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용"(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화 뉴스] 버섯으로 썩힌 나무에서 전기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3월 10일, 스위스 취리히연방공학대학교 잉고 버거트 교수팀은 썩은 나 무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고 발표했어요. 평소 나무 내부는 음전하와 양전하가 전기적 ... “썩히지 않은 나무보다 55배 많은 전류가 흐른다”며 “바닥에 설치해 발 전소처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어요 ... ...
- [4컷 만화] 금을 넣은 렌즈로 색각 이상을 교정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연구팀은 금속 입자가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반사하는 원리를 활용했어요. 금 입자의 크기를 변화시키면서 실험한 결과, 지름이 40nm일 때 다른 빛을 차단하지 않으면서 520~580nm의 빛만 반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연구팀은 금 입자를 콘택트렌즈의 재료인 하이드로겔에 섞어서 ... ...
- [연중기획] 인공지능 교과서 훑어보기 1탄수학동아 l2021년 07호
- 기온과 강수량, 미세먼지 농도 등 한국의 날씨와 관련된 블록 모음도 있습니다. 이를 활용해 날씨를 알려주는 인공지능을 만들어보세요! 정답은 7월 20일 폴리매스 홈페이지에 공개됩니다. 미션 1과 미션 2 중 하나를 골라 멋진 인공지능을 만들어준 친구 2명을 뽑아 보드게임을 드립니다 ...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수도 있죠. 이런 XAI를 통해 사람과 AI가 상호작용하게 된다면, 실생활에서 AI를 훨씬 더 잘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문제 밑면이 사각형인 사각뿔을 꼭짓점 사이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론을 이용해 3차원 그래프로 나타내보자.★ 폴리매스 홈페이지→[주니어 폴리매스]→ ... ...
-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점도 이들 강 사이의 공통점이다.하지만 모든 강은 위치한 지역의 기후와 지형, 인간의 활용에 따라 각기 다른 모습과 특성을 보인다. 특히 요즘 같은 여름철의 한강은 여느 강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이 나타난다. 본래 한강은 퇴적지 발달에 유리한 강한반도는 동아시아 몬순 기후대 영향권에 ... ...
- [한페이지 뉴스] 현미경 없이 현미경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조직 샘플을 얻어 염색한 뒤 현미경으로 관찰해 질병을 진단한다”며 “(식스코프를 활용하면) 조직 샘플을 마치 3차원 공간 좌표처럼 읽어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다”고 밝혔다 ... ...
- [논문탐독] 카메라 단 한 대로 보행자 찾는 자율주행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높고 오르막길 등 경사진 곳이 있으며 과속방지턱이 존재하는 변화무쌍한 실제 도로에서 활용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는 도로 주행 상황에서 보행자의 경로를 자동차의 경로와 분리하는 등, 세부 조건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보행자의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펠티에 소자로 만드는 작고 소중한 에어컨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흘리면 붙인 면에서 열이 발생하거나 흡수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죠. 반도체를 활용하면 이 현상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 원리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를 ‘펠티에 소자’라고 부릅니다.반도체는 크게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로 나뉩니다. P형 반도체에는 전자가 들어갈 자리인 정공이 있고, ... ...
- [DGIST@융복합 파트너]리튬이온배터리 전성시대 그 이후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2~3배가량 높일 수 있다”며 “1가 이온이 되는 리튬 대신 2가, 3가 이온의 금속 소재를 활용하는 것이 그 방법”이라고 설명했다.리튬이온배터리가 충·방전될 때는 액체 전해질에 포함된 리튬이온이 양극과 음극을 오가며 전자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충전시에는 리튬이온이 음극으로 갔다가 ...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넘치는 음식물 쓰레기 석탄 대체 연료가 되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열분해하는 시간을 줄이고, 또 열분해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바이오가스를 다시 활용하는 방식으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무엇보다 음식물 쓰레기를 태울 수 없다는 규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음식물 쓰레기를 소각할 수 없다는 규제가 있어서,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