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원
출처
원천
시초
유래
기도
시작
d라이브러리
"
기원
"(으)로 총 1,95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을 중심에 둔 과학만이 인류의 미래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바칠 각오를 할만큼 애정을 가졌다고 한다.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두개골을 통해 인류의
기원
을 추적하는 것에서 시작되는 이 책은 고대 예리코의 오아시스에서 잡종밀의 개량이 가져다준 농업혁명과 말의 가축화가 유목경제에 미친 영향, 연금술로부터 시작된 현대과학의 발전과 아랍인들이 ... ...
색동옷에 숨겨진 전통염색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섣달 그믐에 어린이에게 색동옷을 입히는 까닭은 색동에 무병장수와 제액(除厄)을
기원
하는 뜻이 담겨있기 때문이다.오방색의 원리가 적용된 또다른 대표적인 사례는 건축에 있다. 사찰이나 궁궐 지붕 아래 펼쳐진 단청도 바로 이런 음양오행설을 따르는 것이다. 단청이야 말로 전통 색체계의 ... ...
마침내 다시 합쳐진 사자머리 조각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한 전문가의 직감으로 시작된 국제적인 조사 끝에 다시 복원됐다.문제의 주인공은
기원
전 약 5백년에 만들어진 사자머리 모양의 테라코타. 이 유물은 현재 복원 작업을 거쳐 영국 뉴캐슬대 쉐프턴 고대 그리스 유물 박물관에 전시돼 있다.얘기의 시작은 197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두부분으로 ... ...
아프리카 '루시' 부터 평양 '만달인' 까지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종교와 이권을 둘러싼 피비린내나는 동족(호모 사피엔스)상잔의 비극이 어서 끝나기를
기원
해 본다. 3월 15일 시작된 이번 전시는 5월 30일까지 계속된다 ... ...
X-43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때 발열한다 이 사실을 열역학적으로 설명하면 신장할 때의 엔트로피 감소가 탄성력의
기원
임을 뜻하고 보통의 고체탄성이 내부에너지의 변화에 따르는 것과 전혀 내용이 다르며 오히려 기체의 압축에 대한 탄성과 비슷하다 고무제품의 물성(物性)을 조정하기 위해 생고무에 혼합하는 화학물질 ... ...
1. 반갑다 향고래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수많은 고래들이 등장한다. 이 암각화는 예술적 가치와 함께 고래의 분포, 포경업의
기원
등 당시 상황을 전해주는 귀중한 사료다. 또 삼국사기에는 바다에 고래가 많다하여 ‘경해(鯨海)’ 라 불렀다는 대목이 나온다. 원나라와 명나라도 한반도 바다를 경해로 불렀을 정도였다. 조선시대 사료 역시 ... ...
우리 역사에서 찾아낸 나무의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제작과정의 역사적 비밀도 밝혀볼 생각이다.흔히 고려와 몽골의 전쟁 중 승전을
기원
하기 위해 강화도에서 제작돼 지금의 해안사로 운반된 것으로 알려진 팔만대장경판에, 경판이 옮겨진 흔적이 남아있지 않고 원래 남부지방에서만 자라는 나무들이 사용된 점 등 석연치 않은 구석이 많기 때문이다.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아시아로 이동한 뒤 다시 여러 대륙으로 집단 팽창했다는 이론은 '아프리카
기원
설2'다일련의 특이한 염기서열이나 여러 유전자들이 가깝게 연관돼 한 단위로 표시될 수 있는 유전자형을 가리킨다 따라서 하플로그룹은 같은 미토콘드리아 DNA 유전자형을 가진 그룹으로 보면 된다정상과 열성 ... ...
06. 일본 떨어져 나가 동해 열리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사실이 이미 밝혀졌다. 러시아와 일본 지질학자들이 이 돌출 부위에서 대륙지각
기원
의 화강암이나 변성암류를 발견했던 것이다. 이들은 동해가 형성되면서 대륙지각이 함몰된 것들이다.떨어져 나간 일본열도 동해는 동서 폭이 약 1천1백km이고 남북 폭이 최대 2천km이다. 일본열도가 아시아 ... ...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청동기시대 후기 한국식동검문화기에 해당되는 고조선유적에서부터 발견된다. 이어
기원
전 108년 고조선이 한나라에 의해 멸망하면서 설치된 ‘한사군’ 유적에서도 다양한 솥이 출토된다. 특히 낙랑군 유적은 4개군 가운데 가장 많은 종류의 솥이 나온 곳으로 유명하다. 그 종류만 해도 정, 복, 부가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