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조
대비
견줌
비유
비김
비교분석
분석
d라이브러리
"
비교
"(으)로 총 6,845건 검색되었습니다.
탐험┃태양계 탐험이야기··· 달 VS 화성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우리가 사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천체이자 지구의 하나뿐인 자연 위성이다. 지구와
비교
해 질량은 0.0123배, 중력은 0.166배로 작다. 지구에서 몸무게가 65kg인 사람이 달에 가면 10.79kg이 된다. 달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한다. 태양의 빛이 닿는 표면이 반사돼 빛나는 것처럼 보일 뿐이다. 달은 어떻게 ... ...
[SW 진로체험] 수학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핵심은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적용해 실험했어요. 실제 문제와 사진을 해석한 문제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점수로
비교
한 거죠. 현재 콴타에 탑재된 딥러닝 모형은 약 88%의 정확도로 문제를 인식합니다.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고, 최근 한 차례 업데이트를 하면서 사용자들의 만족도가 더 높아졌어요. 지금 ... ...
포켓몬 몸집의 물리학 피카츄는 뚱뚱할까, 날씬할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허리둘레는 기껏해야 키가 작은 사람의 1.4(≈21/2)배 정도다. 독사진을 찍어 나란히
비교
하면 당연히 키가 큰 사람이 날씬해 보인다. 패션모델 중에 키 큰 사람이 많은 이유가 바로 이것이 아닐까. 키 큰 사람이 날씬하다는 어찌 보면 당연한 결론은, 사람의 체질량지수 계산법 M/H2으로부터 나오는 ... ...
영화 ‘맨 인 블랙’ 외계인 vs. 지구 생명체 능력 대결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모습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Q. 증언에 따른 외계인과 영화 ‘맨 인 블랙’의 외계인을
비교
한다면?(웃음) 영화에 나온 외계인은 상상 속 캐릭터라고 생각한다. 피랍자들의 증언으로 살펴봤을 때 외계인이 몸을 재생하는 능력이 있다거나 사람의 뇌로 침투해 조종을 한다는 등의 증언은 전혀 없었다. ... ...
RNA가 지구 최초 생명체 만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가설을 세우며 실험을 통해서 옳고 그름을 알아내고, 그 결과를 모아 수많은 이론들을
비교
하고 경쟁해보며 또 다른 가설을 세운다. 이런 과정을 보며 필자는 문득 이 연구가 지구에서 볼 수 있는 여러 생물들의 경쟁과 상생, 그리고 진화하는 모습과 닮았음을 느낀다. 생명력을 가진 연구라고나 할까 ... ...
식물학자의 한국 우주인 도전기 한국형 SF소설 ‘중력’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가족, 진로에 대한 걱정에 더 많은 시간과 정력을 허비한다. ‘중력’과 같은 한국형 SF와
비교
할 때 과학과 과학적 고민만 존재하는 ‘그래비티’와 같은 할리우드 SF는 물리적 중력과 사회적 중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현실이 아니라 현실에서는 존재할 수 없는 판타지인 것이다. "소설에서 주인공 ... ...
[10대의약] SNS 달군 다이어트 식품 효과는?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셈입니다. 게다가 최근 청소년의 비만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5년 전(21.8%)과
비교
하면 3.2%가 늘었습니다.그래서인지 최근 다이어트 약이나 다이어트 식품에 관심을 가지는 청소년이 늘었습니다. 다이어트 약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식욕억제제입니다. 식욕억제제는 뇌의 ... ...
수학으로 테러 조직을 막아라!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그럼 B와 C는 어느 쪽이 순서가 앞일까요? 이 둘은 서로 별개 방향의 꼭지이므로 순서를
비교
할 수 없어요. 이처럼 순서가 있는 원소들과 순서가 없는 원소들이 섞여 있는 집합이 부분 순서 집합이죠. 테러 조직 역시 수장과 부하 조직원으로 이뤄진 부분 순서 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어요. 그림에서 ... ...
[수학 THE LOVE] 어디서나 사랑받는 팔방미인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사람이 직접 개입해 모델을 수정해야 한다. 이 때문에 그동안 인공지능을 개선하는 데는
비교
적 오랜 시간이 걸렸다.이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것이 현재 임 연구원이 연구 중인 ‘자동 기계학습(AutoML)’이다. 자동 기계학습이 기존 기계학습과 다른 점은 모델을 바꾸는 데 개입할 수 있다는 점이다. ... ...
명화가 훼손되면 어쩌죠?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나타나는 차이가 생깁니다. 예컨대 특정 영역에서 전후 단계의 계산값 차이를
비교
했을 때 그 영역에 머뭇거린 흔적이 있다면 진품과 위작의 계산값에 차이가 생기죠. 도브시 교수팀은 이런 식으로 6개의 그림 중에서 고흐의 작품 5개와 위작 1개를 정확히 구분할 수 있었습니다.김대경 한양대학교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