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 상자의 주인은 나야! 도트 앤 박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5개를 한 번에 완성해 버립니다. 처음엔 불리해 보였지만 상자 2개를 미끼로 5개를 얻어 결국 7-2로 레드가 이깁니다. 이런 전략을 ‘속임수 전략’이라고 해요. 상자 고리를 만들어라!속임수 전략을 쓰려면 ‘격자가 상자 고리로 채워져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필요해요. 앞서 레드의 성공적인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보다 무섭게 생겼다”거나 “이보다 인상이 부드럽다”는 등 다른 평가가 나오고 결국 수정을 거쳐야 한다. ‘무섭게 생김’에도 사람마다 느끼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단번에 용의자의 얼굴을 완성하기란 불가능하다. 그래서 3D 몽타주 시스템에는 ‘무서운’ ‘어리게 보이는’ ‘신뢰감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아니지만, 중력과 지진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1999년에 사는 고백부부 주인공들은 결국 결혼을 하게 될까요? 이 내용까지는 차마 스포일러를 할 수가 없네요. 사실 과거의 부부가 결혼을 하느냐 하지 않느냐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평행우주론’ 가설에 따르면 주인공들이 결혼을 ... ...
- [Career] 원자로 안전 책임질 설계 프로그램 ‘맥카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수 있다. 문제는 이 방정식이 너무 어려워 사람의 손으로는 절대 풀 수 없다는 것이다. 결국 컴퓨터의 힘을 빌려야 한다. 10년 개발한 프로그램, 연구용 무상 제공컴퓨터가 이 방정식을 풀기 위해서는 적절한 풀이법이 필요하다. 심 교수는 “여러 가지 방법론이 있지만, 우리는 몬테카를로 기법을 ...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노화를 막을 방법은 없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아마 병들거나 늙고 싶은 사람은 없을 거야. 사람이 나이를 먹으면서 노화를 겪고, 결국 죽음에 이를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하는 완벽한 이론도 없지. 만약 우리 몸을 이루는 세포를 모두 젊고 건강한 세포로 바꾸면 노화를 피할 수 있지 않을까? 정수 남매: 사람을 포함해 눈에 보이는 동식물은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곧 증상이 심해지면 폐에 울혈이 발생하고 호흡 곤란, 청색증, 객혈, 쇼크 등을 일으킨다. 결국 고열과 호흡 곤란을 동반한 패혈성 쇼크로 24~36시간 이내에 사망한다. 항생제로 치료해도 치사율이 75%에 이르며, 치료하지 않으면 97%가 사망하는 무서운 감염병이다. 사람, 소, 양, 염소, 돼지 등 ... ...
- [Issue] 심장마비에 기침이 효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르게 할 수 있습니다. 심장에서 살아 있는 일부분만 뛰면서 박동에 불균형이 생기고 결국엔 혈액 펌프질이 멈춥니다. 그 직전에 전기적인 쇼크를 주면 펌프질을 되돌릴 수 있습니다. 항공기나 공항, 지하철역과 같은 시설에 의무적으로 구비된 자동심장충격기(AED)가 이 경우 유용하게 쓰이죠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없애면 노들 단백질이 오른쪽 세포들에까지 영향을 미쳐 결국 오른쪽이 없이 왼쪽만 있는 배아로 발달합니다(doi:10.1016/S0092-8674(00)81472-5). 노들이라는 하나의 단백질이 자신을 억제하는 단백질까지 함께 만들어 서로 다른 세포의 운명을 결정짓는 이 관계를 ‘반응 확산 ... ...
- [Culture]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인간의 마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버려야만 비로소 ‘완성’될 수 있다. 나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며, 결국 함께 협력하고 융합할 수 있다는 뜻이다. 교육혁명과 의식혁명 병행돼야AI 기술이 점점 더 발전하면 지금까지 인간만 누려왔던 영역들을 하나둘 빼앗기게 될까. 일각에서는 AI가 발전 할수록 인류가 예상치 ...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에너지를 계산하고 그 의미를 추론하기 위해서는 슈퍼컴퓨터가 필요했다. 장 교수는 결국 슈퍼컴퓨터를 직접 구축하고 이를 이용해 단백질을 시물레이션하는 연구까지 섭렵했다. 현재 DGIST에는 장 교수 주도로 구축된 슈퍼컴퓨터 ‘아이램(iREMB)’이 운영 중이다. 국내 민간 연구자들이 접근할 수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