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빛과 거울, 명작의 비밀병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저는 전시를 기획한 큐레이터입니다. 이번에 전시한 17세기 네덜란드 회화 작품에는 특별한 도구가 이용됐어요. 바로 빛과 거울이에요. 빛의 방향을 적절히 조절하고, 거울로 빛을 반사해 자화상을 그렸다는 말입니다. 믿기지 않는다고요? 지금부터 저를 따라오세요.자 ... ...
- [Photo] 홍연석(Crocoite) 존재 자체가 기적인 ‘생존자’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가까운 곳이라 겨울에는 혹한의 추위로 사람이 거주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세기 후반 호주 전역을 들끓게 한 골드러시가 이곳까지 영향을 미쳤고, 은과 납 광상이 발견되면서 많은 광산이 개발됐다.하지만 열악한 지역 조건 때문에 점차 채광 비용이 높아졌다. 엄청난 강우량 때문에 ...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판단하는 것이다.1차 핵실험의 인공지진 규모는 3.9, 2차 핵실험은 4.5로 2차 핵실험의 세기가 8배 이상 컸다. 하지만 측정 결과 2차 핵실험 때 방출된 헬륨의 양은 1차 때의 몇 퍼센트에 불과했다. 이 책임연구원은 “과거 2002~2005년에 백두산이 화산 징후를 보이면서 다량의 헬륨을 방출한 적이 있다”며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교수는 이 노이즈가 바로 우주배경복사라는 것을 알아냈고, 우주의 모든 방향에서 같은 세기로 도착한 우주배경복사는 우주의 등방성을 증명했다.여기에 더해 1989년 우주배경복사를 정밀하게 관측하기 위해 발사된 코비 위성은 다파장대에서 복사에너지를 측정했다. 복사에너지의 온도는 대략 2. ... ...
- [수학동아클리닉] 여러 가지 문제 해결하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숫자라는 뜻의 한자어 ‘수독(數獨)’을 일본식으로 읽은 것입니다. 스도쿠의 원리는 18세기 스위스의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고안한 ‘마방진’에서 유래했습니다. 가로와 세로를 4칸, 6칸, 9칸 등으로 조절해 다양하게 문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스도쿠와 비슷한 논리로 해결하는 ...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그의 이론은 혁명적이었지만, 유럽 대륙의 과학자들이 완전히 받아들이기까지는 한 세기가 더 걸렸다. 당시 유럽은 데카르트의 이론이 지배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데카르트는 우주에 눈에 보이지 않는 소용돌이가 존재해 이들이 돌면서 행성을 움직이게 한다고 주장했다. 에밀리 드 브르퇴유: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마인드넷을 하는 것만으로도 나치전범에 가까운 인상을 주게 만들었다.이 선거가 지성의 세기를 지키는가, ‘정신 강간범’의 반지성주의에 점령당하는가의 전쟁이라고 선포하기도 했다. 속내를 모르는 사람들은 왜 고작 10%의 지지율을 얻는 후보 한 명이 이토록 화제가 되는지 궁금해 했다.대선을 ... ...
- Part 3. 항성탐사를 위한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모아 줄 커다란 접시 모양의 안테나가 필요하지요. 통신의 거리가 늘어날수록 더 강한 세기의 전파와 더 큰 안테나가 필요하답니다. 그러니 4광년이 넘는 거리에서 사진을 보내려면 어마어마하게 큰 안테나가 필요하겠죠?그래서 과학자들이 내놓은 아이디어가 ‘레이저 통신’이에요. 레이저는 곧게 ... ...
- [지식] 해밀턴 회로가 있을까? 가운데층 문제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경은 런던의 장난감 제작자인 존 자크에게 25파운드를 받고 이 게임의 권리를 팔았고, 19세기 후반에 이르러 이코시안 게임은 보드게임으로 만들어져 유럽 곳곳에서 팔렸습니다. 이후 수학자들은 그래프에서 모든 꼭짓점을 한 번씩 지나 시작점으로 돌아오는 경로를 해밀턴 경의 이름을 따서 해밀턴 ... ...
-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000년 저명한 화산학자인 독일 킬대 한스 슈밍케 교수팀은 직접 북한을 방문해 백두산이 10세기에 화산 폭발지수가 6 또는 7인 대규모 폭발을 했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혔다. 당시 화산재 기둥이 25km 성층권까지 치솟고 100km3의 화산재가 방출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그로부터 16년 뒤, 백두산 연구는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