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7 UN청소년환경총회’에서 미래의 에코리더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수 있기를 바라며 두루미가 활동하는 곳에 먹이를 놓아두었어요. 자연을 지키지 못하면, 결국 인간도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을 몸소 느낄 수 있었어요. 지구와 환경을 위해서 나와 같은 청소년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고민할 수 있는 보람찬 시간이었어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의 방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설계되어 있지요. 반사가 반복될수록 소리는 점차 쐐기의 깊은 곳으로 들어가다가 결국 벽에 모두 흡수된답니다. 일반적인 공간에서는 물체가 내는 소리와 벽에서 반사되는 소리가 섞여요. 하지만 무향실에서는 반사되는 소리가 없기 때문에 물체가 내는 소리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죠. 그래서 ... ...
- [현장취재] 지구에서 떠나는 화성 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연구하는 우주생물학자인 NASA의 마틴 반 크라네동크 박사에게 무작정 메일을 보냈어요. 결국 박사를 만나게 되었고, 이것이 인연이 되어 NASA의 과학자들과 함께 서호주를 탐사하게 된거예요.” 마지막으로, 문경수 과학탐험가는 NASA에서 화성탐사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미치 슐터 박사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인류와 함께 4000년! 쇠, 철, 강-철의 문화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우수한 철을 손에 많이 쥐고 있을수록 농작물생산과 전쟁에서 더 유리했기 때문에, 결국 철은 힘의 상징이 됐답니다. “철이 힘과 권력의 상징이 되면서 사람들은 철이 많다는 것을 과시하기도 했어요. 신라왕들의 무덤인 황남대총에서는 수천 점의 덩이쇠가 발견되기도 했지요. 덩이쇠는 지금의 ... ...
- [가상인터뷰] 멸종된 도도새의 비밀이 밝혀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도도새의 알을 빠르게 먹어 치웠어요. 즉, 도도새는 사람의 사냥과 천적의 영향으로 결국 멸종하게 됐답니다. 일리: 도도새에 관해서 알려진 사실이 거의 없다며? 도도새: 그동안 과학자들은 도도새의 생태에 관해서 거의 알지 못했어요. 그런데 최근 아프리카 케이프타운대학교 연구팀은 ... ...
- Part 2. 하늘소떼가 도시까지 몰려온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주요 원인 중 하나예요. 이 병에 감염된 참나무는 잎이 서서히 마르다가 결국 죽게 돼요. 2013년 북한산에서는 전체 참나무의 59%인 약 158만 그루가 이 병으로 피해를 입었지요. 그런데 하늘소는 시든 참나무를 보금자리로 삼아요. 힘이 약한 나무의 껍질을 뜯어서 그 안에 알을 낳고, 여기서 깨어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드디어 밝혀지는 보물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7호
- 그리고 도로들 곳곳이 갈라지며 이 틈으로 유해 가스들이 분출되기 시작했지요. 결국 미국 정부는 1984년부터 주민들을 다른 곳으로 강제 이주 시켜서 현재는 아무도 살지 않는 유령 도시가 되었답니다. 과학자들은 앞으로 이 불이 250년은 더 지속될 거라고 예상하고 있어요. “불꽃놀이의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6화] 설탕이 잘 녹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자신의 쪽으로 끌어들이기 위해 힘겨루기를 하지요. 이 힘겨루기의 승자는 산소예요. 결국 수소의 전자가 산소 쪽으로 가면서 산소는 음전하(-)에 가까운 성질을 띠게 돼요. 반대로 전자가 멀어진 수소는 양전하(+)에 가까운 성질을 띠지요. 이렇게 분자 안에서 전기적 성질이 양전하와 음전하로 ... ...
- Part 2. [도전 ➊] 세포를 냉동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바뀌어요. 그럼 마치 바늘이 풍선을 터뜨리듯 주변 세포의 세포막을 손상시키지요. 결국 세포가 파괴되면서 우리 몸의 조직들은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죽음에 이르게 된답니다. 과학자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겨울잠을 자는 동물들로부터 ‘동결방지제’를 생각해냈어요. 동물들은 추운 겨울이 ... ...
- 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모기를 야생 모기와 교배시켜 후손을 불임모기로 만들면, 이 불임모기들이 점점 많아져 결국 멸종에 이른다는 거예요. 하지만 현실적으로 원하는 유전자를 야생에 효과적으로 퍼뜨리는 방법을 찾는 일이 쉽지 않았어요.그러던 중 2013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조지 처치 교수팀이 이전보다 정확하게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