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스페셜
"
이용
"(으)로 총 3,85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인공지능이 과학을 업그레이드하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9.30
AI를 논문 주제로 삼을 뿐 아니라 실생활에 적용하기도 한다. 챗GPT와 같은 AI 도구를
이용
해 논문 문체나 문법을 개선하기도 하고 다른 사람들의 연구 내용을 해석하기도 하며 교육에 활용하기도 한다. 투명성 부족, 편향된 정보 등 해악이 존재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하고 있다. AI와 안전하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 피해, 크게 줄어들고 있다
2023.09.24
주었다. 수많은 유도체가 다양한 감염병 치료에
이용
될 수 있으므로 지금도 신약 개발에
이용
되고 있는 이 물질은 도마크에게 1939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선사했고 제2차 세계대전에서 전상자들의 치료에 큰 도움을 주었다. 한편 영국의 플레밍(Alexander Fleming)은 곰팡이가 함유한 물질이 세균의 증식을 ... ...
[사이언스게시판] ETRI, 스마트제조 '디지털트윈' 가이드라인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3.09.20
말뚝 관입량 측정 장치(KPM)’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KPM이란 발광다이오드 센서를
이용
해 원거리에서 관입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원거리에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항타기 아래에서 직접 작업할 필요가 없다.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도가 현저히 낮아진다. 기존의 수기 측정방식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
2023.09.09
83년 콜레라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발견했다. 또한 그의 4원칙을 따른 학자들이 이 원칙을
이용
하여 다른 감염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계속해서 발견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코흐의 학자로서의 능력을 인정한 정부는 베를린에 1891년 7월 1일 전염병연구소(Royal Prussian Institute for Infectious Diseases)를 ... ...
[일상 속 뇌과학] 내 기억이 내 아이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2023.08.25
통해 조작하는 것만으로도 기억 정보가 충분히 조작되기도 했다 . 예쁜꼬마선충을
이용
한 연구사례가 ‘모든 기억이 유전될 수 있다’라고 정의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후성유전학적 스위치를 생식세포에서 켤 수 있는 스트레스나 공포와 같은 특정 환경 자극과 관련된 형질 획득 또는 일부 학습 ... ...
[과기원NOW] 김학성 KAIST 명예교수 '2023 효소공학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24
반도체 소자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일함수가 조절되는 성질을
이용
해 새로운 트랜지스터를 구현했다. 전하를 옮기는 물질인 ‘전하 운송자’가 들어가지 못하게 막는 배리어층이 최소화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3차원 금속이 2차원 금속의 보호막 역할을 해 기존보다 수율이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국립과학관 '나로우주센터 견학 프로그램' 운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8.24
확장현실(XR) 등 다양한 서비스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번 국제표준으로 제정된 기술을
이용
하게 되면 국내·외 실사화된 디지털휴먼의 품질을 공식적으로 점수화해 평가할 수 있게 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육류 알레르기가 드문 이유
2023.08.23
병원 응급실로 바뀐다. 어느 날 불쑥 나타난 아버지에게 딸이 서서히 마음을 여는 매개로
이용
한 것 같다. 드라마에서처럼 음식물 알레르기로 얼굴이 퉁퉁 붓거나 온몸에 두드러기가 나기도 하지만 드물게는 기도가 부어 호흡곤란으로 죽을 수도 있다. 먹어도 생존에 위협은커녕 대다수 사람에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감염병과 위생의 중요성
2023.08.22
근대가 되자 세상에 큰 변화가 다가왔다. 1693년에 세이버리(Thomas Savery, 1650?-1715)가 증기를
이용
한 양수펌프를 발명함으로써 사람이 기계의 힘을 빌려 일을 쉽게 할 수 있게 되었다. 1769년에 와트(James Watt, 1736-1819)는 “화력기관에서 증기와 연료의 소모를 줄이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하여 특허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착한 바이러스의 사악한 전략
2023.08.09
세균)를 숙주로 삼는 바이러스인 박테리오파지(이하 파지) 이야기로 이를 치료에
이용
하는 파지요법의 역사와 전망을 주로 다루고 있다. 콜레라 같은 세균성 질환을 이들을 숙주로 삼는 파지를 투여해 죽여 치료하는 방식이다. 파지가 바이오항생제인 셈이다. 인도 갠지스강은 수천 년 전부터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