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뉴스
"
확인
"(으)로 총 17,513건 검색되었습니다.
美 탐사선이 관측한 토성 고리의 ‘속살’
동아사이언스
l
2019.06.14
먼저 토성 주변을 휘감고 돌고 있는 물질들이 고리에 영향을 주고 있는 모습이
확인
됐다. 토성 고리에서 가장 바깥에 보이는 밝은 고리인 A고리 가장 바깥에는 가늘고 어두운 고랑이 있다. ‘킬러 간극’이라고 불리는 이곳에는 고리가 비어 있다. 이 고리 사이에 지름 8㎞의 작은 위성인 ... ...
A형 혈액을 O형으로 바꾸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4
효소 2종류를 찾아냈다. A형 혈액에 효소를 투입한 결과, A형 항원이 제거되는 것으로
확인
됐다. 위더스 교수는 “이번 연구는 혈액의 공급량을 늘려 혈액부족 사태를 완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며 “효소가 A형 항원을 완벽히 제거하는지 혹은 다른 부분에 영향을 주진 않는지에 대한 추가 연구를 ... ...
DNA 자르지 않고 유전자 교정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샘 스탠버그 미국 컬럼비아대 생화학및분자생물물리학과 교수(맨 오른쪽)가 이끄는 연구팀이 콜레라균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DNA를 자르지 않고도 원하는 부분에 유전자를 ... 기술인만큼 기존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보다 훨씬 효율적이고 안전한지 추가 연구를 통해
확인
할 필요가 있다 ... ...
국내 연구진, 불규칙한 입자 운동 명쾌히 설명할 공식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운동을 포함한 다양한 복잡 유체계의 입자나 분자의 운동을 일관되게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
됐다. 성 교수는 “이 연구는 통계물리학 분야의 난제인 복잡 유체 내 분자 열운동과 수송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방정식과 해를 찾아낸 것”이라며 “세포 내 효소와 생체 고분자들의 열운동을 ... ...
과학자 사기 진작한다더니…22년 전통의 과학자상 공표 안한 과기부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현재 DGIST 교수로 2017년 12월부터 외부 학연교수로 IBS 연구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됐다. 곽준명 DGIST 교수가 6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는 소식을 다룬 서울경제 12일 온라인 보도 캡처 SBS은 이달 4일 남홍길 IBS 식물노화수명연구단장이 거액 연구비 받아 챙겨 연구 ... ...
[과학게시판] 정보화교육 강사 대상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12일 서울 중구 NIA 서울사무소에서 고령층과 다문화가정 대상 정보화교육 강사 80여 명을 대상으로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교육을 ... 10회 등으로 이뤄진다. 자세한 행사 내용은 국립중앙과학관 홈페이지(www.science.go.kr)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국립중앙과학관 제공 ... ...
[글로벌프런티어]가상의 세상과 소통하는 공존현실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3층,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실험실에서 이 기술의 아주 기초적인 형태를
확인
했다. 연구단의 김정규 연구원이 손에 작은 골무 모양의 장치를 끼우고 벽 하나를 가득 채운 스크린 앞에 섰다. 지문이 있는 쪽이 도톰하게 손가락을 감싸는 형태였다. 들어보니 무게감이 거의 느껴지지 않고 ... ...
낮은 압력에서도 수소 저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2
주입될 경우 천연가스의 영향으로 저장 압력을 90기압까지 획기적으로 낮추는 현상을
확인
했다. 특히 이 방식은 국내 수소 생산 대부분을 차지하는 수소부생가스가 정유, 석유화학 산업에서 발생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수소부생가스를 기존 천연가스 배관망을 통해 수소와 천연가스 ... ...
'서식가능지역' 행성도 유독가스로 다세포 생명체 존재 난망
연합뉴스
l
2019.06.12
만한 외계 행성을 찾을 때 이른바 '서식가능지역(habitable zone)' 안에 있는지를 가장 먼저
확인
한다. 생명체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액체 상태의 물이 있어야 하고, 그러려면 별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물이 얼거나 너무 가까워 증발하지 않는 적당한 거리에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외계 생명체가 ... ...
1900년 이후 매년 식물 3종 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2
연구팀이 제작한 식물 멸종 지도. 섬이나 열대우림이 멸종 피해를 더 많이 입는 것으로
확인
됐다. 네이처 제공 연구팀은 하와이나 마다가스카르 같은 섬 혹은 브라질이나 인도, 남아프리카처럼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곳의 식물군이 가장 위험하다고 해석했다. 기후변화나 인간이 일으킨 ... ...
이전
1142
1143
1144
1145
1146
1147
1148
1149
11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