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원
출처
원천
시초
유래
기도
시작
d라이브러리
"
기원
"(으)로 총 1,954건 검색되었습니다.
01. [시간의
기원
] 시간의 시작은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0에 가까워지거나, 또는 0에 가까이 수축했다가 다시 팽창하는 것일 수 있다는 것. 시간의
기원
유무는 여전히 오리무중인 것이다.한편 이형목 교수는 “우주의 팽창이 계속되고 시간이 영원하다면 우주는 어떻게 되겠느냐”고 묻는다. 무한한 우주팽창으로 은하 간의 거리는 무한히 멀어질 것이다. ... ...
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11:00 알레르기 반응 최대▼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시간의 본질을 파헤친다 01. [시간의
기원
] 시간의 시작은 있나?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때문이다. 재블론스키 박사는 “이런 지역의 경우 문화적 영향도 크다”며 “유럽
기원
의 아랍인은 2천여년 전 아라비아반도에 정착했지만 두꺼운 옷을 두르고 텐트에서 생활해 햇빛의 영향력이 약화됐다”고 말한다. 따라서 아랍인들은 유럽인보다는 피부색이 짙지만 비슷한 기후인 아프리카 ... ...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시간이므로 시대마다, 또 문명권마다 제각기 다르다. 새해를 기념한 가장 오랜 기록은
기원
전 2000년경의 메소포타미아인데, 태양력과 태음력이 뒤섞인 방식으로 새해 첫날을 정했다. 즉 바빌로니아에서는 춘분에 가장 가까운 그믐날, 아시리아에서는 추분에 가장 가까운 그믐날이 ‘1월 1일’이었다 ... ...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죄송합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시간의 본질을 파헤친다 01. [시간의
기원
] 시간의 시작은 있나?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05. ... ...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과학은 늘 열려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시간의 본질을 파헤친다 01. [시간의
기원
] 시간의 시작은 있나?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추측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시간의 본질을 파헤친다 01. [시간의
기원
] 시간의 시작은 있나?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05. ... ...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시작할 예정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시간의 본질을 파헤친다 01. [시간의
기원
] 시간의 시작은 있나? 02. [시간의 물리학] 시간여행은 가능한가?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05. ... ...
알파벳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아마도 수메르 거주자들은 점토판을 이용해 도시 경제에 중요한 문서를 작성했을 것이다.
기원
전 4000년대 메소포타미아 경제는 상당히 발전해 몇몇 엘리트들의 기억에 의존할 수 없었다. 당사자 간의 계약을 믿을 만하고 영구적인 형태로 남기는 도구가 절실히 필요했다. 도시가 생기고 중앙집권적 ...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 충북에서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추가적인 발굴이 이뤄져야 벼의 재배과정을 완전히 밝혀낼 수 있다는 설명이다.벼농사의
기원
에 대한 결론이 어떻게 내려지든 우리민족이 아주 오래 전부터 쌀과 끈끈한 인연을 맺고 있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을 것이다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