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위"(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우사인 볼트보다 더 빨리수학동아 l2011년 08호
- 0.2초까지만 측정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 그러다가 1929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0.1초 단위까지 측정하기 시작했답니다. 이때까지도 사람이 직접 수동시계를 이용해 기록을 측정했어요. 정확성을높이기 위해 세 사람이 각자의 시계로 기록을 쟀어요. 이들 중 두 사람이 측정한 기록이 같으면 그것이 ... ...
- Part 2. 건강기능식품 돈 값 못한다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모든 연구가 그렇지만 건강기능식품의 연구도 설계에 따라 결과가 바뀔 수 있다. 세포 단위나 동물 실험에서 인정을 받거나, 적은 사람을 대상으로 연구했을 때 기능성이 있더라도, 더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인체실험을 하면 셀레늄처럼 결과가 뒤집히기도 한다.물론 홍삼이나 오메가3 같은 ... ...
- 수학과 물리학이 만나 우주 생성 비밀 밝혀수학동아 l2011년 07호
- 로저 펜로즈가 설명해낸 것이다. 그런데 이번에 발표된 ‘조^홍 이론’은 물질의 기본 단위를 0차원의 점이 아니라 1차원인 끈으로 가정한다. 기존의 빅뱅이론 결과를 포함하면서 우주의 생성 과정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조^홍 이론은 천체를 비롯해 우주에 존재하는 ... ...
- 북두칠성처럼 여름밤을 밝히는 행운의 수 7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수성, 금성, 화성, 토성, 목성 이렇게 7가지뿐이었어. 이런 배경으로 7일이 일주일의 기본단위가 된 거지.이렇게 여러 가지 이유로 나는 종교와 신화는 물론 달력에까지 등장하게 됐어. 여기서 잠깐 ‘비너스 마방진’, 즉 ‘금성 마방진’을 알려줄게. 아참, 먼저 마방진이 무엇인지부터 ... ...
- 들이와 무게는 어떻게 다른가?수학동아 l2011년 07호
- 들이와 무게는 모두 물체를 측정할 때 쓰는 용어지만 가끔씩 헷갈리기도 합니다. 둘을 정확하게 구별하기 위해서는 부피를 이해해야 합니다.부피 ... 해서 무게도 같은 것은 아니랍니다. 또 부피가 크다고 해서 무거운 것도 아니고요. 무게의 단위는 kg인데, 1kg은 1L의 물의 무게를 말합니다 ... ...
- 대지진, 일본을 뒤흔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사실 이 둘은 다른 의미예요. 규모는 지진 자체가 만들어 낸 에너지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위로, 어디서 측정하든 똑같아요. 하지만 진도는 관측장소에서 느끼는 지진의 크기로, 어디서 측정하냐에 따라 다르답니다. 또 규모는 0부터 숫자로 표기하지만 진도는 Ⅰ, Ⅱ 같은 로마자로 표기하는 점이 ...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1년 07호
- 여닫으면 빛이 조금 들어오고, 느리게 여닫으면 빛이 많이 들어온다.셔터속도는 초 단위로 나타낸다. 셔터속도가 1/125라는 것은 1/125초 동안 빛을 받아들인다는 뜻이다. 셔터속도에는 4, 2, 1, 1/2, 1/4, 1/8,1/15, 1/30, 1/60, 1/125, 1/250, 1/500, 1/1000 등이 있는데, 셔터속도가 빠른 쪽으로 ...
- 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암흑물질과학동아 l2011년 06호
- 킬로전자볼트(KeV, 1000eV) 단위를 갖는 스트라엘 중성미자, 메가전자볼트(MeV,1백만eV) 단위를 갖는 암흑물질 등 ‘따뜻한 암흑물질’ 후보가 더 있다. 하지만 아직 누가 진짜 암흑물질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오늘도 세계 곳곳의 물리학자들은 보이지 않는 입자를 찾아 우주 저편 ‘암흑의 핵심’을 ... ...
- 위성사진으로 GDP 측정한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얻은 전 세계 사진을 위도와 경도 1°씩 잘라 작은 단위로 만들어 얼마나 밝은지 1년 단위로 측정한 뒤 세계은행이 매년 발표하는 국가별 GDP와 비교했다. 그 결과 도시가 밝으면 GDP가 더 높았다. 연구팀은 “이 연구가 선진국보다는 개발도상국이나 가난한 나라에 더 잘 맞아떨어진다”며 “미국과 ... ...
- 과학 고전 시리즈물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1년 06호
- 지구에서 연구하고 측정한 그 어떤 물리량보다 미세한 물리량이기 때문이다. 길이 단위로 측정되는데, 10-23m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해상도를 갖춰야 한다. 하지만 최신 기술을 모두 동원해도 아직 10-16m 정도밖에 측정할 수 없다.현재 미국과 이탈리아, 독일, 호주, 일본 등이 독자적인 관측장비를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