엽시계 등 기계식 시계가 ... ...
달력 그림에서 찾은 별자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19
그림이에요. 노란색에서 황토색으로 이어지는 들판에서 누렇게 익은 곡식을 베고 있는
농민
들과, 높은 가을 하늘아래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볼 수 있어요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11
주 동안 적당히 익힌 후 더 낮은 온도에서 보관하기 위해서다.이런 점을 고려해 조선시대
농민
들의 할 일을 읊은 ‘농가월령가’에서는 겨울이 시작되는 음력 10월 무렵에 김장을 담글 것을 추천하고 있다. 김연옥 전 이화여대 교수는 자신의 저서 ‘한국의 기후’를 통해 지역별로 김장하기 좋은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04
GMO가 처음으로 상업화된 1996년에 비해 80배 증가한 것이다. ISAAA에 따르면 GMO를 재배한
농민
의 90%가 개발도상국과 저개발국가 출신이다. 16개 개도국에서 전체의 46%가 재배됐다. 이 같은 현황은 GMO가 가난한 나라의 식량문제를 해결해주기 때문이라는 찬성 측 주장과 선진국일수록 GMO의 안전성에 대해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