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성"(으)로 총 6,222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외계행성 찾으러 가즈아~ 케플러 대신할 테스 발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1.6m인 거울을 장착한 광시야 망원경과 3억4000만 화소의 초대형 천문탐색용 카메라인 CCD로 구성된 관측시스템이다. 칠레, 남아프리카공화국, 호주 등 남반구에 있는 3개 국가 관측소에 설치돼 있어, 우리은하 중심부를 24시간 연속으로 관측하고 있다.KMTNet은 2016년 지구에서 각각 2000광년, 2만7000광년 ... ...
- [현장취재] 지구를 위한 과학 정기강좌 4강, 오로라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이번 강연에서 친구들의 눈길을 사로잡은 것이 있어요. 바로 한 장의 큰 오로라 사진으로 구성된 조각 퍼즐이에요. 어린이과학동아에서는 강연을 듣는 친구들에게 오로라에 대해 궁금한 질문을 미리 받았어요. 퍼즐 조각 뒤에는 바로 이 질문들이 적혀 있었지요. 문경수 과학탐험가와 조남석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만듭니다. 이것을 탐침이라고 하는데요. 여기에 형광물질을 더해줍니다. 이후 배아를 구성하는 세포 속 물질들이 움직이지 않도록 화학처리를 합니다. 그리고 여기에 준비한 탐침을 넣습니다. 그러면 탐침은 짝을 이룰 유전자 X의 RNA에 가서 찰싹 달라붙습니다. 반면 유전자 X의 RNA가 없는 ... ...
- Part 2. 중금속, 발암물질이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위해서는 산에 녹여야 한다. 이렇게 분석하는 데는 꼬박 24시간이 걸린다. 미세먼지를 구성하는 이온은 크게 8종이다. 이산화황(SO4 2-), 질산염(NO3-), 암모늄염(NH4+), 염소(Cl-), 칼슘(Ca2+), 마그네슘(Mg2+), 나트륨(Na+), 칼륨(K+) 등이 해당한다. 이 가운데 이산화황, 질산염, 암모늄염 등 3개가 가장 높은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교내 과학대회 수상을 위한 ‘꿀팁’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학생이 아닌 자기 주도적으로 ‘진짜 과학’을 할 줄 아는 학생을 위한 교내 대회가 구성되고 있다는 말입니다. 결국 교내 과학대회에 참가하는 것은 자율성이 보장되는 과학 활동에 참여하는 것과 같습니다. 교과 과정 안에서 진행되는 탐구나 실험 활동과는 달리, 교내 과학대회는 자신만의 과학 ... ...
- 심판이 볼 수 없다면 수학이 본다! 심판 판정 돕는 기술수학동아 l2018년 04호
- 3차원으로 재구성해 3차원 궤적을 만들어야 합니다. 이런 고속 촬영 영상을 재수학동아구성하는 영상처리 기법에는 미적분을 기초로 만든 방정식이 필수지요. 마지막으로 이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골인지 아닌지 심판에게 전달하기 위해선, 그만큼 빠르고 정확한 데이터 처리 알고리듬이 필요하겠죠 ... ...
- Part 1. 찰떡궁합 음식 찾는 푸드페어링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있다. 이런 식으로 5만 가지 요리에 이용된 재료들 간의 관계를 계량화해, 연결망을 구성했다. 처음 먹어본 한국 음식을 맛있게 먹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김치의 마늘 냄새를 맡는 것조차 힘들어 합니다. 매스토랑은 세계 각국의 다양한 입맛을 가진 사람을 위한 음식을 제공합니다. ... ...
- [Origin] 계란의 ‘슈퍼 파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분자들은 비공유결합은 물론 공유결합도 이루고 있었습니다. 공유결합은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들이 전자를 공유하는 결합 방식으로, 비공유결합에 비해 결합력이 훨씬 강합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공유결합과 비공유결합이 시너지를 내면서 강한 기계적인 강도를 갖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 ...
- [Origin]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기계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구현할 수 있습니다. 눈에도 보이지 않을 만큼 작은 로탁세인 한 개가 기존의 메모리를 구성하던 트랜지스터와 커패시터의 역할을 대신한 것입니다. 로탁세인 메모리 칩을 이용하면 1cm2 면적에 1000억 비트를 저장할 수 있어, 동일한 크기의 반도체 칩과 비교해 볼 때 100배 이상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생기는 빛의 위상차를 파악하면 홀로그램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찍힌 지문을 3차원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지문 시료를 50μm 간격으로 미세하게 움직이면서 세 번 촬영한 뒤 측정된 빛의 세기 차이를 이용해서 빛의 위상을 계산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실제로 두 지문을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