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성"(으)로 총 6,222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K팝과 인공지능의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장르를 하나 택한 뒤, 노래 분위기 2개(밝은, 어두운) 중 하나를 고르면 된다. 노래를 구성할 악기(신시사이저, 피아노, 오케스트라 등)와 분당 박자 수(bpm·beats per minute) 등을 조정하면 10~30초 뒤 자신의 취향을 그대로 반영한 노래 한 곡이 나온다. 쥬크덱은 이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저작권에 ... ...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극대화하고 위험을 최소화시키는 방안을 논의하는 ‘대통령생명윤리자문위원회’를 구성했습니다. 위원회는 합성생물학 연구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정기적으로 감시하는 제도적인 장치를 갖춘다면 합성생물학 연구는 안전하게 우리 생활의 많은 부분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결론 ... ...
- Part 1. 암호화폐는 ‘진짜 돈’이 될 수 있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이론적으로는 그럴싸하게 들리지만, 실제로 분산 환경에서 공정한 방식으로 하나의 구성원을 선택하고 합의하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만약 이를 가능하게 만드는 알고리즘이 개발됐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공격자는 더 많은 사용자 계정을 생성해 자신이 선정될 확률을 높일 것이다. 복권을 ... ...
- [인터뷰]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입학부장 김민주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시 같은 글이나, 음악과 미술 작품 등 관련 제시물을 보고 이에 대한 글을 쓰는 시간으로 구성됐다. 김 입학부장은 “4교시의 경우 논술로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은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며 “제시물을 보고 자신의 느낀점과 생각을 얼마나 잘 표현하는지 평가한다”고 말했다. 2019학년도부터는 ... ...
- UNIST 종합다면면접평가 분석 및 대비법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활용됐던 문제와 학생들의 경험담을 토대로 재구성한 면접 상황이다. 이를 토대로 문제 구성과 답변 요령 및 대비 방안에 대해 확인해 보자. 기초 소양 교수 : 자기소개 해보세요.학생 : 안녕하십니까. 탄소를 닮은 지원자입니다. 먼저 탄소는 다른 원자와 다르게 4가지 방향으로 결합할 수 ... ...
- [종목2] 스켈레톤, 세계랭킹 1위 도운 DNA 훈련법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중간형)으로 나뉜다. ※ 단일염기다형성(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인간의 유전체를 구성하는 염기서열은 약 99.9% 일치하지만 0.1% 정도가 개인마다 다른데, 이를 유전변이형이라고 한다. 유전변이형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변이를 SNP라고 부른다. SNP에 의해 외모와 체질, 질병 발생 위험, 약효 등에 ...
- [Origin] 몸 밖의 몸,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크립트는 융모의 일부로 줄기세포와 각종 단백질을 분비하는 파네스 세포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사토 연구원은 생쥐의 장 상피 조직에서 크립트를 분리한 뒤 여러 종류의 성장 인자(세포의 성장과 증식에 관여하는 단백질)를 처리했습니다. 그 결과 장 상피가 체외에서 자라기 위해서는 ‘윈트 ... ...
- [과학뉴스] 몸무게 3kg만 달라져도 생체분자 바뀐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활용했다. 분석 결과 참가자들은 몸무게가 약 6파운드(약 2.7kg)만 늘어도 체내 미생물 구성이 달라졌다. 염증 반응이 증가했으며, 심장질환과 관련한 분자생리학적 기전도 활성화됐다. 몸무게가 줄면 이런 변화는 대부분 원래대로 돌아왔다. 스나이더 교수는 “개별 분자가 어떻게 변하는지 분석해 ... ...
- Part 1. 이 문제 풀면 나도 앨런 튜링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소속 심재범 씨와 김병관 씨는 이력서파일 크기에 주목했습니다. 1장으로 구성된 한글파일치고 5메가바이트는 너무 크다고 생각하고 이미지 파일부터 살펴봤습니다. 문서에서 사진을 지우자 ‘보관자료’라는 압축 파일이 나타났습니다(그림➊). 또 이력서 하단에 ‘경애!!’라는 글자를 흰색으로 ... ...
- [종목1] 스피드스케이팅, 0.1초 단축 위해 찰나의 순간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마커를 달 수 없는 만큼 동작을 영상으로 찍은 뒤 분석하기 쉬운 공간좌표 이미지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모태범 선수 기량 회복 지원연구팀은 영상에서 선수의 출발 동작을 약 0.008초 단위로 분석했다. 상체를 정면으로 숙이는 각도와 스케이트 날로 빙판을 미는 ‘푸시 오프’ 자세, 빙판 위를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