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뉴스
"
식물
"(으)로 총 2,12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량 정자 대량 생산,50년전 얼린 정자 해동…스펌 엔지니어링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1
대량으로 생산하지는 못하고 있다. 오틀리 교수는 지난 1월 미국 샌디에이고에서 열린 동
식물
유전체회의에서 실험 결과를 발표했다. 그는 "대리부 돼지가 정상적으로 정자를 생산했다"며 "예상했던 만큼 많이 만들지는 못했다"고 말했다. 오틀리 교수는 다음 달 일본 고베에서 열리는 '유전자 ... ...
무궁화 방사선 기술로 앙증 맞지만 강하게 거듭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이번에 기술계약을 맺은 에이치이엔은 단순 관상용 재배뿐 아니라 꽃누르미(압화),
식물
이용 공예품 제작에 이 품종을 활용할 계획이다. 원자력연은 무궁화의 정체성을 지키고 품종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1980년대 후반부터 방사선 육종 기술을 이용한 무궁화 품종 개량을 추진해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2억4000만 염기로 작지만(사람은 32억 염기다) 유전자는 3만4809개로 추정돼 전형적인
식물
의 범위에 들었다. 이 가운데 상당수가 향기 분자를 만드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로 밝혀졌다. 2014년 일본과 중국의 공동연구자들은 파인애플딸기의 게놈을 해독해 학술지 ‘DNA 연구’에 발표했다. 연구자들은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 날개의 등장은 필승 전략이었다
2019.03.06
선호하는 식사였다. 끝없이 달려드는 포식자로부터 포자를 보호하기 위해 양치
식물
은 리그닌과 셀룰로스로 몸을 꼿꼿이 세우고 포자낭을 맨 꼭대기에 배치했다. 곤충은 발로 기어오르는 기술을 터득하기보다 날아서 한 번에 접근할 수 있는 필승 전략으로 날개를 달면서 새로운 종, 날개 달린 ... ...
한 세기 민족과 운명 함께 한 한반도 고유종 미선나무
동아사이언스
l
2019.03.02
앞으로 100년은 우리 손으로 보전하고 가치를 발굴해야한다"며 "보다 많은 국민이 특산
식물
을 보전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국회 차원의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미선나무 묘목의 모습. 국립수목원 제공 김재현 산림청장이 행사 참가자들에게 미선나무 묘목을 나눠주고 있다. ... ...
애기똥풀-바람꽃...한글 이름에 담긴 ‘항일정신’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9.03.01
등 다른 일본 식민지에서는 이런 독자적 학술 활동이 없었다”고 말했다. ‘조선
식물
향명집’의 저자들은 야인과(野人瓜)라는 일본식 이름 대신 멀꿀이라는 우리말 이름을 붙였다. 사진 제공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 잡지와 행사로 과학 보급화 앞장서 또 다른 조선인 단체 ... ...
[3·1운동 100주년]"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
과학동아
l
2019.02.28
구성된 조선
식물
명집은
식물
이름을 3000종 이상 정리했으며, 이 책은 이후 국내
식물
이름의 기준이 됐다. 나비 종 연구에 통계학 도입한 석주명 석주명이 1939년 발간한 'A Synonymic List of Butterfl ies of Korea(조선산 접류 총목록)'. 이 책은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가 영문으로 집필한 유일한 ... ...
남극 해양 탄소순환, 미생물에 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특성을 밝혀 지구의 탄소순환을 이해하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남극 해양생태계에서
식물
플랑크톤이 고정한 탄소를 심해로 격리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등 새로운 가능성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이달 21일 국제학술지 ‘마이크로바이옴’에 실렸다 ... ...
[3·1운동 100주년]일제강점기 조선인 과학자를 찾아서
2019.02.27
합성이론을 제시하며 일본 최고의 유전학자 반열에 올랐다. 홋카이도제국대학의 김삼순(
식물
학)은 온갖 역경을 뚫고 일본에서 대학을 졸업한 최초의 여성 과학자가 됐다. 미국 미시간대에서 천문학 박사학위를 받은 이원철은 독수리자리의 에타별이 팽창과 수축을 되풀이하며 밝기가 변하는 맥동 ... ...
내가 우울한 건 ‘장내 미생물’ 때문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2.18
노인과 그렇지 않은 노인의 대변을 비교해 분석한 결과, 치매 환자의 장내미생물에는
식물
의 독성물질을 분해해 주는 이로운 박테리아인 박테로이드의 수가 적고 ‘루미노코쿠스’ 등 다른 장내미생물이 많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 장내미생물이 치매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뇌 속 노폐물’과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