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뉴스
"
이론
"(으)로 총 2,984건 검색되었습니다.
'군비경쟁' 닮은 매체들의 허위정보 경쟁
동아사이언스
l
2025.06.23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과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연구팀이 게임
이론
을 이용해 미디어가 어떤 뉴스 방향을 선택하고 여론이 어떻게 변하는지 모델을 만들어 수학적으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미디어가 가짜정보를 선택하게 되는 구조를 입증하고 18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흑물질 비밀 밝히는 베라루빈 천문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6.22
1970년대 은하 회전을 관측하며 처음으로 그 존재를 간접적으로 입증했다. 이후 수많은
이론
과 실험이 이어졌지만 아직 정체는 규명되지 않았다. 암흑에너지는 1990년대 말 우주의 팽창 속도가 가속된다는 관측 결과를 통해 제기된 개념으로 작용 원리는 미지로 남아 있다. 베라루빈 천문대는 ... ...
매머드가 돌아온다면?…절멸종 복원 그 다음을 묻다
과학동아
l
2025.06.21
도입했다. 최종 목표는 매머드를 안정적으로 정착시키는 것이다. 지모프 소장의
이론
은 이렇다. 현재 시베리아의 자연은 이끼와 숲이 뒤덮고 있다. 하지만 플라이스토세 시베리아는 원래 건조한 초원이 뒤덮인 거대 초식동물의 낙원이었다. 털이 북슬북슬한 매머드는 이곳의 터줏대감이었다. 지모프 ... ...
암흑물질 정조준…세계 최대 디지털 천체 카메라 가동 '초읽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6.20
70년대 은하 회전을 관측하며 처음으로 그 존재를 간접적으로 입증했다. 이후 수많은
이론
과 실험이 이어졌지만 아직 정체는 규명되지 않았다. 암흑에너지는 1990년대 말 우주의 팽창 속도가 가속된다는 관측 결과를 통해 제기된 개념으로 작용 원리는 미지로 남아 있다. 베라루빈 ... ...
희귀원소 찾는 중이온가속기 '라온' 실험, 슈퍼컴 '누리온'이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0
KISTI 제공 특히 이번 연구에선 희귀 핵종인 나트륨-21(21Na)의 핵 구조를 '미시적·선험적 핵
이론
기반 계산'으로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IBS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라온의 'CLaSsy(Collinear Laser Spectroscopy)' 장치를 활용해 2024년 12월 실험을 진행했다. 후속 실험도 예정됐다. 김영만 그룹리더는 “라온 가동 ... ...
AI 만능? 계산화학은 달랐다…100배 효율 높인 인공효소 설계
동아사이언스
l
2025.06.20
촉매 역할을 할 수 있는 구조를 도출한다. 이를 통해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반응도
이론
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설계 정확도가 높아 실험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AI 방식보다 효율성과 실용성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연구팀은 이번 설계 방식이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 ...
'뇌과학자로 2주 살기'…IBS 고등학생 뇌과학 캠프 참가자 모집
동아사이언스
l
2025.06.18
위해 기획됐다. 분자생물학·전기생리학·광유전학·동물행동학 등 다양한 뇌과학 분야
이론
교육과 실험·세미나·랩미팅·저널클럽 같은 실제 연구 과정 전반을 체험할 수 있다. 참가자들은 첨단 연구 인프라를 활용한 연구 설계와 실습 위주의 교육을 받는다. 이번 캠프 세부 프로그램은 딥러닝 ... ...
[동물do감] 새들은 왜 새벽에 울까…자리 싸움과 먹이 정보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요인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조류의 울음 습성을 환경적 요인에서 찾았던 기존
이론
과 상반되는 연구 결과다. 리사 양 인도 보존생물음향 프로젝트 '드바니' 연구원과 비제이 라메시 미국 코넬대 연구원 연구팀은 인도 서부 가츠산맥에서 서식하는 조류 69종을 대상으로 하루 중 울음 ... ...
美 학계 '뮤온 충돌기' 제시…예산 삭감에 실현가능성 불투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2008년 완공된 CERN에 주도권을 뺏겼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LHC는 2012년 충돌 실험을 통해
이론
적으로만 예측된 '힉스 입자'를 발견하는 데 성공하는 등 입자물리학 분야에서 굵직한 성과를 냈다. 트럼프 정부가 최근 정부 효율화를 근거로 과학 연구개발(R&D) 예산을 대폭 삭감하고 있어 뮤온 충돌기 ... ...
4년 뒤 리튬 공급 부족 직면…'대안전지'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대안으로 떠오른다. 마그네슘이온은 리튬이온과 달리 이온 전하를 2개 사용하기 때문에
이론
적으로 양극에서 음극으로 이동할 때 더 많은 전기를 전달할 수 있다. 미국 메사추세츠대(MIT) 등이 상용화를 위한 기술 개발에 뛰어들었지만 아직은 연구가 초기 단계다. 마그네슘보다 전하를 1개 더 많이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