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성균관대"(으)로 총 7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 아이 뇌는 어떻게 성장할까…두뇌 발달 ‘열쇠’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24.06.19
-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소속 홍석준 성균관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뇌의 외적 정보처리와 내적 정보처리를 담당하는 ‘대규모 기능적 전뇌 네트워크’들이 형성되는 과정을 아이들의 뇌 영상을 성장 시기별로 분석해 밝혀냈다고 1 ... ...
- 상온 양자컴 가능성 열었다…2차원 '스커미온' 생성·제어 첫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4.06.11
- KRISS)은 양자기술연구소 양자자기센싱그룹이 김갑진 KAIST 물리학과 교수팀, 이창구 성균관대 기계공학과 교수팀, 임미영 미국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LBNL) 연구원과 함께 상온의 2차원 자석 표면에서 스커미온을 구현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 ...
- 리튬이온전지 성능 '업'…흑연 대체 실리콘 음극재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5.27
- 팽창해 장기 안정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성균관대 연구팀은 실리콘 기반 고엔트로피 합금 소재를 개발, 한 가지 소재로 구현하기 어려운 물성을 부여해 실리콘의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했다. 고에너지 볼밀링 합성법을 사용해 합성 방법의 공정을 ... ...
- [K태양전지의 위기](상) '세계 최고'였던 차세대 태양전지 경쟁서 中·중동에 밀려동아사이언스 l2024.05.13
- 페로브스카이트감응 고체 태양전지를 개발해 '노벨상 수상후보'로 거론되기도 한 박남규 성균관대 석좌교수는 "탠덤 태양전지가 차세대 태양연구의 중심에 서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국은 탠덤 태양전지 분야에선 후발주자에 머물러 있다는 평가다. 현재 탠덤 ... ...
- 딥페이크 등 생성형AI에 목줄 거는 AI과학동아 l2024.05.11
- 악용하지 못하도록 막는 방법은 없을까요. 딥페이크 탐지를 연구하는 우사이먼성일 성균관대 데이터사이언스 융합학과 교수를 3월 7일 화상 인터뷰를 통해 만났습니다. 우 교수는 "나이트셰이드나 글레이즈처럼 AI 악용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 연구는 아직 세계적으로도 초기 단계라 최근 1~2년간 ... ...
- 자폐아가 일상의 작은 자극에도 괴로운 이유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24.05.08
- 단장 겸 KAIST 생명과학과 석좌교수와 김성기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 단장, 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자폐 모델 생쥐를 이용해 자폐스펙트럼장애 환자에서 나타나는 감각 과민이 대뇌피질의 특정 부위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시냅스 전달과 네트워크 연결성의 증가가 ... ...
- 김성기 IBS 단장, 아시아 최초 국제자기공명의과학회 골드메달 수상동아사이언스 l2024.05.07
- 이미지연구단 단장. IBS 제공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김성기 뇌과학 이미지연구단 단장(성균관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석좌교수)이 6일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국제자기공명의과학회(ISMRM) 자기공명(MR) 분야에서 아시아 최초로 골드메달을 수상했다고 7일 밝혔다. ISMRM 골드메달은 자기공명(MR) 분야에서 ... ...
- 병원 '셧다운' 첫날 혼란 없어…의대 증원 1500명 넘을 듯동아사이언스 l2024.04.30
- 대부분은 정부의 증원 규모 그대로 모집한다는 계획이다. 울산대는 증원분 80명 중 60명, 성균관대는 80명 중 70명을 증원하기로 결정해 일부 사립대에 한정해 증원 규모가 축소됐다. 의료계에 따르면 아직 증원을 확정 짓지 않은 사립대들도 대부분 정부의 증원 규모와 비슷한 모집 인원을 유지할 ... ...
- "AI 열풍에 고대역폭메모리 등 첨단 반도체 '순풍' 이어갈 것"동아사이언스 l2024.04.26
- 설계를 담당하는 화학공학이 더욱 존재감을 키울 것으로 분석된다. 한재현 성균관대 교수는 26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ICC)에서 열린 한국화학공학회 봄 학술대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학회 반도체 심포지엄에 참여한 삼성전자, 램리서치 등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HBM과 패키징 등 백엔드 ... ...
- 실제 심장 같은 인공장기 나왔다…미세환경 구현해 임상 활용동아사이언스 l2024.04.25
- (왼쪽부터) 조승우 IBS 나노의학연구단 연구위원, 박훈준 가톨릭대 의대 교수, 민성진 성균관대 조교수, 김수란 연세대 박사후연구원, 심우섭 가톨릭대 박사과정생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