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의
요구
클레임
청구
진술
옹호론
역설
d라이브러리
"
주장
"(으)로 총 4,725건 검색되었습니다.
뇌과학으로 해결하자! 굿바이 학교폭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뇌교육 전문가인 이화영 박사는 명상을 통한 뇌교육으로 학교폭력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
했다. 이 박사는 인천 도화기계공업고등학교에서 아이들에게 벌을 주는 대신 명상을 하게 했다. 머릿속의 잡생각을 없애고 편안한 생각을 하거나, 앞으로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이룬 모습을 상상하는 것이다.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
수학동아
l
2014년 09호
발생했고, 이로 인해 너울성 파도가 상승해 평소보다 빙하가 멀리 떠내려왔다고
주장
했다. 그 결과 타이타닉의 항로에 빙하가 증가해 타이타닉호와 충돌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실제로 슈퍼문이 일어날 때는 지구와 달 사이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달의 인력이 강해져 조수간만의 차가 평소보다 ... ...
사카린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근거도 없이 부당한 이익을 챙기기 위한 노이즈 마케팅이나 옐로 저널리즘의 황당한
주장
보다는 식약처의 전문성과 독립성을 신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
100m달리기 10초벽 깨려면 큰허리근 키우고 중력을 역이용하라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것이다. 신경과 근육이 모두 이상적으로 작동한다면 0.075초의 반응시간이 가능하다는
주장
도 있다. 일부 선수들은 연습에서 반응시간이 0.1초보다 빨라 실전에서는 일부러 반응속도를 늦추는 경우도 있다. 그래도 당분간 0.1초라는 기준은 변하지 않을 테니 재빠르되 너무 급하지 않게 뛰어나와야 ... ...
❷ 일반상대성이론 - 절친 수학자가 열어준 아인슈타인의 기적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동안이나 민코프스키의 연구를 무시했고요. 우여곡절 끝에 아인슈타인은 민코프스키의
주장
을 받아들이게 되고, 4차원 시공간 기하학은 일반상대성 이론의 토대가 됩니다.그로스만과 리만 기하학4차원 시공간과 함께 일반상대성이론 탄생에 결정적 기여를 한 수학이론이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 ...
큰빗이끼벌레, 너 정말 억울하니?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가뭄이 심해 부영양화가 더 심해졌다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1차원인은 ‘보’라고
주장
하고 있다. 이현정 국토환경연구소 박사는 “시설 투자로 하천의 총인(부영양화의 원인 물질) 유입량이 줄어들고 있는데도 녹조가 늘고 있다”며 “유속 저하가 주요 원인”이라고 말했다.큰빗이끼벌레의 ... ...
❸ 양자역학 - 행렬 곱셈으로 양자 운동을 계산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시작했습니다.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수학자보른은 하이젠베르크와는 전혀 다른
주장
을 하던 에르빈 슈뢰딩거의 이론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슈뢰딩거는 입자보다 는 파동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려고 했고, 그래서 양자도약 같은 불연속적인 에너지 개념을 받아들이지 못했지요. 1925년 크리 스마스 ... ...
심장이 예뻐 보일 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무제’인 이유는 예술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논문과 학회를 통해 언제나 자기
주장
을 하던 신경과학자가 입이 무거운 사진작가로 다시 태어난 것이다. 길랏 박사의 이야기를 e메일 인터뷰로 들어봤다. 과학자가 왜 갑자기 사진작가라는 새로운 직업에 도전했을까. 사실 길랏 박사는 13살에 ... ...
다시 읽는 난중일기 거북선 정말 철갑선이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주장
이 계속 나오면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오. 아무래도 철갑선이라는
주장
과 아니라는
주장
의 이야기를 한 번 들어볼 필요가 있겠구려.철갑선이 아니다!첫째, 철을 덮었다는 문헌적 증거가 없다.이순신의 조카인 이분(李芬)이 쓴 이순신 전기에서 거북선에 대한 설명이 나와요. ‘(중략) … 크기는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세계수(?)학자대회를 꿈꾸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안에서의 각종 거리가 의외로 작아서 ‘좁은 세상’을 이룬다는 이론이 복잡계 과학에서
주장
되기도 한다. 세상 모든 사람들의 두 명 사이의 친분거리가 6 남짓이라는 추측도 있다.예를 들자면 나는 세계수학자대회 조직위원장인 박형주 교수와 오바마 대통령 사이의 친분거리가 4 이하라고 비교적 ... ...
이전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