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야기
야그
야기
스토리
d라이브러리
"
얘기
"(으)로 총 3,46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온도에서 일어나는 초전도 현상이다. 규모가 크고 값비싼 냉각장치가 필요 없다는
얘기
다. 만약 상온초전도체가 등장한다면 고온초전도체의 발견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커다란 사건이다. 초전도 현상을 연구하는 과학자가 가질 수 있는 최고의 꿈은 상온초전도체 발견이다.현재 공식적으로 ... ...
스마트시대, 우리는 스마트해졌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인기만화 ‘386C’를 연재하는 황중환 기자는 트위터에 가입했던 초기 경험을 이렇게
얘기
했다. 처음에는 이런 네트워크에서 얻은 정보가 만화의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데 도움이 될 줄 알았는데 수시로 올라오는 글을 읽고 답을 하다 보니 정작 생각의 흐름이 끊겨 마감이 임박하도록 주제를 잡지 ... ...
기회의 세상 만드는 마태복음 효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의 분야에서 성공하기 위해 1만 시간 이상의 노력을 쏟아 부었다는
얘기
다. 1만 시간이 별 것 아닌 것 같지만, 하루도 빠지지 않고 매일 3시간씩 연습해도 10년이 걸린다. 전설의 록밴드 비틀즈는 미국에서 거둔 큰 성공을 위해 1960년부터 1962년에 걸쳐 일주일 내내 8시간씩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있을지 모르기 때문이다. 바로 당신 안에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얘기
다.[네안데르탈인 게놈 프로젝트를 이끈 스반테 패보 막스플랑크연구소 진화인류학부장이 네안데르탈인 두개골 화석을 들고 있다. 작년 그의 연구팀은 현생인류의 게놈에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일부 ...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유일하다.그런데 이제 마지막 남은 실물 원기를 폐기하려111는 이유는 무엇일까. 간단히
얘기
하면 원기가 만들어진 지 너무 오래되서 오차가 생겼기 때문이다.지금까지 국제 킬로그램 원기가 3중 유리관 밖으로 나온 건 딱 네 차례다. 약 40년에 한 번 꼴로 외출을 한 셈이다. 바깥으로 나온 원기는 ... ...
파리는 어떻게 벽에 달라붙나?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것이다. 그러니까 털이 있든 없든 곤충의 다리는 항상 어떤 액체물질로 젖어 있다는
얘기
다. 바로 파워의 주장대로 말이다. 그러니 이 액체가 어떤 것이며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꼭 풀어야 할 연구 주제다. 그래서 캠브리지대의 페델레 박사는 여러 연구자들과 함께 이 액체의 비밀을 밝히는 연구들을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뇌혈관 속의 양분을 자신의 몸을 통해 고이 가져와 뉴런에게 제공한다. 또 뉴런끼리
얘기
를 잘 나눌 수 있도록 주위 환경을 조성한다.[뇌 속 뉴런과 신경교세포의 모습 뉴런(➊)이 긴 축색돌기로 전기신호를 보낸다. 돌기교세포(➋)는 뉴런의 축색돌기를 감싸 미엘린(➌)을 만들어 전기신호를 빨리 ... ...
화산 신이 남겨놓은 돌기둥 병풍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용암이 식을 수 있는 시간이 충분히 있어야 한다. 용암의 점성이 작고 잘 흘러야 한다는
얘기
다. 따라서 주상절리는 주로 현무암질 용암에서 만들어지며, 안산암질, 석영안산암질, 조면암질 용암에서도 형성된다. 또 주상절리는 용암이 호수처럼 큰 규모로 고여 있을 때 천천히 식으면서 생긴다. 지금 ... ...
관심도 지나치면 병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경계를 분명하게 정하지 못하기 때문이다.]소문이 멈추지 않는 이유사실 비둘기
얘기
는 그냥 웃어넘기면 그만인 소소한 이야기다. 측은지심이 과하게 작용하다보니 가끔 그렇게 ‘오버’하게 된 것 뿐이다. 게다가 이런 성격이 생각보다 꽤 많다.물론 누구나 남의 소식이나 소문에는 귀를 쫑긋 ... ...
달라진 융합형 과학 교과서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각 내용 요소들의 개념을 모두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 목적이 아니다. 뒤에서 다시
얘기
하겠지만, 내용 요소의 심도 있는 개념을 학습하기보다는 소단원 또는 중단원(‘우주와 생명’ 단원의 경우는 대단원까지) 차원의 이야기를 읽는다는 생각으로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필요할 경우 기본 개념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