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정"(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등의 인증값을 몰 단위로 함께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기 위해 몰질량을 결정하기 위한 정밀한 동위원소비 측정 연구를 진행 중이다.몰 단위의 측정소급성이 확보되면 실생활이 어떻게 바뀔까. 이 책임연구원은 “화학, 생물 분야에서 불명확성을 제거해줄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세포나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자신의 강점을 살리는 것이 합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책에서 진로 결정 용기 얻어 17학번_김예린일반고인 대전 괴정고를 졸업하고 수시 지역균형선발전형으로 합격한 김예린 씨는 “이공계로 진로를 정한 계기는 독서활동 덕분”이라고 말했다. 막연하게 바다와 배를 동경했지만 ... ...
- [이투스교육] 봉사활동 제대로 하는 세 가지 팁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의미가 없다. 입학사정관들이 그런 것들을 모를 리 없다. 봉사활동은 그 자체로 당락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평가 항목은 아닐지 몰라도, 학생부의 다른 항목과 연결돼 지원자의 삶의 궤적과 경험을 유추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중요한 활동이다. 꼭 입시 때문이 아니더라도 꾸준하고 지속적인 ... ...
- 당신의 콧구멍이 ‘그 모양’인 이유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어렵다”고 덧붙였어요. 자이디의 말처럼, 이 결과 하나로 ‘콧구멍 모양은 기후에 따라 결정된다’고 단정 지으면 안 돼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다는게 곧 참이라는 뜻은 아니거든요. 지금 기술로는 ‘그럴 가능성이 크다’까지 밝힐 수 있어요. 앞으로 유전통계학이 더 발전한다면 유전자를 진짜 ... ...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찾아 이동할 때는 무리지어 다니도록 설정했다. ‘디스턴스 필드’로 동식물 서식지 결정섬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며 고기를 얻고 열매를 따모으다보니 어느새 가방이 다 찼다. 아이템을 나눠 담을 바구니를 짜려고 하니 갈대 세 줄기가 필요하단다. ‘갈대=물가’라는 노하우를 떠올리며 지도를 ... ...
- [Origin] 양자역학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무슨 상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알고 중력과 마찰력을 모두 안다면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 뉴턴역학은 본질적으로 결정론적이라 모든 것은 정해져 있다. 정해져있다고 했지만 막상 예측하기는 어렵다. 고전역학을 사용하는 한 진정한 무작위는 없다. 그렇다고 양자역학적 무작위성을 쓰는 것은 위험하다. 우리가 검증하려는 것이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비어 있는 구조물을 삽입한 사파이어 기판을 개발했습니다. 이를 통해 질화갈륨 층의 결정성을 향상시키고, 기판이 휘는 현상을 획기적으로 줄였습니다. 또한 내부에 삽입된 구조물이 LED 소자 내부에서 발생한 빛을 효율적으로 외부로 빠져나가게 한다는 사실을 이론적, 실험적으로 밝혀냈습니다 ... ...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염기가 모여 하나의 아미노산을 지정하게 됐을까? 하나의 염기가 하나의 아미노산을 결정하면 안 될까?DNA가 갖는 염기는 A, G, T, C로 총 4가지이다. 그리고 DNA가 가진 정보를 통해서 번역 돼야 하는 아미노산은 20가지다. 이때, 염기 1개가 아미노산 1개를 지정한다면 어떻게 될까? 4가지 아미노산에 대한 ... ...
- 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그리고 실제 드론을 조종하는 프로그램이지요. 드론 기술팀은 먼저 드론의 수와 위치를 결정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해 드론들이 언제, 어디에 위치할 것인지 치밀하게 프로그래밍해요. 각 드론들이 움직일 최단 경로를 공식으로 만들고, 그 과정을 자동화시키는 거지요. 하지만 드론들을 ... ...
- [포커스 뉴스] ‘꽃의 여왕’ 장미,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반대로 향기가 좋을수록 색깔이 옅어졌다. ‘SPL9’유전자가 장미 꽃잎 색을 결정하는 색소인 ‘안토시아니딘(anthocyanidin)’의 합성을 활성화하는 대신, 향기를 내는 물질인 ‘저마크렌 D(germacrene D)’의 생성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장미의 ‘miR156’ 유전자의 발현이 SPL9 유전자의 활성을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