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성균관대"(으)로 총 7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감각전달·피부재생 동시 가능한 인공피부동아사이언스 l2024.02.18
- 책임연구원, 이현정 스핀융합연구단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유기준 연세대 교수, 김태일 성균관대 김태일 교수와 공동으로 인체 이식형 촉각 기능 스마트 바이오닉 인공피부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스마트 바이오닉 인공피부는 피부재생에 초점을 두고 있던 기존의 인공피부와 ... ...
- '돼지 뇌' 이용해 난치성 뇌 질환 연구한다동아사이언스 l2024.02.16
- 교수 연구팀이 김형석 전남대 의대 교수, 조한상 성균관대 생명물리학과 교수 연구팀과 함께 돼지 뇌에서 유래한 세포외기질(ECM)을 기반으로 뇌 모델 제작에 필요한 기질(세포구성물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뇌 유래 줄기세포를 배양하거나 뇌 장기유사체(오가노이드) 모델을 ... ...
- [의대 증원] 이공계 인재 의대 쏠림 우려 커져…대책은 있나동아사이언스 l2024.02.06
- 내놨다. 연세대 융합과학공학부(ISE) 중도탈락률은 15.6%로 전체 평균의 5배에 달했으며 성균관대 공학계열은 12.4%, 자연과학계열 14.2%로 역시 학교 평균을 상회했다. 중도탈락률은 전체 재적 학생 대비 중도탈락자의 규모로 미등록, 미복학, 자퇴 등으로 학업을 다 마치지 않고 탈락한 학생의 비율을 ... ...
- 알츠하이머 발병 과정, 분자 단위로 실시간 관찰동아사이언스 l2024.01.30
- 육종민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성균관대 약대 연구팀과 함께 그래핀을 이용해 알츠하이머를 유발한다고 알려진 아밀로이드 섬유 단백질의 실시간 거동을 관찰할 수 있는 단분자 관찰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단분자 관찰 기술은 단일 ... ...
- 한국공학한림원 대상 박남규…젊은공학인상 하정우·최장욱동아사이언스 l2024.01.25
- 이노베이션 센터장, 최장욱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한국공학한림원 제공. 박남규 성균관대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석좌교수가 제28회 한국공학한림원 대상 수상자로 25일 선정됐다. 젊은공학인상은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 이노베이션 센터장과 최장욱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에게 ...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김태일… 생체모사 필터로 생활 소음 줄여동아사이언스 l2024.01.17
- 과기정통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월 수상자로 김태일 성균관대 화학공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개발자를 매월 1명씩 선정해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000만 원을 수여하는 상이다. ... ...
- 尹 대통령 “반도체 세액 공제 연장…‘대기업 퍼주기’ 지적은 거짓선동”동아사이언스 l2024.01.15
- 연장해 세액 공제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15일 오전 경기도 수원 성균관대 반도체관에서 열린 민생토론회에서 이처럼 밝혔다. 윤 대통령은 올해 만료되는 반도체 투자 세액 공제를 이어갈 의지를 밝히며 이를 ‘대기업 퍼주기’라고 보는 시선에 대해 거짓 선동이라고 ... ...
- 622조원 투입 '세계 최대·최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키운다동아사이언스 l2024.01.15
- 소모 10분의 1 수준으로 감소, AI학습 효율 2배 향상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밖에 성균관대, 경희대, 아주대 등 반도체 관련 대학과 화합물반도체 특화 연구 인프라인 한국나노기술원 등이 소재해 있는 수원은 화합물 반도체 기술 거점으로 발전시킨다. 또 평택에는 총 5000억 원을 투자해 ... ...
- 한국인 교육 성취도 높은 유전적 원인 밝혔다동아사이언스 l2024.01.08
- 질환의 연관성을 연구할 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서울병원은 원홍희 성균관대 삼성융합의과학원 교수, 김재영 연구원, 명우재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대만 연구팀이 국제 협력을 통해 교육 성취 관련 유전자 위치를 확인하고 ‘네이처 인간행동’ 최근호에 논문을 발표했다고 ... ...
- 모계 유전 미토콘드리아 유전질환 치료길 열리나…동물모델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1.05
- 희망과 가능성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왼쪽부터) 이현지 고려대 의대 교수, 이성현 성균관대 의학과 및 메타바이오헬스학과 교수, 김진수 싱가포르국립대 교수(엣진 CTO), 홍성호 고려대 의대 연구원, 조성익 연세대 의대 박사, 임가영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뇌과학연구소 박사. 고려대 의대 제공 ... ...
이전678910111213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