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용"(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더 작고 더 정밀하게! 진짜 정확한 지도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실시간 기상정보와 결합해 미세먼지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등의 디지털 트윈*에도 활용될 수 있답니다. *용어정리디지털 트윈 : 컴퓨터에 현실과 똑같은 환경을 만들고, 모의실험을 통해 현실의 상황을 예측하는 기술 ... ...
- [기획] MS부터 일론 머스크까지,탄소 감축에 돈을 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기업의 ESG 성적은 기업이 오랫동안 살아남는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된다”고 말했어요. 과거에는 기업이 돈을 많이 벌수록 지속가능성이 컸던 반면, 최근에는 ESG 경영도 잘해야 한다는 거예요. 실제로 미국의 500개 대형기업 중 2005년~2015년 파산한 기업의 90%는 그 전 5년간 ESG ... ...
- [통합과학 교과서] 심봉사, 다시 눈이 나빠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연구를 이끈 티안구 연구원은 “이 메타 렌즈는 스마트폰이나 드론 등 다양한 곳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에필로그“답은 볼록렌즈였어요! 렌즈의 초점거리가 안 맞았던 거예요!”꿀록 탐정의 설명을 들은 심봉사는 가슴을 쓸어내렸어요.“휴우. 제 눈이 또 잘못된 건 ... ...
- [특집] 새로운 화폐, CBDC의 등장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코인을 얻기 위해 채굴할 필요도 없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공개키와 암호키를 활용한 전자서명 방식으로 블록을 생성한다. 오 교수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참여자는 보통 20~30곳으로 제한하기 때문에 모두에게 공개하는 퍼블릭 블록체인보다 속도가 빠르다”며 “일상에서 발생하는 ... ...
- [연중기획] 인공지능 교과서 훑어보기 1탄수학동아 l2021년 07호
- 기온과 강수량, 미세먼지 농도 등 한국의 날씨와 관련된 블록 모음도 있습니다. 이를 활용해 날씨를 알려주는 인공지능을 만들어보세요! 정답은 7월 20일 폴리매스 홈페이지에 공개됩니다. 미션 1과 미션 2 중 하나를 골라 멋진 인공지능을 만들어준 친구 2명을 뽑아 보드게임을 드립니다 ... ...
- [게임 디자인 씽킹] 독창적인 게임 세계를 창조하는 방법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초현실주의 사진작가인 스웨덴의 에릭 요한슨은 디지털 사진 기술과 컴퓨터 그래픽을 활용한 데페이즈망 기법으로 상상력 넘치는 작품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데페이즈망 기법을 적용해 직접 게임 세계를 만들어보면 어떨까요? 마그리트나 요한슨처럼 기존 초현실주의 작가의 작품에서 ... ...
- 미래│인간의 영향으로 달리 흐르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상태에서는 리튬-7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리튬-6이 소량 존재한다. 하지만 배터리 등으로 활용할 때엔 리튬-6의 농도가 높아진다. 연구 결과 한강이 서울을 지날 때 리튬-7의 농도가 크게 떨어지는 현상이 확인됐다. 류 교수는 폐배터리나 양극성 장애 치료제에 쓰인 리튬이 한강에 흘러들었을 것이라고 ... ...
- 더 작게 더 빽빽하게│ ‘초고집적 반도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KrF, 248nm 파장)과 플루오린화아르곤(ArF, 193nm 파장)이 개발돼 선폭을 줄이는 데 활용됐다. 그러나 ArF도 10nm급 반도체가 한계로 여겨졌다.이런 상황에서 2017년 네덜란드의 반도체 장비 기업인 ASML에서 극자외선(EUV)을 이용하는 장비를 출시했다. EUV의 파장은 13.5nm로 ArF의 14분의 1 수준이다. EUV를 ...
- [과동 키즈] 쿠키처럼 달콤한 과학 이야기를 당신에게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혹시 유튜버 해 볼 생각은 없어요?” 당시 나는 유튜브 콘텐츠를 수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학생들에게 과학 공부의 동기를 부여하고 물리학이 계산만 하는 지루한 학문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였다. 내가 교사로 활동했던 당시에는 국내에 과학 채널이 거의 없었다. 그때 수업자료로 ...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 넘치는 음식물 쓰레기 석탄 대체 연료가 되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열분해하는 시간을 줄이고, 또 열분해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바이오가스를 다시 활용하는 방식으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무엇보다 음식물 쓰레기를 태울 수 없다는 규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음식물 쓰레기를 소각할 수 없다는 규제가 있어서,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