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야기
야그
야기
스토리
d라이브러리
"
얘기
"(으)로 총 3,464건 검색되었습니다.
맥스웰의 도깨비를 찾아서 “아는 것이 힘이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가능한 경우보다 일을 더 할 수도 있다. 결국 질라드 엔진이 맥스웰의 도깨비가 아니라는
얘기
다.21세기는 정보화시대라고 한다. 이는 주로 인터넷의 발전에 힘입은 바 크다. 정보는 엔트로피로 정량화되며 이를 정보 엔트로피라 부른다. 정보 엔트로피는 물리적 엔트로피와 동일한 역할을 할 수도 ... ...
선글라스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통과한 빛의 밝기에 아무런 변화가 없지만 편광의 경우에는 빛의 밝기가 변한다. 당연한
얘기
지만 빛이 횡파가 아닌 종파라면 두 편광필름의 방향에 관계없이 일정한 밝기를 보일 것이다.주변의 모든 면에서 반사된 빛은 편광이다. 바닥면, 벽면, 유리창의 면 등 모든 면에서 반사된 빛은 그 면에 ... ...
INTRO. 전자계산기가 수학실력을 올려준다고??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수학교육이 한 차원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전자계산기가 수학 수준을 더 높여준다는
얘기
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한지 알아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전자계산기가 수학실력을 올려준다고??PART 1. 왜 수학시간에 전자계산기를 쓰려고 하지? PART 2. 어떨 때 전자계산기를 쓰나?PART 3. 왜 ... ...
PART 1. 왜 수학시간에 전자계산기를 쓰려고 하지?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목소리로 말했다. 줄어든 계산 시간만큼 개념을 이해하고 생각하는 시간이 늘어난다는
얘기
다.실생활 문제해결력을 높여줘특히 전자계산기가 있으면 실생활에서 쓰는 현실적인 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생활에서 쓰는 수는 복잡한데다 매우 크다. 그러나 실생활 문제를 다룬 현행 교과서엔 계산 ... ...
Part 2. 똑똑해서 슬픈 베르테르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가지가 힘들다 -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자살뿐인가’라고 생각이 이어졌을 수 있다는
얘기
다.[카이스트에서 최근 석 달 동안 학생 4명이 연달아 자살하면서 서남표식 교육개혁이 언론의 몰매를 맞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베르테르효과일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정신분석학에서는 공감을 ... ...
Part 2. 잘 살고 있니? 고기공장에 갇힌 가축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설명했다. 가축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항생제를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다는
얘기
다.동물은 엄청난 곡물을 먹는다. 인간과 마찬가지로 동물 또한 자신들이 먹은 풀의 상당량을 에너지나 배설물로 전환시키고 비교적 적은 양만을 지방과 근육으로 바꾼다. 사람이 쇠고기 1kg을 섭취하기 위해 소는 1 ... ...
저질체력 운동 시작하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아침부터 저녁 늦게까지 회사, 학교, 또는 도서관에서 시간을 보내는 현대인은 너무나도 바쁘고 ‘뻐근하다’! 온몸에 쌓인 피로를 풀려면 운동을 하면 된다는 것은 당연히 알지만, ... 수 있다. 신체적인 건강에서 더 나아가 정신적인 건강과 사회적인 건강을 두루 키울 수 있다는
얘기
... ...
Part 1. 과학이 낳은 명탐정 홈즈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이야기지만 필자도 국내에서 과학수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 이런
얘기
를 미국 법과학자에게 고백한다면 그는 필자를 법과학자라기보다는 증거물을 분석하는 기계쯤으로 여길지도 모른다. 국내 과학수사가 성장하려면 하루 속히 교육프로그램을 보완해야 할 것이다. 다행히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사상자가 3명이나 발생하기도 했다. 우리나라도 지진해일에서 안전지대만은 아니라는
얘기
다.만일 동해에 지진이 일어나면 어떻게 될까. 소방방재청 방재연구소가 작성한 가상지진해일 시나리오에 따르면 일본 서해(우리나라의 동해)에서 규모 8.0의 지진이 날 경우 우리나라 동해안에는 1시간 반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드 로버티스 교수가 있었는데 게링 교수는 드 로버티스 교수와 호메오유전자에 대한
얘기
를 하다가 혹시 개구리에도 호메오유전자가 있는지 알아보기로 했다.무척추동물(초파리)과 척추동물(개구리)이 공통조상에서 갈라진 게 무려 6억 7000만 년 전으로 추정되므로 이들이 비슷한 유전자를 갖고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