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공
가언
가정
건축
건설
뉴스
"
가설
"(으)로 총 1,093건 검색되었습니다.
성인 키 1m 불과 역사상 가장 작은 호미닌 화석
동아사이언스
l
2024.08.07
호랑이 등 포식자로부터 피할 수 있도록 크기가 작아졌다고 추측했다. 연구팀은 이같은
가설
이 맞는다고 확신하려면 추가로 호미닌의 골격 자료가 필요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doi.org/10.1038/s41467-024-50649- ... ...
환경 파괴로 몰락? 새로 밝혀진 '라파 누이' 멸망 이유
과학동아
l
2024.08.03
미국 컬럼비아대 고고학센터 박사후연구원의 국제 공동 연구팀이 기존의 문명 붕괴
가설
을 반박하는 연구결과를 6월 21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do1459) 지금까지 고고학계는 약 1000년 전 인류가 라파누이에 상륙한 이후 섬이 감당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 ... ...
악마의 문제 '리만
가설
' 해결에 다가간 필즈상 수상자
동아사이언스
l
2024.07.30
1 선상에만 있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그림. 브리태니커백과사전 제공 그런데 리만
가설
이 맞는다고 증명하려면 '리만제타함수의 자명하지 않은 해가 복소평면에서 2분의 1 선상에만 있다'는 조건을 증명해야 한다. 리만제타함수는 소수 개수를 추측할 수 있는 함수다. 간단히 말하면 특정 해가 ... ...
에이즈 7번째 완치 사례…치료 성공 핵심요인은 '불분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28
가운데 완치를 위한 정확한 조건이 무엇인지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몇 가지
가설
을 제시했다. 먼저 환자의 몸 속으로 이식된 기증자의 조혈모세포가 남아있는 세포를 적으로 인식해 공격하는 과정에서 HIV까지 죽였을 가능성이다. 또 이 환자가 원래 델타-32 돌연변이를 지녔다는 점이 ... ...
자연은 사실 왼손잡이다? 왼손잡이 아미노산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24.07.27
아미노산의 농도가 오른손잡이 아미노산보다 높았기 때문이라는
가설
을 세웠습니다.
가설
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팀은 우선 아미노산을 생성하는 화학 반응인 '아미노기 전이반응(transamination)'을 살펴봤습니다. 복잡한 효소가 관여하지 않는 비교적 단순한 반응이라 생명체 탄생 초기부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박테리아와 아르케아가 됐다는 시나리오다. 이번 논문이 제시하는 루카가 맞다면 우즈의
가설
이 47년 만에 폐기되는 셈이다. 루카는 우드-융달 경로에 필요한 유전자들을 지니고 있었지만 캘빈회로나 메탄생성 회로 등 다른 이산화탄소 고정 메커니즘에 필요한 유전자는 갖추지 못했다. 이들은 ... ...
[동물do감] 갑오징어도 사람처럼 '잘못된 기억' 불러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기억을 한다면 과거 사건을 재구성할 때 잘못된 기억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
을 세우고 갑오징어에게 잘못된 기억을 유도하는 실험을 설계했다. 갑오징어에게 잘못된 기억을 유도하는 실험 설계. 갑오징어는 잘못된 기억을 재구성하고 새우가 있다고 착각해 빈 통을 골랐다(가운데 경로). ... ...
"프로포폴, 뇌 흥분시켜 정신 잃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프로포폴을 비롯한 여러 마취제가 '동적 안정성(dynamic stability)' 메커니즘을 방해한다는
가설
을 세웠다. 동적 안정성이란 뉴런이 새로운 입력에 반응할만큼 흥분하면 뇌가 빠르게 통제력을 되찾고 과도하게 흥분하는 것을 막는 것을 말한다. 연구팀은 전기신호를 이용해 뉴런 활동을 분석하는 ... ...
기후위기가 가져온 나비효과…홍수·가뭄이 지진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24.07.13
무너지고 약 15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유례없던 강력한 지진에 과학자들은 여러
가설
을 제시해왔는데요. 폭우와 폭설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5월 8일 국제학술지에 발표됐습니다. 2024년 1월 1일 발생한 노토 지진은 2011년에 발생한 관동 대지진 이후 처음으로 일본 내륙에 발생한 7.5 이상의 ... ...
맥주가 가장 맛있는 온도 논쟁 종결?
과학동아
l
2024.07.06
연구팀은 사슬형 구조와 테트라헤드랄 구조가 더 많아지기 때문이라는
가설
을 세웠다.
가설
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고해상도 핵자기공명(NMR) 스펙트럼을 이용해 온도에 따른 맥주의 EWM 클러스터 구조를 분석했다. 그 결과 비교적 높은 온도인 25℃에서는 사슬형 구조가 거의 보이지 않고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