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뉴스
"
밀도
"(으)로 총 1,363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드뉴스] 보글보글 거품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7.05.23
메탄 같은 기체가 갇혀 거품 방울로 팽창하면서 함께 돌(부석)이 됩니다. 물에 뜰 만큼
밀도
가 작답니다. 에어로젤은 모래와 유리로 만든 고체거품입니다. 빈 공간이 98%나 돼 연료나 전자를 담을 수 있고 소리와 열을 차단하는 효과가 커 우주 탐사에 쓰이기도 합니다. 파도거품은 폭풍이 지나간 뒤 ... ...
“사막에서 날아오는 황사가 대기오염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17.05.14
바람이 잠잠해졌을 때 그 피해는 생각보다 크다. 실제로 연구진이 고비사막 주변 인구
밀도
가 높은 12개 중국 도시의 겨울철 대기 질을 조사한 결과, 먼지바람이 불어온 뒤 2~3일 뒤 도시의 공기가 먼지바람이 불기 전보다 오히려 깨끗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먼지가 3분의 1가량 감소하면 인공물질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2017.05.02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캐나다 토론토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주거지의 나무
밀도
가 높을수록 심혈관계 및 대사질환 발병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들은 블록(도시 구획 단위) 당 나무 열 그루만 더 심어도 의료비를 1만 캐나다달러(약 840만 원)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역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바뀔 수 있다. 엑손 주변에 있는 SNP는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쳐 세포 포면의 수용체
밀도
, 즉 민감도의 차이로 이어질 수 있다. 오싫모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오이의 향을 싫어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냄새부터 거부감이 드니 먹을 마음이 생기지 않는 것이다. 오이 같은 담백한 음식에서 냄새라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농도가 올라가면 뉴런을 둔하게 만들어 잠을 유도한다. 그런데 뉴런 표면의 수용체
밀도
가 낮아지면 아데노신의 신호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피곤해도 잠이 잘 오지 않는다. 커피에 들어있는 카페인은 이 수용체에 달라붙어 아데노신의 작용을 방해하므로 안 그래도 수용체가 부족한 ... ...
미세먼지가 유방암 위험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7
여성들은 평균 3년 정도 해당 지역에 거주했다. 지금까지 도시 여성이 시골 여성보다 고
밀도
유방을 가질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는 있었지만, 대기오염이 정확한 원인으로 지목되진 않았다. 이산화질소(NO₂) 등 교통수단이 배출하는 대기 오염물질이 유방암 발병률과는 관련 없다는 연구 결과가 ... ...
서울 한복판까지 출몰하는 멧돼지, 대체 왜?
동아사이언스
l
2017.04.07
국립생물자원관이 발표한 ‘2015년 야생동물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국 평균 멧돼지
밀도
는 ㎢당 5마리다. 2011년 4마리, 2013년 4.2마리로 꾸준히 늘고 있다. 멧돼지와 사람이 공존하려면 개체 수 조절이 필수다 ... ...
한 번 충전으로 서울-부산 달리는 배터리 개발 성큼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이차전지는 현재 스마트폰, 전기자동차 등에 쓰이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보다 에너지
밀도
가 5~15배 높다. 같은 부피에 더 많은 에너지를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다. 전기자동차 등에 적합하지만, 충전 속도가 느리고 수명이 짧다는 점이 문제였다. 고려대 제공 연구진은 리튬-공기 배터리에 주로 ... ...
네이처, “中미세먼지로 1년 간 韓-日 3만900명 사망”
동아사이언스
l
2017.03.30
희생시키고 있는 셈”이라며 “한국과 일본처럼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우며 인구
밀도
가 높은 국가도 초미세먼지가 바람을 타고 날아오면 건강에 직격타를 맞는다”고 말했다. ... ...
조준호 LG전자 사장 소개로…베일 벗은 'G6'
포커스뉴스
l
2017.02.27
디스플레이는 1인치 당 화소수가 564개다. 지금까지 출시된 LG 스마트폰 가운데 화소의
밀도
가 가장 높아 역동적인 화면을 생생하게 구현한다. LG G6는 HDR 규격인 돌비 비전과 HDR 10을 모두 지원한다. 돌비 비전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은 LG G6가 처음이다. HDR는 화면의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을 보다 깊이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