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실
실상
진실
실질
현실
실태
실천
d라이브러리
"
실제
"(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7000만 도에서 72초까지 달성했다. 하지만 ITER를 핵융합발전기로 바로 사용할 수는 없다.
실제
발전용 장치를 장착한 핵융합실증로(DEMO·데모)를 지어 검증을 마쳐야 한다. ITER로 핵융합 발전의 가능성이 확인되면 이후 DEMO를 통해 핵융합 반응부터 전기 생산에 이르기까지 핵융합발전소 운영의 전 ...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인지 파악하고 미래를 조망하려면 인문학적인 소양과 공감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실제
로 산업공학과는 공대 내 다른 학과보다 들어야 하는 필수 교양 과목이 많다. 글쓰기의 기초, 말하기와 토론, 과학과 기술 글쓰기 등 3개 과목은 필수로 수강해야 한다. 모두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관련된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1] 진로를 탐색하는 이유와 의미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활동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배구 경기를 보러 갔다고 하자. 선수가 너무 멋있어서
실제
선수가 되고 싶을 수도 있고, 구단 직원 이나 응원단이 되고 싶을 수도 있다. 프로 스포츠의 열기가 너무 좋아 스포츠마케터가 되고 싶어질 수도 있고, 프로 구장의 화려함에 놀라 건축이나 건축기술에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생물다양성을 지키는 첫걸음 기자단 혜택 소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유명한 이유는 바로 ‘캐비어’라는 철갑상어 알 때문이에요. 빨판상어도 역시
실제
로는 상어가 아니에요. 등에 빨판이 있어서 주로 상어나 바다거북 등 대형 동물에 붙어서 사는 바닷물고기지요. 빨판상어와 상어는 한쪽은 이익을 얻지만 다른 한쪽은 이익도 불이익을 얻는 것도 아닌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뿌리혹세균은 질소 자원인 암모니아를 식물에 제공하는 댓가로 콩 뿌리에서 공생한다.
실제
로는 동물도 다양한 미생물과 공생관계를 맺고 있다.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사례는 소와 같은 초식동물이다. 초식동물은 식물 속 셀룰로오스를 분해해 당분을 얻는다. 하지만 이들의 소화기관은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이용한 연구는 불과 10년 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지구시스템 모델로 예상한 값은
실제
관측값과 오차가 존재합니다. 또한 북극해는 인류의 발길이 쉽게 닿지 않는 지역이기 때문에 관측 자료가 부족해 오차를 수정하기도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구시스템 모델은 해양의 식물성 ... ...
초코볼, 적분을 부탁해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없겠죠. 누구나 쉽게 모든 도형의 면적이나 부피를 구할 수 있을 테니까요. 그런데
실제
세상은 불규칙한 도형들로 가득합니다. 예를 들어 울퉁불퉁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호수가 있는데, 이 호수의 넓이를 구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냥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곱하는 식으로는 ... ...
[과학뉴스]실험실에서 키운 망막 오가노이드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생물학과 교수팀이 줄기세포를 망막 오가노이드로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 오가노이드는
실제
장기와 비슷한 구조와 세포 구성, 기능을 지닌 ‘미니 장기’다.연구팀은 망막으로 분화하는 데 필요한 영양소와 화학물질을 공급해 줄기세포를 2주간 배양했다. 그 결과 줄기세포는 20~60개의 작은 세포 ... ...
[TECH]大화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스마트폰의 베젤(bezel)을 줄였다. 베젤이란 디스플레이를 정면으로 바라봤을 때
실제
로 화면이 표시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말한다. 애플의 경우 아이폰X부터 화면의 일부를 파내는 노치(notch) 디자인을 적용하고 물리적인 홈버튼을 제거하면서 베젤의 크기를 줄였다. 삼성 갤럭시 시리즈도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수학동아
l
2018년 11호
함숫값 으로 갖는 함수 Li(x)를 찾아냈어요. Li(x)의 함숫 값은 말 그대로 ‘대략적’이라서
실제
개수를 나타 내는 함수 π(x)와는 오차가 있었어요. 소수의 개수를 완벽하게 알려주는 식은 찾기 어려우니까 수학 자들은 우선 오차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식 을 찾는데 힘썼지요.리만은 ‘제타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