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디터 노트] 독자들과 코인을 캐는 상상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들으면 됩니다.여기에 현장 견학도 추가하려고 합니다. 연세대 컴퓨터과학과 이병주
교수
연구실, 게임데이터 분석기업 OP.GG 등 데이터 분석자들을 직접 만날 기회를 드리려고 합니다. 취미코딩은 게임뿐 아니라 음악, 스포츠 등 다른 분야로도 확장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코딩 ... ...
[과학뉴스] 라이다로 찾아낸 남미 거대 도시 유적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남아메리카에서는 정착지 형태의 유적만 발견됐다.카를라 제임스 베탕쿠르 독일 본대
교수
는 “라이다는 유적을 기록하는 것뿐만 아니라 문화 유산을 보존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INTRO. 코인 시장에 닥친 세 번의 위기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겨울을 뜻하는 영어 단어 ‘윈터(winter)’를 합친 말이다.김형중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는 “크립토 윈터가 한 가지 원인 때문에 생기진 않는다”면서도 “지나고 난 뒤 영향을 크게 미친 것들을 따져보면 해킹, 규제 등이 있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01.거래소가 털렸다 (58% ⬇)2014년, ... ...
[기획] 떠난 자리에 남은 사람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중단한다”는 내용의 전기사업법 95조 1항을 폐지했다. 국민투표를 주도한 사람은 대학
교수
와 학생이었다. 재완씨는 “‘우리나라에서도 학생들이 정책을 바꿀 수 있겠다’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봤다”고 말했다. (한편, 이후 대만은 2021년 12월 국민투표에서 ‘원전건설 재개’ 반대가 높아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유투버 과학드림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처음 반응을 얻은 영상은 기생충을 주제로 한 내용이었다. 기자 시절 서민 단국대 의대
교수
를 취재하며 흥미로운 기생충이 많다는 사실을 알게 돼 선정한 주제였다. 처음 영상을 완성했을 때만 해도 잘될 거라는 기대가 없었다. 그런데 어느 순간 갑자기 조회수가 오르기 시작했다. 그는 ... ...
[이달의 책] “세상에 의미 있는 것을 만들어라”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개척 정신이 강하게 깃든 전
교수
의 이야기를 담았다. 한국 인터넷과 IT 기술의 시작도 전
교수
의 삶을 통해 말해준다. 한국 최초로 알프스 북벽 마테호른을 등반한 산악가 전길남의 모습도 담겨 있다. 급변하는 현대에서 앞으로 어떻게 살 것인가하는 고민에 대한 답도 그의 인생 속에서 찾을 수 있다 ... ...
[특집] 생명체가 살까? 물이 있는 외계행성 후보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비슷할 것 같다”고 말했어요. 그렇다면 이 행성에는 생명체가 존재할까요? 파리히
교수
는 “이 행성은 너무 멀리 있어서 표면은 물론, 이 행성의 구성 성분이 무엇인지도 알 수 없다”며, “어디까지나 추측과 상상만이 가능할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거주 가능 영역이란? 지구의 생명체는 ... ...
[가상 인터뷰] 1mm 높이 차에도 시간 차이가?! 가장 정밀한 원자시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놓고 92시간 동안 측정했어요. 측정된 시간 차이는 약 90조 년 동안 1초였어요. 콜코위츠
교수
는 “우리의 원자시계는 실험실에서 주로 사용하는 레이저를 썼기 때문에 더 잘 활용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어서 “정밀한 원자시계로 암흑물질 발견과 상대성이론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도 ... ...
[출동! 어과동 기자단] 화학 실험실에 로봇이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6호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최초로 공개되는 화학 실험실 로봇팔이라 감동이었습니다.
교수
님 외에도 기계공학을 전공하신 선생님들도 함께해 더 뜻깊었어요 ... ...
[수학뉴스] 엉킨 머리 빗기 어렵나요? 수학을 이용하세요~
수학동아
l
2022년 06호
20년 만에 그 해답을 찾았습니다. 라크슈미나라야난 마하데반 미국 하버드대학교
교수
팀은 나선 모양으로 꼬인 털 열두 가닥을 3D 형태로 만들었습니다. 털이 얼마나 꼬여 있는지 숫자로 나타내기 위해 ‘고리 밀도’를 계산했어요. 고리 밀도는 단위길이당 꼬인 횟수의 평균이에요. 연구 결과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