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쪽"(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M 체스마스터] 아무도 나를 막을 수 없어! 나이트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그 방향 의 대각선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한 칸 더 움직여요. 또는 앞, 뒤, 왼쪽, 오른 쪽 중 한 방향으로 두 칸을 움직인 다음, 옆으로 한 칸 움직이는 것과도 같지 요. 나이트는 직선이나 대각선 한 방향으로만 움직이지 않는 유일한 기물이 에요. 체스판의 중앙에 있는 나이트는 여덟 곳으로 움직일 ... ...
- [러셀 탐구생활] 제11장. 언제나 옳은 사상은 없다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하지 않습니다. 낭떠러지가 보이는 것 같으면 다른 길을 택하고, 다져진 길이 보이면 그쪽으로 향합니다. 젊었을 적 저는 안개가 자욱한 세계에서 사는 것이 두려워 나를 구해줄 대피소를 찾아다녔습니다. 그 대피소는 처음에는 종교, 그다음에는 수학, 그다음에는 철학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제 저는 ... ...
-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밝게 볼 수 있다.제임스 웹은 거대한 은하단 WHL0137-08 주변의 하늘을 관측했다. 그리고 한쪽 구석에서 아주 길고 둥글게 비친 중력렌즈의 허상을 포착했다. 이 허상은 둥근 지구의 지평선 위로 햇빛이 떠오르는 모습과 비슷해, 선라이즈 아크(Sunrise arc)라고도 불린다. 훨씬 먼 배경에 있는 은하의 빛이 ... ...
- [SF소설] 조이풀 데이즈 비하인드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엄청나게 공들인 적이 있었다. 잘 안되고 나서는 그 허탈함에 때려치우고 여덟-다리 쪽은 쳐다보지도 않았지만. 그런데 뭐라고? 하늘이시여!“당장 설명해. 실감나게. 그 어느 디테일도 빼놓지 말고.” 자기자랑이 가장 큰 취미인 해은들의 성향을 잘 아는 미연qzw173은 득달같이 달려들었다. 물론 그게 ... ...
- 끈질긴 생명력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모기들은 붉은색, 검은색, 청록색 점을 향해 날아갔습니다. 반면 녹색, 파란색, 보라색 점 쪽으로는 날아가지 않았어요. 제프리 리펠 교수는 “피부색과 상관없이 사람의 피부에서는 붉은색 계열의 파장이 나온다”며 “모기는 숨을 쉴 때 나오는 이산화탄소의 냄새로 우리의 위치를 파악하고,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자외선, 달팽이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떨림을 감지하고 뇌까지 전달해 우리가 소리를 인지할 수 있는 거예요. 달팽이관 앞쪽에는 반고리관이 붙어 있습니다. 달팽이의 더듬이처럼 생긴 반고리관은 머리를 좌우로 흔드는 등의 회전운동을 감지해요. 달팽이관에 붙어 있지만, 소리를 듣는 역할과는 상관없어요. 반고리관은 몸의 균형을 ... ...
- [출동, 슈퍼M] 나의 간지는 무엇일까?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23쪽의 도안을 활용해 십간과 십이지를 연결하는 톱니바퀴를 만들고, 우리 가족이 태어난 해의 간지를 직접 맞혀 보세요! 탐구 1. 십간 십이지 톱니바퀴 만들기톱니가 10개인 ‘십간’ 톱니바퀴와, 톱니가 12개인 ‘십이지’ 톱니바퀴를 만들어요. 처음 톱니바퀴를 돌리기 시작했을 때의 간지로 ... ...
- [전지적 독자 시점] “11월? 역시 노벨상의 달이죠”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맞아 보이지 않나요. 하지만 주요 기사 투표와 독자 여러분의 의견이 없으니 마음 한쪽이 쓸쓸하게 느껴지는 건 어쩔 수 없나 봅니다. 다음 호부터는 새롭게 출발하는 전독위 3기가 주요 기사 투표에 한 표를 행사할 예정입니다. 이 김에, 전독위 3기는 앞으로 세 달 간 어떤 일을 하게 될지 ...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꼬마 여우 나눌리, 저주를 푸는 주문을 외쳐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놀이북 6쪽과 함께 보세요! “마법 수업에서 최고의 학생들만 받을 수 있다는 ‘레드’ 레벨에 도달해야만 다시 사람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냠냠! 어수잼] 꼬마 여우 나눌리, 저주를 푸는 주문을 외쳐라!Part1. 나눌리의 첫 수업Part2. 마법약 1개를 만드는 데 ... ...
- [Reth?nking] 제 10화. 수학적 대상이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훨씬 더 많이 발전했고, 중국이나 인도에서는 0이나 음수를 도입하는 등 ‘세고 계산하는 쪽’에 특화됐습니다. 한편으로는 새로운 행위가 수학에서 다루는 행위에 포함되면서 수학적 대상이 확장됐어요. 예를 들어 고대에는 여러 사건 중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을 가늠하는 일에 큰 관심이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