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뉴스
"
확인
"(으)로 총 17,513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운증후군 지적 장애 유발하는 유전적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회복했다. 연구팀은 미로 탈출 실험을 통해 복원된 쥐가 기억 능력을 회복한 것도
확인
했다. 쥐를 같은 미로에 넣은 후 5일간 반복 실험을 통해 기억력을 평가하는 실험이다. DSCR1 유전자가 복원된 쥐는 첫날 40초대 기록에서 5일 차에는 정상 쥐와 비슷한 10초대 탈출 기록을 보였다. 반면 기억력이 ... ...
“원안위 부실감독, 한수원 몰이해 한빛1호기 사태 불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드러났다고 밝혔다. 특히 “한수원은 자체조사를 통해 이런 내용을 이미 파악한 것으로
확인
됐다”고 밝혔다. 이철의 의원실이 11일 과방위 전체회의에서 공개한 문건은 ‘한빛 1호기 원자로 수동정지 원인 및 재발방지대책 보고’ 문건이다. 이는 한수원 발전처가 지난달 15일 작성한 보고서로 ... ...
남극해 얼음구멍 '빙호(氷湖)' 심해 CO₂방출로 될 수도
연합뉴스
l
2019.06.11
형성된 것과 같은 크지 않은 빙호도 표층수와 저층수를 완전히 뒤집어놓는 것으로 처음
확인
됐다. 남극 저층수는 수세기에 걸쳐 가라앉은 유기물 등에서 나온 이산화탄소를 저장하고 있어 빙호가 크게 형성돼 오래 유지되면 지구 기후변화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논문 ... ...
집단지성으로 신약 개발하는 ‘타깃 팩토리’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신촌 세브란스병원 임상의들과 협력해 MRS로 췌담도암을 진단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
했다. 또 온코태그디아그노스틱스라는 스타트업을 창업해 현재 세계 최초 진단 제품으로 허가받기 위해 임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김성훈 단장은 “불과 10년 전만 하더라도 ARS는 단백질을 합성하는 ... ...
일반공정 적용 어려운 유기 반도체 집적회로 구현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유기물 손상없이 100%에 가까운 수율로 유기 트랜지스터를 제작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
했다. 이렇게 만든 트랜지스터를 연결해 인버터, 낸드, 노어 등 다양한 디지털 논리 회로를 구현하는 데도 성공했다. 김재준 포스텍 교수는 “패턴된 절연막을 이용하는 발상의 전환이 유기 집적회로로 가기 ... ...
화학硏, 심혈관 및 간질환 치료제 휴온스에 기술이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올해 초 유전자 PDE9A가 심장의 수축 및 이완 조절을 방해해 심부전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확인
하고 PDE9A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새로운 선도∙후보물질 2종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새로운 선도∙후보물질은 약효 및 선택성이 매우 우수하며 독성에서 안전성이 확보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휴온스는 ... ...
[과학촌평] ‘인보사’ 사태, 식약처 사과하면 끝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허가시 안전성과 유효성 등을 입증한 데이터를 꼼꼼이 살펴보고 문제가 없는지
확인
해야 하는 식약처가 이번 사태에 어느 정도 책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품목허가 취소와 검찰 수사가 본격화돼서야 사과하고 수습하는 모습을 보인 점은 납득하기 어렵다. 정부는 지난 5월 22일 빅데이터와 신약 ... ...
태양질량보다 1만 배 무거운 블랙홀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교수 연구팀은 지구로부터 1400만 광년 떨어진 왜소은하 NGC 4395 중심 블랙홀의 질량을
확인
한 결과 태양의 약 1만 배라는 연구결과를 이달 10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에 발표했다. 거대한 은하의 중심에 블랙홀이 존재한다는 패러다임은 정설이 됐다. 거대 은하중심 블랙홀은 태양보다 100만 ... ...
온도 제어 세포배양 기술로 인체 유래 상피세포 배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차 배양세포’까지 다양한 세포의 세포시트를 이 플랫폼에서 수확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
했다. 연구를 주도한 최이현 연구원은 “특히 인체에서 유래한 상피세포는 거의 배양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상피, 내피 세포 등을 모두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 ...
층수까지 알려주는 실내 위치 인식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이 기술을 적용해 시험한 결과, 약 3~6m 정도 오차로 위치를 정확히 찾아낼 수 있음을
확인
했다. 특히 층은 95% 이상 정확히 분류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통신사나 온라인 쇼핑몰이 수집한 신호를 분석하면 도시나 국가 규모의 정밀한 실내 위치 정보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 ...
이전
1143
1144
1145
1146
1147
1148
1149
1150
1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