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뉴스
"
사용
"(으)로 총 16,325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백질 '4차 구조' 최대 1만배 빠르게 식별·비교 도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단백질 4차 구조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다. 웹페이지(search.foldseek.com/multimer)를 통해
사용
할 수 있어 간편하다. 이번 연구결과는 단순히 단백질 사이의 진화적 관계 분석을 넘어 단백질 상호작용, 대사 기능, 세포 기능에 대한 지식을 확장하는 데 쓰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단백질 구조 기반의 신약 ... ...
中 딥시크 보안 우려에 과기정통부도 내부망 접속 차단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중국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의 웹 로그인 화면. DeepSeek 웹페이지 캡처 최근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의 과도한
사용
자 정보 수집 의혹이 제기 ... 행정안전부는 구체적인 기업 이름을 언급하지 않고 중앙 부처 및 광역지방자치단체에 AI
사용
을 유의하라는 공문을 보내기도 했다 ... ...
지구인 절반 쓰는 '인도유럽어' 기원, DNA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이 증거를 바탕으로 최초의 인도유럽어는 코카서스 산맥-볼가강 하류 사람들이
사용
했고 이후 얌나족이 이어받아 유럽으로 널리 퍼뜨렸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번 연구는 얌나족의 기원을 밝혀 어떻게 유럽 전역에 새로운 언어가 전파됐는지 조명한다. 이번 연구는 약 10년 전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 ...
[SW가 여는 의료의 미래]⑤ 도파민 세포 추적해 파킨슨병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솔루션과 달리 비조영제 컴퓨터단층촬영(CT) 영상으로 분석 결과를 내놓는다. 조영제를
사용
해 출력한 의료영상은 비조영제 영상보다 고품질이지만 촬영 과정에서 더 많은 시간이 소모된다. 일각을 다투는 뇌졸중 환자 치료 현장에서 시간이 적게 드는 비조용제 의료영상으로도 정확한 진단 단서를 ... ...
뇌 속 조력자 성상교세포, 영양물질 재활용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퀀텀닷)으로 표지한 BDNF인 ‘QD-BDNF’를
사용
해 실험했다. 그 결과 성상교세포는 세포가
사용
하는 에너지 물질인 아데노신 삼인산(ATP)의 자극에 반응해 세포외소포를 방출했다. 이 과정에서 BDNF가 함께 외부로 분비된다는 사실도 발견됐다. 연구팀은 선행 연구를 통해 성상교세포의 BDNF 재분비 ... ...
탈모 90% 감소 '천연 폴리페놀 코팅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보이지만 장기간
사용
이 필요하다. 체질에 따라 효능이 다르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일부
사용
자는 부작용을 경험하기도 한다. 연구팀은 탄닌산이 모발의 주요 단백질인 케라틴과 강하게 결합해 모발 표면에 지속적으로 부착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살리실산(SCA), 니아신아마이드(N), 덱스판테놀 ... ...
[사이언스영상] 소행성 '베누'에서 찾은 생명체의 흔적
SEIZE
l
2025.02.06
검출됐으며 이중 14종은 지구 생명체의 필수 아미노산에 포함되어 단백질 합성에
사용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의 재료가 되는 암모니아 역시 지구 토양보다 100배 높은 농도로 검출됐다. 이번 발견은 외계 생명체 자체에 대한 증거는 아니다. 다만 생명체 출현에 필요한 조건이 초기 ... ...
개인맞춤형 암치료에 '한걸음 더'…신생 항원 암백신, 신장암 재발 억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2.06
면역 회피 능력이 무력화될 수 있다. 환자 자신에게서 발현된 돌연변이 단백질을
사용
하기 때문에 개인의 상태를 고려한 치료가 가능하다. 암백신은 이미 여러 제약사들이 연구·개발 중인 분야다. 미국 모더나는 메신저리보핵산(mRNA) 기술 기반 개인 맞춤형 암백신을 개발 중이다. 췌장암과 ... ...
[과기원NOW] DGIST, 고용량·고안전성 양극소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배터리 성능이 저하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기존의 복잡한 도핑이나 표면 처리 공정을
사용
하지 않고도 초기 활성화 충전 전압을 높이는 간단한 방법으로 양극재의 구조적 붕괴를 방지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에 온라인판에 지난달 21일 게재됐다. ■ ... ...
섬유 한 가닥으로 인간 피부 감각 재현…신개념 열전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수요가 증가하면서
사용
자의 움직임과 체온 변화 등 신체 데이터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유연하고 신축성 있는 열전 소자 기반의 센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기존 유기 열전 소재 기반 소자는 열전 성능이 낮다. 무기 열전 소재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