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궁 아일랜드 어워드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로블록스로 미궁을 어떻게 구현할지 궁금했거든요. 나오자마자 첫 번째로 들어가서
1
시 간
1
0분 만에 모든 문제를 풀고, 섬을 돌아다니면서 도움이 필요하신 분들께 힌트를 전달했어요.미궁 아일랜드는 로블록스로 미궁 게임에서 충족시킬 수 있는 ‘사고적 요소’와 탈출 게임에서 충족시킬 수 ... ...
[옥톡과 달냥의 우주탐험대] 메신저호와 수성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04호
끌어당기거나 미는 힘인 자기력이 있는 공간을 말해요.km/h: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예요.
1
시간에 몇 km(킬로미터)를 움직이는지 뜻해요.크레이터: 천체의 겉면에 보이는 옴폭 파인 큰 구덩이예요. 화산 활동이나 운석의 충돌로 인해 생겨요.공전: 한 천체가 다른 천체의 주변을 일정한 간격으로 ... ...
[가상 인터뷰] 핵폭발이 일어나면 ‘방구석’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4호
핵이 쪼개지고 에너지를 내는 과정이 수없이 반복되면서 엄청난 폭발력이 생긴답니다.
1
초도 안 되는 순간에 주변의 모든 물질을 기체로 만들어버릴 만큼 강하죠. 이 기체는 폭발지점으로부터 사방으로 팽창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폭풍파’라고 해요.Q. 폭풍파의 파괴력이 어느 ... ...
[과학영상 읽어줌] ChatGPT에게 수능과 토익을 풀게 해 봤다. 결과는 충격적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4호
아라비아 숫자 탄생의 역사를 확인해 보세요! ●근력으로 쥐덫을 벗어난 쥐 조회 수 : 4
1
만 회채널명 : WLDO (구독자 수 : 39.8만 명)으라차차! 쥐덫에 꼼짝없이 갇힌 쥐가 역기를 다루듯 쥐덫을 번쩍 들어 올렸어요. 놀랍게도 광고 속 이 장면은 컴퓨터그래픽(CG)이 아닌 실제 로봇으로 촬영한 장면입니다.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로봇의 시초, 움직이는 인형 고래 오토마타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4호
선보여 혁신상을 받았어요. 이 로봇의 이름은 ‘웨이스트 샤크’로 약 72kg 무게에 작은
1
인용 카약 정도의 크기예요. 웨이스트 샤크는 유럽 최대의 무역항인 네덜란드 로테르담 항구에서 하루 500㎏에 달하는 쓰레기와 녹조류를 제거해요. 웨이스트 샤크에는 라이다 및 초음파 센서가 탑재되어 있어 ... ...
[질문하면 답해ZOOM] 생선을 먹고 김치를 먹으면 왜 쓴맛이 나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4호
머리카락이 자라는 전체 면적이 628cm2임을 어림했으므로, 전체 머리카락의 개수는 628(cm2)×
1
00(개)=62800(개), 즉 약 6만 3천 개라고 구할 수 있죠. 한편, 머리카락은 매일 약 50~
1
00개가 빠집니다. 머리카락은 보통 3~8년에 거쳐 성장하는데 성장기에는 빠지지 않죠. 하지만 머리카락이 성장을 멈추면 약 . ...
[에디터 노트] Made in Korea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항상 틀립니다. 이영혜 부편집장은 저를 “과학동아의 펠레”라고 부릅니다. 제가
1
등을 할 거라고 예언한 기사는 꼭 물을 먹거든요. 독자들께 묻지 않고 저의 감으로 과학동아 표지를 정했다면, 큰일날 뻔 했습니다. 그래도 서당개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고 시간이 쌓이며 몇 가지 발견한 경험칙이 ... ...
[항공] 덕지덕지 달 먼지가 붙었을 땐? 액체 질소 스프레이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제거할 수 있었다. 달 먼지는 평균 98.4% 제거됐으며,
1
0μm(마이크로미터・
1
μm는
1
00만 분의
1
m) 미만의 입자는 95.9% 제거됐다. 액체 질소 스프레이는 지구 대기보다 우주 환경과 유사한 진공에서 더 효과적으로 작동했다. 액체 질소 스프레이를 이용해서 먼지를 털면 우주복 손상도 덜했다. 일반적 ...
사람 같은 생성형 AI는 언제? MIT-IBM 왓슨 AI 연구소에 묻다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윤리적인 문제와 편향성을 극복하는 것도 과제다. 한 예로 메타(옛 페이스북)는 지난해
11
월 과학자들의 논문 작성을 도와주는 과학 언어 AI 모델 ‘갤럭티카(Galactica)’를 출시했다가 3일 만에 서비스를 종료했다. 부정확하거나 잘못된 과학적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콕스 ... ...
[한장의 동물] 세상에 유니콘은 없지만 요정 고양이는 있다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다른 이름은 ‘세상에서 가장 작은 고양이’다. 다 자라도 몸무게가 약
1
kg인 작은 몸집 때문에 붙은 별명이다. 붉은점살쾡이의 생태학적 특성은 아직 많이 밝혀지지 않았다. 분명한 사실은 주요 서식지가 파괴되면서 현재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것. 지금 지키지 않으면 ‘요정 고양이’는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