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이형
변질
변환
변전
변이
이상
뉴스
"
변형
"(으)로 총 1,397건 검색되었습니다.
노화치료시대 열린다
2015.12.07
년 동안 당뇨병 증상을 완화하는 용도로 쓰인 식물 코트스루(사진)의 유효성분을 살짝
변형
한 분자다. - 위키피디아 제공 메트포르민은 미 국립암연구소가 검토했던 열여섯 개 약물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여러 동물실험에서 수명연장효과가 관찰됐다. 바질라이 교수가 라파마이신 대힌 ... ...
비만 아빠에게서 비만유전자 가진 자녀 태어난다
2015.12.06
그대로지만 후천적인 습관과 환경 변화 등으로 DNA를 둘러싼 단백질 표면에 화학적
변형
이 일어나거나 유전자의 활성 여부를 결정하는 DNA메틸화가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분석 결과 DNA를 둘러싼 단백질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뇌 발달과 식욕 조절 관련 유전자에서 메틸화로 인한 차이가 ... ...
“미국에서 승인된 GM 연어, 캐나다는 아직”
2015.12.03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주관으로 열린 ‘LMO(Living Modified Organisms·유전자
변형
생물체) 포럼’에서 만난 로버트 데블린 캐나다 해양수산청 생명공학양식규제센터 연구관은 “캐나다는 다양한 실험 환경에서 GM 연어를 양육한 데이터를 더 축적한 뒤 안전성이 입증되면 허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육질 좋은 ‘GM 한우’ 식탁에 오를 수 있을까
2015.12.02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주관으로 열린 ‘LMO(Living Modified Organisms·유전자
변형
생물체) 포럼’에서 “육질이 좋은 한우뿐만 아니라 광우병에 걸리지 않는 한우도 개발 중”이라며 “식용 GM 동물 개발에 필요한 유전자 교정 기술은 모두 완비된 상태”라고 말했다. ● 시작은 GM 연어와 별 차이 ... ...
마구 접고, 마구 구겨도 끄떡없는 태양전지
2015.12.01
하지만 대부분의 태양전지에 쓰이는 플라스틱 기판과 인듐 주석 산화물(ITO) 전극은
변형
이 일어나면 쉽게 깨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하기 힘들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플라스틱 기판 대신 형상 기억 고분자를 평평하게 만들어 태양전지 틀로 활용했다. ITO 전극도 투명한 ... ...
[Health&Beauty]"겁내지 마세요, 인공관절은 편한 벗이죠"
동아일보
l
2015.11.25
1년에 10만 건 정도 이뤄진다. 그만큼 수술 효과와 환자 만족도가 높다. 또 물렁뼈의
변형
으로 다리를 구부리는 것이 힘든 경우 수술을 통해 운동범위를 회복해줌으로써 자유로운 일상생활도 가능해진다. 수술 후 무릎을 제대로 굽히지 못할까 봐 걱정이 돼 수술을 피하는 환자도 있는데, 개인의 ... ...
[과학동아 단독] 미국천문학회 “송유근 논문 철회”
과학동아
l
2015.11.25
다른 논문의 일부를 적절한 인용 없이 재발행하는 것을 말한다. 그대로 인용됐든지,
변형
됐든지, 다른 말로 바뀌었든지 관계없이 표절로 인정한다. 표절은 심각한 윤리위반이며, 이전에 출판된 글을 재사용하는 것은 저작권 위반으로 여겨진다. 이전 저자의 재사용도 포함한다(자기 표절). 다른 ... ...
[신나는 공부]대입전문가 이종서 소장에게 듣는 ‘겨울방학 최상위권 되기 전략’
동아일보
l
2015.11.24
‘효율적인 문제 풀이방법’까지 완전히 자신의 것으로 만든 학생만이 고난도로
변형
된 문제들을 풀어낼 수 있는 것이다. 이 소장은 “실전에서 점수가 나오지 않는 것은 ‘아는 개념인데 자꾸 실수해서’가 아니라 진정한 실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잘라 말했다. “문제 하나를 풀더라도 오래 ... ...
지각이 땅속에 들어가면 말랑해진다?
2015.11.24
해양지각이 침강 과정에서
변형
되기 힘들다는 기존 이론을 깨고 상부 맨틀에 의해
변형
될 만큼 충분히 약하고 부드럽게 바뀐다는 사실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 ...
장미 줄기로 전기회로 만들었다
2015.11.22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적인 기능을 구현하는 데도 성공했다. 또 다른 고분자 물질인
변형
‘PEDOT’를 잎에 흡수시킨 결과 PEDOT가 잎맥 내에서 전기화학적 픽셀 역할을 하면서 픽셀에 전압을 가하자 잎맥의 색깔이 변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식물의 성장을 조절하거나 식물을 지속가능한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