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d라이브러리
"
주장
"(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정체를 감추고 있는, x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이 기호가 x와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이것을 보고 데카르트가 미지수로 x를 사용했다는
주장
이다. 방정식의 해를 ‘근(뿌리)’라고 하는데, 는 ‘뿌리’를 뜻하는 독일어 radix의 r과 x를 합쳐서 만들었다고 추측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x가 중세 시대에 미지수를 나타내던 아랍어의 영향을 받았다는 ... ...
내 몸은 탈수 중 물 마시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학자들은 활성 수소가 풍부하고 불순물이 거의 없어서 대사활동의 면역력을 높여준다고
주장
하고 있다.미네랄 함량이 높은 미네랄 워터우리 몸은 스스로 미네랄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음식이나 음료로 섭취해야 한다. 이 때 일반 물보다 미네랄 함량이 3~4배 더 많은 미네랄 워터를 마시면 좋다.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대표적인 게 교육을 많이 받은 ‘똑똑한’사람들이 자손을 덜 갖는다는
주장
이다. 이
주장
이 맞다면 후대로 갈수록 ‘머리 좋은’ 유전자는 줄어들 수밖에 없다. 계산을 통해 앞으로 얼마나 많은 인구가 ‘머리 나쁜’ 사람들로 채워질지도 예상할 수 있는데, 영국 울스터대 리처드 린 박사의 ... ...
“클림트의 그림은 왜 더 야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강조한 프로이트도 있었다. 캔델은 분리파가 프로이트의 무의식 이론을 활용했다고
주장
한다.클림트는 생물학에도 관심이 있었던 것 같다. 의학사를 연구하는 타치아나 부클리아스는 “1903년 직후 몇 년에 걸친 클림트의 작품을 보면 세포질과 세포핵을 지닌 상피세포가 떠오른다”며 “클림트가 ... ...
[hot science] 전생에 삼엽충이었던 분을 찾습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전생의 업보는 계속 이어진다는 소립니다.그런데 전생을 기억하시나요? 기억한다고
주장
하는 몇몇 사람을 빼면 자신의 전생을 아는 사람은 없습니다. 아니, 업보는 이어지게 해 놓고 왜 기억은 안 이어지게 해 놓은 걸까요? 내가 이번 생에서 고생하는 이유를 알아야 개과천선의 기회를 가질 수 있지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이를 반드시 이용했을 것이다』펜로즈는 양자역학을 이용해야 이런 문제가 해결된다고
주장
했다. 구체적으로 뇌세포의 미세소관을 양자 중첩이 일어나는 곳으로 지목했다. 여기에 대한 주류학계의 반응은 냉랭하다. 양자 중첩이 인간의 의식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한다는 어떤 실험적 증거도 아직 ... ...
INTRO. Y의 몰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남성성도 현대 사회에서 크게 의미가 사라지고 있다. 그래서 기자는 이 기사를 통해 감히
주장
한다. 이제는 Y가 ‘몰락’하는 시대라고.▼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Y의 몰락PART 1.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PART 2.Y가 사라진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즉 Y 염색체가 단순히 자손 번식을 위한 수단만은 아니었다는
주장
이다. 더구나 이 유전자들은 X 염색체에 있는 유전자와 짝(상동)을 짓고 있어 매우 안정돼 있다. 그러나 Y 몰락설은 여전히 유효하다. Y 염색체에서 발견된 핵심 유전자의 수가 아직 적기 때문이다. 그레이브즈 ...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급진적이어서 현실에서 실현되지는 않았다. 다만 그가 한창 초고층 계획도시를
주장
하던 시기에 미국의 맨해튼이나 시카고에 초고층 건물이 막 들어서고 있었다. 그렇다면 이 건물들은 그의 이상과 관련이 없을까. 이런 건축물에는 르코르뷔지에의 또 다른 아이디어가 빠져 있다. 바로 녹지다. ... ...
[과학뉴스] 아침형만 대접받는 피곤한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일부 지역에서 새로 실시되는 9시 등교를 놓고 논란이 한창이다. 이런 저런
주장
이 많지만, 10대 학생들의 생활리듬이 소위 ‘아침형’에서 ‘저녁형’으로 바뀌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는 대체로 동의하는 것 같다. 또 어떤 점이 쟁점일까. 48쪽에서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자.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