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고지방 다이어트, 정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거들떠도 보지 않기 때문에 지방으로는 살이 찌지 않는다는 거죠.실제로 미국에서는 20세기 중반부터 건강 열풍으로 지방 섭취가 급격히 줄었지만, 비만률은 반대로 높아졌습니다. 가공식품에 들어있는 탄수화물과 설탕이 원인이었습니다.지방은 아무리 먹어도 살이 안 찐다?하지만 탄수화물을 적게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도시라고 할 수 있는 형태는 거의 없었다.지하도시가 다시 개발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부터다. 인구밀도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지하 공간을 활용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건물에 지하층을 만들었고, 지하철이 생긴 뒤에는 지하공간을 더 적극적으로 개발하기 시작했다.서울시가 구상 중인 ...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방법이었다.당시 수많은 수학자가 파이값을 구하기 위한 함수나 공식을 구했다. 특히 17세기 중반 미적분이 등장하고 나서는 무한급수를 이용해 파이값을 구하는 방법이 많이 등장했다. 하디는 파이값을 구하는 수많은 급수 중에 라마누잔의 방법이 가장 흥미로우며 새로운 결과를 많이 포함하고 ... ...
- Part 2. 세상은 구부러졌다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설명했다.우주도 굽어 있다가우스의 제자였던 독일의 수학자 베른하르트 리만은 19세기 중반 ‘기하학의 기초를 이루는 가설에 대하여’란 제목으로 구부러진 세상의 기하학에 대해 강연했다. 여기서 ‘리만 기하학’이 탄생한다. 리만은 비유클리드 기하학과 달리 ‘곡률’이라는 개념을 도입해 ... ...
- [과학뉴스] 칭기즈칸, 알고 보니 서양인?과학동아 l2016년 11호
- 12세기 세계를 호령했던 칭기즈칸의 가계계보를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밝혔다. 이광호 중앙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몽골국립대 고고인류학과 투멘 교수와 함께 2004년 몽골 동부에서 발굴된 고인골 다섯 체를 6년간 분석했다.연구팀은 고인골의 절대연대가 칭기즈칸의 생존 시기와 비슷하고,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입자 발견을 세상에 알린 주인공이었고, CERN의 첫 여성 소장이 됐다. 21세기 입자물리학 변혁기의 중심에 서게 됐다고 할 수 있는데, 기분이 어떤가.힉스 입자 발견 사실을 발표할 때 아틀라스(ATLAS) 팀의 대변인으로 나설 수 있었던 것은 큰 영광이었다. 하지만 그게 입자물리학계에서 핵심 ...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자세히 밝혀졌다.기계적 감각기관은 각 부위의 위치와 자세, 움직이는 방향과 힘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수집해 뇌에 전달한다. 반대로 우리가 행동할 때 근육이 수축하거나 이완하는 정도, 뼈가 움직이는 방향과 각도 등을 조절한다. 보이지 않는 움직임에도 필요하다. 폐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 ...
- [Tech & Fun] 러시아 과학원 레베데프 물리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시작이라고 불립니다. 설립은 1934년 광학 분야 물리학자 세르게이 바빌로프가 했지만, 18세기 표트르 대제가 과학을 육성시킬 목적으로 설립한 연구소가 모태기 때문입니다. 체렌코프 효과, 위상 안정성의 원칙, 열핵융합 기술 등 기초과학 분야에서 그동안 뛰어난 연구 성과를 내왔습니다. 레이저의 ... ...
- [교과연계수업] 멸종위기 생물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정확한 연도 구분은 없어요. 산업혁명이 일어나며 인류가 지구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친 18세기부터라는 의견도 있고, 원자폭탄 실험이 있었던 20세기 중반부터 인류세라는 의견도 있지요. 인류세의 지표로는 땅 속에 묻힌 플라스틱, 살충제 성분, 이산화질소, 메탄 등이 꼽힌답니다. 1 ... ...
- PART 1. 수학자는 공동연구를 좋아해~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떠올려 보자. 대개 블레즈 파스칼과 피에르 드 페르마, 레온하르트 오일러 등 7~19세기 유럽을 주름잡았던 이들이 떠오른다. 이들에게는 편지를 주고받으며 함께 연구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파스칼과 페르마는 르네 데카르트, 마랭 메르센과 수시로 편지를 주고받으며 수학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