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클리드기하학
유크리드
기하학
euclid
d라이브러리
"
유클리드
"(으)로 총 26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서검교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가정에 의문을 품었던 적이 없다는 걸 깨달은 것이다. ‘평행선 공준’이라 불리는
유클리드
기하학의 기본 공리였다. 쉽게 말해 ‘주어진 한 직선 밖의 한 점을 지나고, 이 직선에 평행한 직선이 유일하게 존재한다’는 가정이었다.“책을 보며 ‘이 가정이 꼭 필요한 것인가라는 질문을 왜 여태껏 ... ...
[재미] 7화 쳇바퀴를 돌리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됐다. 그 이후 자신의 생각이 잘못됐다는 점을 인정하며 파스칼에게 당시 최고 수학책인
유클리드
의 을 건네줬다.“그게 제가 처음 본 수학책이었어요. 그 책을 본 이후 저는 다양한 발견을 하게 됐지요. 그중 제가 두각을 나타낸 분야를 하나만 뽑으라고 하면 확률이에요. 제 친구 페르마와 ...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수학문제 논문집인 ‘아리스메티카’를 즐겨 봤다. 페르마는 이 책을 통해 피타고라스와
유클리드
때부터 전해 내려온 정수론을 독학했다. 문제를 풀다 새로운 생각이 떠오르면 아리스메티카의 각 문제 밑에 두서없이 메모를 했다. 기존 문제를 응용해 더욱 복잡한 문제를 만들기도 했다.1637년, ... ...
[재미] 마왕의 탑 제 6화 세상을 바꾼 사과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책이었는데 당시 내가 읽기에는 너무 어려웠어. 그래서 나는 수학의 기본부터 알기 위해
유클리드
의 을 읽었지. 기하 원론은 명료한 논리에 따라 서술된 책이었어! 이후 수학에 매력에 푹 빠지게 됐지.”“우와, 그 어려운 내용을 혼자 공부했다고요?”“응. 그리고 대학 학부 과정이 끝날 ... ...
[지식] 소수 끝자리 분포의 미스터리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1보다 큰 양의 정수를 말합니다. 이 수가 무한히 많다는 사실은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
가 살던 시절부터 증명돼 있었습니다.독일의 천재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는 15살이던 1792년에 소수표를 세어보고 나서 1부터 n까지 소수의 개수는 대략 n/logn에 가깝다고 추측했습니다. 수학자가 ... ...
[재미] 마왕의 탑_4화 둥근 삼각형?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않고 둥그니까요. 볼록한 공간에 삼각형을 그리면 내각의 합이 180°가 나올 리가 없지요.
유클리드
처럼 위대한 수학자가 왜 둥근 공간을 생각하지 못했을까요?”“지구가 평평하다고 생각하던 사람들이었으니 세계가 2차원 평면으로 이뤄진 줄 알았겠지. 하지만 공간이 오목하거나 볼록하면 ... ...
[소프트웨어]신비로운 수,소수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현재까지 가장 오래된 연구 결과는
유클리드
에 등장합니다.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유클리드
는 에서 소수의 정의는 물론, 모든 수가 소수로 나눠떨어진다는 것과 소수가 무한히 많다는 사실도 소개했습니다.소수를 찾는 방법으로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가 있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 ...
물리와 감성이 공존하는 브라운아이드걸스 BASIC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면이 구부러지고 접혀 있는 정도에 따라 차원이 커진다. 예를 들어 구불구불한 해안선은
유클리드
기하학에서는 선이지만, 프랙탈 기하학에서는 선과 면 사이의 차원으로 볼 수있다.
유클리드
기하학에서는 길이가 1인 선과 넓이가 1인 면, 부피가 1인 정육면체에서길이나 가로세로, 또는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직진한다고 주장하고 이를 수학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방출 이론을 주장한 수학자
유클리드
의 방법을 따르고 있었다. 알 하이삼은 고대 그리스의 의사 갈렌의 연구를 참고해 눈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연구까지 했다. ‘광학의 책’은 대략 12세기 말쯤 라틴어로 번역돼 지식에 목말라 있던 ... ...
[Knowledge] 내 이론은… 그런 뜻이 아니라고!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이해하기 매우 힘들다. 게다가 아인슈타인은 당시 물리학자들에게는 매우 낯설었던 비
유클리드
기하학으로 세계를 설명했다. 많은 물리학자들이 이 해괴한 이론에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고 있었다.1919년 에딩턴이 관측에 성공했지만…이런 상황이 크게 달라진 것은 유명한 1919년 일식 관측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