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문명 전문가
수학동아
l
2022년 06호
인류의 기억을 되찾을 수 있었습니다. 문자가 발견되면 어떻게 해독하나요? 강인욱
교수
: 미지의 문자가 발견되면 그때부터 내로라하는 천재 언어학자들이 달려들어 누가 먼저 해독하는지 경쟁을 벌여요. 해독이 비교적 쉬운 유물은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언어와 같이 쓰여 있는 거예요. ... ...
[기획] 수학 역사상 가장 오래된 문제가 풀리다!
수학동아
l
2022년 06호
원소를 고르지 못했으니,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한 거지요. 그런데 블룸 연구원이 크루트
교수
의 방법을 발전시켜 분수 연산이 어려운 수들이어도 그 수들이 속한 부분집합의 밀도가 0보다 크면 언제나 역수의 합이 1이 되는 원소를 찾을 수 있다고 증명했어요. “제 해결 방법도 완벽하지 않아요 ... ...
[과학뉴스] 산호초와 말미잘, 선크림 기능을 반대로 사용해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이는 선크림 오염과 기후 변화가 동시에 이뤄지면 산호초가 위험해진다는 뜻이다. 미치
교수
는 “해수 온도 상승으로 산호초가 오염 물질에 더 취약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 ...
[과학뉴스] 사나운 치와와, 천사견 레트리버… 편견일 뿐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개의 행동을 예측할 수 없다고 결론지었다.앨리너 칼슨 미국 매사추세츠대 찬 의대
교수
는 “우리가 품종별 특성이라고 생각하는 개의 행동 대부분은 늑대에서 들개, 가축에서 반려견까지 수천 년간 진화한 결과”라고 말했다. 모든 개의 공통적인 특성이라는 뜻이다. ... ...
안드로메다행 음식배달비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들어 앞으로도 배달비가 오를 것이라는 예측도 있습니다. 정호상 인하대 아태물류학부
교수
는 “앞으로 배달비가 어떻게 바뀔지 섣불리 예측하기는 어렵다”면서 “기술의 발전과 함께 소비자들이 내는 비용과 서비스의 만족도, 배달비 수익의 분배 등 다양한 관점에서 사회적인 합의를 찾아갈 ... ...
네, 그래서 이과가 투명 스마트폰을 만들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자체를 투명하게 만든 연구는 많습니다. 예를 들어 2017년엔 서형탁 아주대 신소재공학과
교수
팀이 두 종류의 나노 결정 산화물을 붙여 가시광선을 100% 가까이 통과하는 반도체를 만들었습니다. 2020년엔 포스텍(POSTECH)과 성균관대 공동연구팀이 투명 P형 반도체를 개발하기도 했죠. 시작부터 술술 ... ...
[융복합@파트너] 까치 둥지를 보면 기후변화가 보인다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원인이라고 생각해 이상기후의 발생 일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있다”고 말했다.이
교수
처럼 생태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국내에 많지 않다. 풍족하지 않은 환경에서도 그는 생태학 연구만이 갖는 매력이 자신의 연구를 이끄는 동력이라고 말한다.“생태학 연구의 가장 큰 매력은 교감이라고 ... ...
[인터뷰] “빅데이터에서 사회문제 해결 실마리 찾아요”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협업해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파악하는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참여하고 있다.차
교수
는 “다양한 전문가와 사회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일이 무척 즐겁고 신난다”고 말했다. 도전에 망설이는 이들에게 메시지도 남겼다.“우리는 일어나지 않는 일들을 고민할 때가 있어요. ... ...
제주도의 모든 생물을 기록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어린이과학동아 지구사랑탐사대 대장이자 내셔널지오그래픽 탐험가인 이화여대 장이권
교수
가 참가자들을 이끌었다. 과학동아 독자 18명도 이 행사에 함께 참가했다. 생물을 기록하는 방법은 쉽다. 생물 사진을 찍고 소리를 녹음한 뒤 아이내추럴리스트(iNaturalist, ‘나 자연학자’라는 뜻) ... ...
[기획] 다시 모인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있다는 점이 가장 그리웠다”고 말했다.정준 GBCC 조직위원장(강남세브란스병원 유방외과
교수
)은 “강연을 듣고 업무 대화를 나누는 것은 온·오프라인의 차이가 크지 않다”며 “학술대회는 그 이상의 의미가 있다는 사실을 참가자들도 느끼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직접 얼굴을 맞대고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