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979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제약사 '우주 러시' 이유 있다...우주의학 연구 '봇물'
동아사이언스
l
2023.04.07
스타트업인 ‘스페이스파마’의 미니실험 장치가 실렸다. 가로, 세로, 높이 각 60cm 정도
크기
인 미니실험 장치엔 사람 피부가 실려 항노화 의약품, 뇌 질환 등에 대한 연구가 우주 공간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사람 피부는 스위스 생명과학기업 ‘커티스 AG’의 의뢰를 받아 우주로 보내졌다. ... ...
초미세먼지가 폐암 일으키는 원리 규명..."때론 흡연보다 심각"
동아사이언스
l
2023.04.07
유전자 돌연변이가 원인인 폐암 발생률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연구팀은 “암세포의
크기
가 큰 비소세포폐암의 대부분은 EGFR 유전자 돌연변이가 원인"이라며 "미세먼지 농도가 높지 않은 지역에 사는 흡연자보다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비흡연자가 폐암에 걸릴 가능성이 높은 ... ...
국내 위암 환자 많은 이유…"특유의 식습관·헬리코박터균"
동아사이언스
l
2023.04.06
암이 진행 된 경우 항암치료 반응률이 60% 미만이라는 점”이라며 “완치가 아니라 암의
크기
가 줄어들고 약간이나마 호전된다는 의미로 시간이 지나면서 위암으로 사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경고했다. ● 40세 이상 2년에 한 번 위내시경 받아야 위암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국이나 찌개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방울토마토 먹고 배탈 난 과학적 이유
2023.04.05
야생 토마토 열매는
크기
가 콩알만한데(평균 2g), 이때 작물화를 거치며 방울토마토만한
크기
가 됐다. 그 뒤 방울토마토가 중미로 퍼졌고 여기서 육종으로 좀 더 큰 토마토가 나왔다. 16세기에 유럽인들이 중미에서 토마토를 가져갔고 그 뒤 세계로 퍼졌다. 이 과정을 거치며 토마토의 게놈 다양성은 ... ...
그린수소 생산 효율 3배...에기연, 수전해 기술 GS건설에 이전
동아사이언스
l
2023.04.04
수소와 산소 혼합도 쉽게 억제하지 못한다. 연구팀은 40㎚(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크기
의 미세 나노 기공으로 구성된 다공성 구조 분리막을 구현했다. 연구팀은 “미세 나노 기공 주변에 친수성 세라믹 입자들을 조밀하고 균일하게 분포시켰다”며 “굴곡률을 높여 수소와 산소 혼입을 막고,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초고성능 나노여과막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04
녹여냄으로써 판 형태의 2차원 탄소 물질을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어 극도로 균일한
크기
의 마이크로 기공들이 벌집 구조로 빽빽하게 배열된 2차원 탄소 시트들을 적층시켜 얇은 두께의 분리막을 제조했다. 연구팀은 이 분리막을 유기용매 나노여과에 적용한 결과 탄소 시트 기공보다 큰 용질을 ... ...
곤충 표면 본따 혈전 예방하는 인공 혈관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미세구조 제작에 활용되는 수십 나노미터
크기
입자를 이용한 제작법과 기존 마이크로
크기
제작에 널리 쓰이는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융합해 유연한 고분자 재료로 톡토기 피부 표면 구조를 모방하는 데 성공했다. 모방한 피부 표면은 휘어진 경우에도 물과 기름을 쉽게 밀어내는 것으로 ... ...
100% 실리콘 전극 사용한 전고체전지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4.03
교수는 “실리콘 웨이퍼 기반 전고체전지는 전기 자동차나 전자기기에 들어가는 일반적
크기
나 초소형 배터리에도 접목될 수 있다”며 “이미 개발된 웨이퍼 제작 기술을 적용한다면 더 안정적이고 고성능의 배터리 개발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 ...
[주말N수학] '자연수 집합'과 '짝수 집합'
크기
는 같다?...수학 바꾼 '무한'
수학동아
l
2023.04.01
정의에 관해서는 아직도 의견이 분분해요. 예를 들면 ‘자연수 집합과 실수 집합의 중간
크기
인 무한 집합이 있을까’ 같은 질문을 하지요. ‘연속체 가설’이라고 알려진 문제인데요. 근데 아주 신기하게도 ‘현재의 수학 체계에서는 이 명제가 참인지 거짓인지 증명할 수 없다’가 증명돼 ... ...
소행성 구성성분, 인공지능 기술로 알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3.30
‘행성과학저널’에 게재했다고 30일 밝혔다. 소행성은 대부분
크기
가 작아 대형 천체망원경으로 관측해도 점으로밖에 나타나지 않는다. 소행성 표면에 빛이 반사돼 드러나는 반사 스펙트럼을 통해 성분을 추정한다. 하지만 성분이 다른 소행성들이 겹쳐 나타나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