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97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빗해파리 신경계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4.23
광전자 펨토초 펄스를 광음극에서 생성하고 높은 에너지로 가속해 원자
크기
보다 짧은 피코미터(1조분의 1m) 수준의 파장에 도달하면서 높은 시공간 동시 분해능을 가진다. 분석 결과 빗해파리 신경망의 뉴런은 다른 동물 신경계와 달리 시냅스로 연결돼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 ...
[오늘과학] 통증 없이 약물 전달하는 손바닥
크기
웨어러블 패치
동아사이언스
l
2023.04.21
패치를 개발했다. 코난 다그데비렌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교수 연구팀은 손바닥
크기
의 약물 주입용 웨어러블 패치를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에 2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피부는 약물 전달에 효과적인 부위다. 약물이 필요한 부위에 직접 주입할 수 있어 상처 ... ...
스페이스X 달·화성우주선 '스타십' 공중폭발...시험비행 실패
동아사이언스
l
2023.04.21
새턴5 로켓 111m보다 9m가 더 길며 미국 뉴욕시 자유의 여신상(93.5m)보다 크다. 큰
크기
답게 역대 발사체 중 추력도 가장 세다. 추력은 발사체를 밀어 올리는 힘을 뜻한다. 1단에 스페이스X 차세대 엔진 ‘랩터 엔진’ 33개가 장착된 스타십은 1700만 파운드(약 7700t)의 힘을 낸다. 보잉747 항공기 63대가 ... ...
과학연구·행성탐사 새 지평 스페이스X '스타십' 도전은 계속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21
달려 있다. 이 거울은 지름이 6.5m에 달한다. JWST를 발사한 우주발사체의 폭은 4.6m였다.
크기
차이로 발사 때 거울을 접은 형태로 발사해야 했다. 스타십은 최대 지름 8m의 물체도 실을 수 있다. JWST의 거울을 접지 않은 상태에서 발사할 수 있다는 의미다. 거울을 접은 상태로 발사하고, 우주로 올라갔을 ... ...
강원도 인제군에서 포착된 '해파리 성운'…천체사진공모전 대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4.19
순간들, 송가을. 2022년 11월 8일 개기월식의 전 과정을 촬영한 작품. 지구의 본 그림자
크기
를 알 수 있고, 본 그림자에 들어가면 달의 색깔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표현한 작품 사진부문 태양계(동상)- 5만년 만의 귀환, 서충원. 5만년 만에 돌아온 ZTF 혜성의 청옥색의 핵과, 얇고 길게 ... ...
ETRI, 로봇 두 대 동시 무선충선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4.19
기존 1대1 무선충전 기술보다 시스템 가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연구진은 직경 20cm
크기
의 코일을 이용해 7cm의 전송 거리와 90% 이상의 높은 효율을 구현함으로써 세계 최고 수준의 전송 거리와 성능을 갖는 무선충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듀얼사이드 무선충전 시스템은 세계 ... ...
톱 모델 에반젤리스타도 받은 지방파괴 시술, 부작용 과소평가 지적
동아사이언스
l
2023.04.17
선택적으로 영하 11~14도로 냉각 및 파괴해서 체외로 배출하는 방식이다. 지방의
크기
를 줄이는 게 아니라 지방세포 수 자체를 줄여 반영구적인 사이즈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부작용으로 거론되는 PAH의 발병률은 전체 시술 건수에서 0.033 ... ...
알츠하이머 뇌세포 변화, 영상화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4.17
현상 중 하나는 뇌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별 모양의 비신경세포인 별세포의
크기
와 기능이 변하는 반응성 별세포화다. 앞서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은 반응성 별세포가 마오비(MAO-B) 효소를 발현해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가바(GABA)를 생성하고 기억력 감퇴를 일으킨다고 보고했다. 최근에는 ... ...
우리 아이 얼마나 클까...키 결정 유전자 확인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7
'셀 지노믹스'에 발표했다. 연구를 이끈 렌탈 박사는 "이번 연구에서는 뼈의 형태와
크기
를 정하는 유전자가 확인됐다"며 "유전자와 성장판 그리고 골격 성장 정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이해하는 데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학계는 앞서 사람의 키를 결정하는 유전자가 뼈와 뼈를 이어주는 ... ...
나노
크기
지능형 촉매로 연료전지 성능 2배
동아사이언스
l
2023.04.16
요인에 대해 분석했지만 직접적인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 명재하 교수팀은 나노
크기
의 금속 입자를 산화물 표면 위에 고르게 용출시키는 지능형 촉매를 개발했다. 이 촉매는 자가성장 기술을 활용함으로써 소량의 금속 사용으로도 균일하게 성장해 반응활성 면적을 극대화한다. 촉매 특유의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