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설
원리
주의
체계
설
원론
견해
뉴스
"
이론
"(으)로 총 2,984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용 통신망에서 고가 장비 없이 양자암호 254km 전송
동아사이언스
l
2025.04.25
누군가 도청하려고 하면 양자 상태가 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를 바로 감지할 수 있다.
이론
적으로 통신선로상에서 해킹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 기존 양자암호통신 경제적 문제 해결 앞서 중국이 3월 초소형 위성을 이용해 1만2900km 떨어진 곳끼리 QKD를 구현했다고 발표했지만 일상적으로 ... ...
韓 관측 시스템으로 공전주기 40년 '슈퍼지구'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4.25
특성을 정리했다.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발견된 외계행성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기존
이론
처럼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행성이 쌍봉 분포를 이룬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우주의 장주기 외계행성 중 지구형 행성이 더 많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정 선임연구원은 "
이론
예측대로 지구형 행성과 목성형 ... ...
대한수학회 논문상에 서인석·정인지·조창연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4.21
대수기하학의 핵심 정리 중 하나인 고유기저변환 정리(proper base change theorem)를 무한범주
이론
의 관점에서 비가환적인 상황으로 확장한 연구논문을 2022년 공개해 좋은 평가를 받았다. 김성찬 국립공주대 수학교육과 교수, 김준하 아주대 수학과 교수, 정은희 전북대 수학교육과 교수는 ... ...
최호연 고등과학원 박사후연구원, 한국물리학회상 수상…복잡계 연구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인공지능 기반 분석 도구를 더해 복잡계 연구의 패러다임을 확장한 연구자"라며 "기초
이론
을 토대로 사회적 문제에 실질적인 해답을 제시하는 그의 연구는 학문적 깊이와 실용성을 겸비한 통계물리학의 미래상을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 ...
"주사 대신 알약"…꿈의 비만약 '위고비' 먹는 약으로 진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4.17
'를 겨냥하는 방식은 약물이 수용체의 구조를 간접적으로 변화시켜 작용하기 때문에
이론
적으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화이자의 경구용 GLP-1 비만치료제 '다누글리프론'은 알로스테릭 방식으로 후보물질을 도출한 사례로 부작용이 발생했지만 여전히 유망한 방식으로 주목된다. 다양한 ... ...
세계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용액 속 단백질량 측정법'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물리학과 계산화학을 포함한 넓은 범위에서 쓰이며 신물질 개발 등에 활용될 수 있는
이론
이다. 네이처는 OpenAlex 데이터베이스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 21세기 이후 인용 수 1위를 차지한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연구나 현재 상위권에 있는 DFT 연구 논문이 가파른 인용 수 증가세를 이어간다면 2030년 전에 ... ...
음극재 바꿔 전기차 배터리 충전속도·용량 모두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6
리튬이온전지의 음극으로 흑연이 주로 사용된다. 흑연은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낮은
이론
용량(이상적인 용량)과 느린 충·방전 속도가 한계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팀은 ‘하드카본’과 ‘주석’을 결합한 새로운 전극 설계 전략을 제안했다. 하드카본은 탄소 원자들이 무질서하게 얽힌 ... ...
'작은 가속기도 맵다'…수 센티미터로 초강력 빔 생성하는 소형 입자가속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매우 빠르게 가속해 충돌시켜 우주의 기본 입자 등을 찾는 과학 실험 장치다. 2012년
이론
적으로만 예측된 '힉스 입자'를 찾은 유럽의 길이 27킬로미터 거대강입자충돌기(LHC)가 대표적이다. 거대한 규모의 입자가속기와 달리 레이저로 수 센티미터~수 미터 길이에서 입자를 빠르게 가속해 강력한 ... ...
노도영 IBS 원장 "양자정보 연구단 올해 구축…기초과학, 혁신적 응용 토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4.14
혁신적인 성과를 가져온 대표적인 사례는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트랜지스터, 상대성
이론
에 기반한 내비게이션이다. 이들 사례는 처음부터 '응용화', '기술화'가 아닌 연구 자체가 목표였던 기초과학에 기반을 두고 있다. 노 원장은 "초기 연구목표는 상용화가 아니지만 연구 과정에서 성과에 ... ...
1mm³에 5.4km의 신경세포 연결...쥐 뇌구조와 연결 상세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축삭은 뉴런에서 전기 신호를 다른 세포로 전달하는 가느다란 돌기다. ● 기존
이론
뛰어넘는 신경과학 원리 제시 연구팀은 뇌의 작동 원리도 분석했다. 뉴런이 활성화될 때 형광 신호를 발현하도록 유전자를 형질전환한 생쥐를 사용해 실험을 실시했다. 생쥐는 다양한 시각 영상 자극을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