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뉴스
"
밀도
"(으)로 총 1,458건 검색되었습니다.
"AI 활용해 만든 소재, 아직 갈길 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10.02
AI가 등장하기 전 연구자들은 전통적인 계산 방법을 사용했다. 주된 방법 중 하나는
밀도
함수 이론(DFT)이다. DFT는 물질 내에서 전자의 움직임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가상의 무기 화합물의 경우 DFT를 통해 △어떤 구조가 가장 안정적이며 △존재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지 △화합물의 특성은 ... ...
빅뱅 증거로 노벨 물리학상 받은 조지 스무트 별세…한국 연구 이끈 거장
동아사이언스
l
2025.10.02
약 38만 년이 지나 우주 전체로 퍼져나간 '태초의 빛'이다. 빛의 온도 차이는 초기 우주의
밀도
차이를 보여주는 결정적 증거였다. 만약 초기 우주가 완벽하게 균일했다면 현재의 은하와 천체는 존재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점을 설명했다. 1992년 4월 연구 결과를 언론에 발표하며 스무트 교수는 ... ...
뇌전증 발작 이유, 3차원 전자현미경으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30
최고해상도 현미경이다. 분석 결과 발작을 유발하는 뇌 부위에는 흥분성 시냅스의
밀도
가 줄어든 대신 일부 시냅스가 비정상적으로 커져 많은 신경전달소포를 함유하고 있었다. 신경전달소포는 신경세포의 축삭 말단에 존재하는 막으로 둘러싸인 작은 소포로 신경전달물질을 함유한다. 억제성 ... ...
힘 빠진 암흑에너지?…우주는 '브레이크' 밟는 중
과학동아
l
2025.09.27
찾는 덕이라고 강조했다. “DESI에서 얻은 데이터로 우주를 팽창시킨 암흑에너지의
밀도
가 지난 45억 년 동안 10%가량 변했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분석 결과대로라면 우주의 팽창 가속도가 점점 줄고 있어 현재 표준 모형을 수정해야 할 수도 있죠. BAO 감도가 높을수록 은하나 퀘이사 ... ...
공기 속 수증기만으로 전기 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25.09.25
그 결과 이 장치는 최대 단락 전류
밀도
15.3 mA/cm²(장치 표면 1cm²에서 흐르는 전류), 출력
밀도
1.33 mW/cm²(장치 표면 1cm²당 발생하는 전력)를 기록하며 기존 기술 대비 약 100배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나아가 개발된 소자 8개를 직렬로 연결해 외부 전원 없이 9mW 전력으로 블루투스 저에너지(BLE) 무선 ... ...
전고체 전지 상용화 열쇠 ‘원자의 진동’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23
게재됐다. 전고체 전지는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안전하고 에너지
밀도
가 높은 차세대 배터리다. 리튬이온이 통과하는 고체전해질의 전도도에 성능이 크게 좌우된다. 연구팀은 기존 연구가 주로 원자 배열 같은 고정된 구조 분석에 초점을 맞췄던 점을 넘어 리튬이온의 동적 ... ...
화재 위험 적은 전고체전지 상용화 앞당길 고체전해질막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23
개발된 고체전해질막을 적용한 전고체 전지는 기존 펠렛형 전해질 대비 6배 높은 에너지
밀도
를 달성했으며 실온에서도 안정적인 충·방전 성능을 보였다. 이영기 E실장은 “실제 배터리 양산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마련한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 doi.org/10.1002 ... ...
명왕성 닮은 '간식' 먹는 백색왜성…"미래 태양계 엿봤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19
260광년 떨어진 백색왜성 'WD 1647+375'는 지구만 한 크기에 태양 절반 수준의 질량이 고
밀도
로 압축된 상태다. WD는 백색왜성(White Dwarf)의 약자고 1647과 375는 천문학상 좌표를 의미한다. 연구팀은 허블망원경으로 명왕성과 비슷한 '얼음 천체'가 백색왜성으로 끌려 들어가는 모습을 관측했다. 분석 결과 ... ...
뇌신경회로칩으로 우주인 인지기능 저하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19
조건에 비해 뚜렷하게 감소했으며 세포 내 활성산소 증가, 칼슘 농도 변화, 축삭돌기
밀도
와 시냅스 형성 저하가 확인됐다. 세포 스트레스 방어에 관여하는 유전자(HSPA4)의 발현은 줄어든 반면 신경퇴행 질환과 연관된 유전자(SNCA)의 발현은 증가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가 우주인의 비가역적 ... ...
고무처럼 늘어나고 강철처럼 단단해지는 인공 근육
동아사이언스
l
2025.09.17
때는 원래 길이의 86.4%까지 줄어 사람 근육(약 40%)보다 두 배 이상 강하게 수축했다. 작업
밀도
는 사람 근육보다 30배 더 큰 1150kJ/㎥를 기록했다. 근육 1㎥가 낼 수 있는 에너지는 1150 kJ(킬로줄)이라는 의미다. 같은 부피라도 인공 근육이 사람보다 훨씬 더 많은 힘과 에너지를 발휘할 수 있다.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