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뉴스
"
식물
"(으)로 총 2,123건 검색되었습니다.
[2019 CES]"물 낭비 조심" 문자 보내는 똑똑한 밸브…주목되는 기후변화 혁신기술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4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한다. 지구를 푸르게 하는
식물
이 잘 자라는 환경을 찾아주는 것이다. 또 다른 프랑스 기업인 루미인스는 처음으로 태양열을 이용해 발광다이오드(LED) 가로등을 만들었다. 어떤 가로등 기둥에도 사용 가능하고 더 깨끗하고 기존의 전구 ... ...
中 ‘창어 4호’ 인류 사상 첫 달 뒷면 착륙 성공(종합)
2019.01.04
수 있는지 시험하는 것이다.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식물
을 키운 적은 있지만 달에서
식물
을 키우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창어 4호는 본 카르만 크레이터 주변에서 달 뒷면의 지질층과 토양의 구성성분, 지하수 등도 분석한다. 대기층이 없는 달 표면과 태양 활동 간의 상호작용을 밝히기 위한 ... ...
中 창어4호, 최초로 달 뒷면에 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수 있는지 시험해볼 예정이다.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식물
을 키운 적은 있지만 달에서
식물
을 키우는 실험을 진행하는 것은 처음이다. 중국 대학생들이 제시한 실험인 달에서 감자와 누에고치를 키우는 시험도 진행된다. 장허 중국 창어 4호 프로젝트 책임자는 “세계 최초로 이뤄진 달 뒷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
2019.01.02
1. 무엇을 : 고기를 줄이고 채소를 늘린다. 힘들면 장내유익균의 먹이인 프리바이오틱스(
식물
식이섬유)라도 챙겨 먹는다. 2. 언제 : 12시간 이내에만 음식을 먹고 아침은 든든히 저녁은 가볍게 한다. 3. 얼마나 : 적게 먹는다. 새해 결심으로 시작한 칼로리제한 다이어트에 실패하더라도 포기하지 ... ...
달 뒷면 착륙, 인공혈액 수혈… 새해 인류의 새 도전이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31
남극 에이트켄 분지에 위치한 본 카르만 크레이터에 착륙해 달 토양에 애기장대 같은
식물
을 키우는 온실 실험도 최초로 수행할 예정이다. 미국 국립과학재단과 영국 자연환경연구회는 기후변화 연구를 위해 남극 대륙 5대 빙하 중 하나인 트웨이츠 빙하 일대를 탐사하는 공동 프로젝트를 내년 1월 ... ...
완전 분해 ‘친환경 플라스틱’ 가능할까
2018.12.31
만들 수 있다. 골버그 교수는 “이스라엘은 다른 국가처럼 농지와 담수가 풍부하지 않아
식물
을 키워 플라스틱을 만들 수 없다”며 “이 때문에 바다에서 만드는 법을 찾았다”고 말했다. 한국에서도 미생물로 플라스틱을 만드는 연구가 활발하다.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팀은 올해 ... ...
못 먹는
식물
성 기름으로 차세대 바이오디젤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30
수 있는 새 촉매 기술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응용촉매B: 환경’ 30일자에 발표했다.
식물
을 전환해서 경유로 만든 바이오디젤은 점점 매장량이 줄어들고 있는 석유를 대체하기 위해 연구되고 있는 연료다. 바이오디젤 1000L를 이용하면 일반 디젤을 이용할 때에 비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6t 줄일 ... ...
2018년 과학에서 배운 교훈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반응하고 있음을 증명했다.
식물
은 마취 가스에 기절하기도 한다. 열대 우림 속
식물
은 과일에 특정 동물에게 씨앗을 퍼트리라는 메시지를 과일에 담아놓기도 한다. DNA 분석은 연쇄살인범을 잡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지만 동시에 윤리적 우려도 낳았다. 게티이미지뱅크 ⑥범죄와의 전쟁을 ... ...
[여기에 과학]토끼 유전자로
식물
공기정화 능력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단백질 분자를 생성하는
식물
을 개발하기 위해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식물
이라는 바이오 필터만으로 깨끗한 공기에서 생활할 날이 빨리 오길 기다려 봐야겠습니다. ... ...
메뚜기 점프원리 규명·아이언맨 소재 발굴…美육군 과학자들이 뽑은 연구 10選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힘을 최대한 증폭시키는 방식으로 뛰어오른다. ARL은 메뚜기와 같은 동물을 비롯해
식물
, 곰팡이 등 생명체로부터 적은 힘으로 빠르게 뛰어넘는 기술을 찾고 있다. 머지 않은 장래에 전장을 돌아다니며 정보를 수집하는 로봇이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 ARL 과학자들은 올해 헬리콥터의 수명을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