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컬러 잉크젯 프린터과학동아 l1996년 07호
- 거의 분할 점령하고 있는 삼보, 큐닉스, 휴렛팩커드 세 회사의 잉크젯 제품은 사실기능상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어 선택은 개인의 취향에 달려있을 뿐이다.각 사의 대표 제품을 중심으로 이들 제품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이유를 살펴보자.삼보스타일러스 칼라Ⅱ-신기술 채용을 인쇄품질 대폭 ... ...
- 1. 참을 수 없는 고통의 메커니즘 : 몸 이상 알리는 적신호 위험 경고하는 통각신경과학동아 l1996년 07호
- 모두 통각을 느낄 수 있으며, 그 도움으로 외부의 위험에 대항해 왔다. 그러나 덩치가 큰 동물일수록 통각을 전달하는 감각신경의 전도속도가 늦기 때문에 유해한 자극에 대항하기에 여러가지 불리한 점이 있다. 공룡도 이런 불리한 점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몸 길이가 30m이상 돼 '정글의 기린' ... ...
- 능란한 화술, 지능적 의사소통과학동아 l1996년 07호
- 관찰한 일이다. 중남미의 열대림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애즈텍 개미 중 몇 종들은 큰 나뭇가지에 어른키 만큼이나 길게 매달린 집을 짓고 산다. 이 개미는 어찌나 사나운지 그 나무 주변에서 잠시만 머뭇거려도 어느새 몇십마리나 되는 일개미들이 들러 붙어 온몸을 물어 뜯는다.침입자(다른 종의 ... ...
- 태양계의 냉동창고, 쿠이퍼대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세레스(Ceres)라는 소행성의 발견으로 1801년부터 알려지기 시작했으나, 그보다 더 큰 쿠이퍼대는 이제 막 그 정체를 들어내기 시작했을 뿐이다. "자다 깨보니 내 집이 열배나 커져 있더라" 라는 발견자 쥬윗의 말대로 참으로 놀랄 만하다.그렇지만 쿠이퍼대가 단주기혜성의 공급창고라는 직접적인 ... ...
- 풍선으로 배우는 미니상식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채운 풍선도 공기 위로 떠오르게 된다.그렇다면 광고에 사용하는 애드벌룬 같은 부피가 큰 풍선은 어떻게 하늘로 띄울까. 공기보다 밀도가 작은 기체를 찾으면 된다. 수소는 공기 중에서 쉽게 불이 붙어 폭발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어렵다.대신 공기보다 밀도가 작으면서 다른 원소와 ... ...
- 초전도이론의 대가, 존 R. 슈리퍼과학동아 l1996년 07호
- 본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에 유치된 국제적인 연구기관인 아테이론물리센터가 앞으로 큰 역할을 담당하리라고 생각한다.과학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말씀해 주십시오.-과거 3천년동안 과학과 기술은 따로 놀았다. 20세기에 들어서서 서로 함께하기 시작해 45년이후에는 과학과 기술이 ... ...
- 동맥경화 해결사과학동아 l1996년 07호
- 그가 오랫동안 연구해왔던 지질대사 분야에서 새로운 약인 로바스타틴을 찾아내는데도 큰 기여를 했다. | 용어설명-지질 |혈장내의 지질은 단백질과 복합체인 지단백질로 존재하는데, 지단백질을 초원심분리기로 분리하면, 트리글리세라이드(T)와 콜레스테롤(C)의 함량에 따라 고밀도지단백질(HDL), ... ...
- 1. 참을 수 없는 고통의 메커니즘 : 병은 나아도 고통은 남는다과학동아 l1996년 07호
- 별다른 조치가 내려지지 않는다. 의사는 병의 원인을 제거했기 때문에 통증 자체에 큰 관심을 갖지 않는다. 하지만 환자는 "맹장을 잘 떼어냈다"는 의사의 말보다 배가 아픈것을 당장 낫게 해주는 치료가 필요하다. 무엇이 문제일까.김전교수(서울대 의대 생리학교실)는 "의료계가 막상 환자들이 ... ...
- 3. 통증을 정복한다 : 마약, 그 뒤에 숨은 이야기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잘 수 없었던 환자에게 투여해 잠을 잘 수 있도록 한데서 따온 것이리라.모르핀의 가장 큰 약점은 의존성을 만들어 탐닉하게 만든다는 점이었다. 그래서 많은 학자들은 모르핀과 비슷한 효능을 가지지만 의존성을 만들지 않는 약을 만들어내려 애썼다. 이 과정에서 1974년 모르펜에 아세틸(acetyl)기가 ... ...
- 2. 지구는 태양의 혜택을 얼마나 누릴까과학동아 l1996년 07호
- 불과 수십년만에 다 소모되고 만다는 한계에 부딪혔다.또 태양에너지가 무한히 큰 원시성운에서 오늘날의 별로 수축할 때 생긴 중력에너지로 나왔다는 가설 역시 설득력이 없었다. 이것 역시 태양이 현재와 같은 비율로 에너지를 방출한다면 수천만년이 지나면 태양은 식어버리기 때문이다.오늘날 ... ...
이전111311141115111611171118111911201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