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쪽"(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친해지길 바라~! 분수나라와 소수나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살고 있었습니다. 두 민족은 세상을 절반으로 갈라 한쪽에 ‘분수나라’를, 반대쪽엔 ‘소수나라’를 세웠지요. 그러나 분수족과 소수족은 서로 문화가 달라 사이가 좋지 않았어요. 만나기만 하면 아웅다웅, 서로 으스대고 상대방을 무시하기 바빴습니다. 분수나라와 소수나라는 모두 농작물이 잘 ...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분수를 소수로 나타내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열심히 설명했어요. 이야기를 들은 어른들은 부끄러움을 느꼈지요. “그렇구나! 어느 한 쪽이 더 잘나고 좋은 게 아니었어.” “분수, 소수 모두 수를 나타내는 훌륭한 방법인걸.” 어른들은 아이들을 본받아 용기를 내었습니다. 서 로에게 음식과 꽃을 선물하고, 그동안 오해한 것과 기분을 ... ...
- [출동! 슈퍼M] 시력 1.0 이 이라는건 무슨 뜻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지우면 란돌트 고리가 완성돼요. 즉, 란돌트 고리에서 끊어진 부분의 길이는 바깥쪽 원의 지름의 1/5이지요. 시력 1.0의 비밀‘시력’은 두 개의 점이 가까이 있을 때 이것을 두 개라고 정확하게 판단하는 능력을 말해요. 5m 거리에서 1.5mm 간격을 구분할 수 있을 때의 시력을 1.0이라고 하지요. 그런데 ... ...
- 대만 지질탐험대 여행 미리보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함께 떠나 볼까요? Day2 타이루거 공원대만의 그랜드캐니언이라 불리는 타이베이 남동쪽에 위치한 타이루거 공원. 필리핀 해양판이 유라시아 대륙판과 충돌하며 대만을 형성했고, 천천히 융기한 산맥의 지표암이 풍화와 침식을 거쳐 표면에 대리석으로 드러났어요. 이 대리석 암반은 리우 강에 의해 ... ...
- 인공지능이 지켜준다, 스마트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교통사고를 예측할 수 있다? 경기도 안양시청 스마트도시정보과 사무실에 들어서자 한쪽 벽면에 가득한 실시간 CCTV 촬영 영상이 보였어요. 스마트사업팀의 윤정호 보좌관은 화면 속에서 사람이나 차량, 자전거가 지나갈 때 만들어지는 사각형 테두리를 가리키며 말했어요. “쓰러진 사람,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내비게이션, GPS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생깁니다. 뇌 쪽의 동맥에 문제가 생기면 뇌경색이나 뇌출혈 등의 질병이 나타나고, 심장 쪽의 동맥이 막히면 심근경색에 걸리지요. 동맥이 막히는 명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어요. 다만 고혈압, 또는 당뇨병이 있거나 운동이 부족한 경우 동맥 관련 질환이 생길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 ...
- [최신 이슈] 70년간 독도경비대원 괴롭힌 흡혈곤충의 정체, 모기점등에모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 흡혈 곤충의 공격은 시간과 장소에 예외를 두지 않는다. 먼 동쪽 바다에 우뚝 서있는 섬, 독도에서 무려 70년 동안 경비대원들을 괴롭혀온 존재를 보면 말이다. 그동안 ‘깔따구’로 알려져 있던 이 흡혈 곤충이 실은 신종 독도점등에모기(Culicoides dokdoensis)라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그 작고도 ... ...
- [최애은하] 제임스 웹 설상가상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결국 그간 우주배경복사를 우주의 팽창 속도, 팽창률을 구하는 데 적용했던 우주론 모델 쪽으로 고개가 돌아간다. 그동안 많은 천문학자들은 이 우주론 모델을 적용한 다양한 시뮬레이션으로 우주의 진화 과정을 재현해왔다. 그런데 이 모델 자체에 문제가 있다면? 상황은 더 복잡하고 어려워진다 ... ...
- [논문탐독] 미래의 공항에도 관제탑이 존재할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서로 만족스러운’ 지점입니다. 분산형 시스템에선 각 개체가 자신에게 이로운 쪽으로 행동을 바꿉니다. 합의점이 ‘서로 만족스럽다’는 것은, 바로 각 개체가 자신의 행동을 바꿔도 더 나은 이득이 없는, 최선의 행동임을 뜻합니다. 게임이론(Game theory)은 개별 개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 ...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파형에 따라 튀어 오르는 전시품이었는데요. 가운데에 위치한 ‘미와 파’의 파형이 양쪽 끝에 있는 음들보다 유난히 크게 튀어 올라 그 이유를 알아내려고 한 거예요. 학교 밴드에서 보컬을 맡고 있는 김사현 석정중학교 2학년 학생은 “연습실이나 화장실 같이 소리가 울리는 곳에서 노래를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