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 뉴스] 바이러스 먹는 미생물 할테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실험 결과 할테리아는 이틀 만에 약 15배 증가했고, 클로로바이러스는 100분의 1 정도로 급감했어요. 바이러스를 넣지 않은 접시에서는 할테리아가 늘지 않았죠. 연구팀은 “바이러스만 먹는 미생물이 또 있는지 조사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 ...
- [4컷 만화] 페름기 대멸종, 육지생물의 멸종 원인은 자외선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1월 6일 중국 국립과학원 난징 지질학 및 고생물학연구소 리우 펑 교수팀은 페름기 대멸종● 당시 강력한 자외선이 육지 동물을 대거 멸종시켰다는 ... 시기인 페름기의 끝 무렵에 지구 생명체의 약 90%가 멸종한 사건. 시베리아 지역에서 100만 년 동안 계속된 화산 폭발 때문에 일어났다 ... ...
- [기획] 지구온난화라며 왜 올겨울엔 혹한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기획] 지구온난화라며 왜 올겨울엔 혹한이?Part1. [기획] 이상 고온이 불러온 이상한 한파Part2. [기획] 변덕스러운 겨울 날씨의 이유는?Part3. [기획] 미래일기 60여 년 뒤, 한반도의 겨울은 ... ...
- [기획] 미래일기 60여 년 뒤, 한반도의 겨울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최악의 시나리오(SSP5-8.5)를 토대로 상상하여 작성되었습니다. IPCC 제6차 평가보고서 제1실무그룹 보고서(2021) 208X년 2월 XX일, 날씨 엄청 추움“으으~, 추워~!”이불 안까지 스며드는 한기에 몸을 부르르 떨며 잠이 깼다. 외부 온도를 확인해 보니, 영하 0.5℃다. ‘영하라니…, 정말 오랜만에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클라우드 서비스 슬기롭게 활용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동의 없이 서비스를 통해 생체데이터를 무단 수집했다는 소송이에요. 이후 구글은 1억 달러(약 1269억원)의 합의금을 물기로 했죠.우리가 별 생각 없이 클라우드에 올리는 개인정보들이 100% 안전하게 보호되고 관리된다는 보장은 없어요. 하드디스크나 USB처럼 내가 직접 관리하는 개인장치가 아니라 ... ...
- [숫자로 보는 뉴스] 댕댕 소방관 5마리 출동~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훈련까지도 성공적으로 마쳐야 구조견이 될 수 있어요.119구조견은 최근 1년 동안 총 861회 출동했고, 59명의 생명을 구조했어요. 119구조견교육대에서 구조견을 가르치는 현광섭 훈련관은 “구조견들은 위험한 곳에서 생명을 구하기 위해 수많은 훈련을 거쳐요.”라며 “소방관이 되기 위해 앞으로도 ... ...
- [꿀꺽! 수학 한 입] 마법의 마방진을 푸는 주문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것보다 간단하게 값을 구할 수 있지요. 3방진을 완성할 때도 수를 짝지으면 돼요. 1과 9, 2와 8, 3과 7, 4와 6은 합이 모두 10이고, 여기에 혼자 남은 5를 각각의 쌍에 넣으면 합이 15로 모두 같아져요. 즉 (1, 5, 9) (2, 5, 8) (3, 5, 7) (4, 5, 6)을 마방진의 가 ...
- [똥손 수학체험실] 모으면 10이 되는 환상의 짝꿍 게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콩쥐’ 하면? ‘팥쥐’! ‘산타’ 하면? ‘루돌프’!함께하면 더 좋은 친구 카드를 찾아라!환상의 짝꿍 게임을 지금 시작해 볼까요?수에도 짝꿍이 있 ... 봐요. *용어정리자연수: 수를 셀 때 쓰는 자연스러운 수라는 뜻이에요. 1부터 시작해 1씩 커지는 수이지요등의 수가 자연수랍니다 ... ...
- [이달의 뉴스] 투우사 벌레의 화려한 다리 깃 수수께끼를 풀어라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포식자의 주의를 분산시키는 미끼 역할을 할 수도 있죠. 이번 연구에서 우리들 6마리 중 1마리는 뒷다리가 없었다고 하네요. 미래의 곤충학자들이 이 비밀을 캐기 위해 또 우리를 찾지 않을까요 ... ...
- [특집] 중이온 가속기, 1년 만에 터진 라온의 첫 축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완공은 2017년으로 예정돼 있었다. 이 일정이 2019년 완공, 2021년 완공까지 미뤄지다 2021년 9월엔 다시 2027년 이후로 늦췄다. 중이온가속기는 ‘거대과학(big science)’ 프로젝트다. 거대과학 프로젝트가 준비 단계에서 부침을 겪은 건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CERN의 대형 강입자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