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이형
변질
변환
변전
변이
이상
뉴스
"
변형
"(으)로 총 1,397건 검색되었습니다.
입고 움직이면 방향까지 파악하는 똑똑한 센서
2015.07.14
고승환 교수(왼쪽)와 홍석준 박사(오른쪽). - 서울대 제공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 같은 공상과학(SF) 영화에서는 손가락 동작만으로 모 ... 레터스(Nano Letters)’ 7일자에 게재됐다. 주름진 나노기판 2개를 교차해 만든
변형
센서.
변형
의 정도뿐 아니라 방향까지 파악할 수 있다. - 서울대 ... ...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
2015.07.13
흡수할 수 있게 만든다. 물론 식물도 거저먹는 건 아니고 미생물을 위해 뿌리조직까지
변형
시켜 미생물의 집이라고 할 수 있는 뿌리혹을 줄줄 달고 있고 미생물에게 영양분을 공급하기도 한다. 아무튼 콩과식물만이 미생물과 이런 놀라운 공생체계를 구축했다는 것이다. 화학비료가 널리 퍼지기 ... ...
자일리톨 만드는 ‘슈퍼 미생물’ 개발
2015.07.02
다양한 합성수지와 고분자물질의 원료를 만든 데 쓰인다”며 “이 미생물의 유전자를
변형
시키면 바이오디젤이나 플라스틱 등 다양한 물질을 만드는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06.29
임의로 정한 뒤, 생물 진화의 돌연변이나 교배 등에서 차용한 수학 모델로 해를 조금씩
변형
한다. 바꾼 해가 최종 목표에 얼마나 가까워졌는지 확인한다. 이 과정을 반복해 점점 더 좋은 해들을 만들어 낸다. 특정 능력이 특출난 약한 인공지능인 애플 ‘시리’와 모든 면에서 인간보다 뛰어난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아깝다는 생각이 든다. 사실 현대의학에 쓰이는 약물의 60%는 천연물 또는 천연물을 살짝
변형
한 분자이고 대부분 식물에서 얻은 것이다. 2002~2003년 사스 사태 때 중의학과 서구의학을 조합한 치료가 효과적이었다는 내용을 담은 세계보건기구(WHO)의 보고서 표지. 194쪽에 이르는 보고서는 ... ...
생활 속 버려지는 자기장으로 전기 만든다
2015.06.16
압력을 받으면 전기가 생기는 초소형 압전소자와 자기장과 만나면 모양이 변하는 자기
변형
재료(자왜재료)를 섞어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 소재를 이용해 소형 컴퓨터 시스템 제어에 필요한 센서 장치를 구동시키는 데 성공했다. 또 이렇게 얻은 전력을 모아 발광다이오드(LED)에 불을 ... ...
탄소 대신 실리콘 쓴 리튬이온전지 좋긴 한데…
2015.06.08
확인할 수 없었다. 연구진은 입자가속기를 이용해 재료 내부에서 발생하는 전체적인
변형
을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 그 결과 전지를 충전할 때 실리콘 음극이 팽창하는 동안 충전 전도에 따라 금속 틀에 힘이 얼마나 작용하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조 연구원은 “충방전 시 금속 ... ...
[메르스 업데이트] 세계보건기구(WHO) “메르스, 한국서 감염력 변화 없다”
2015.06.03
확산되고 있는 메르스 바이러스 때문에 학교, 유치원 등 곳곳에서는 휴업을 실시하고 있다. - 동아일보DB “처음 3일 동안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염기서열 분석을 마쳐야 이번 메르스가 변종인지 알 수 있다.” 한국이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에 유독 취약하다는 괴담은 ... ...
어벤져스 : 에이지 오브 렙타일
과학동아
l
2015.05.28
갑피 구멍을 통해 거북의 살을 꺼내 먹을 수가 있다. 그래서 일부 거북은 갑피의 일부를
변형
시켜 구멍마저 완전히 막을 수 있는 능력을 개발했다. 늪거북류의 일종인 상자거북은 겉모습은 다른 거북들과 별 다를 게 없지만, 복갑(배 껍질) 중앙에 마치 경첩과 같은 구조가 있어 복갑의 앞뒤를 ... ...
금속 가공공장 맏형 ‘프레스’ 성능 큰 폭으로 올렸다
2015.05.26
정밀하게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정밀도 역시 높아져 금속을 성형한 후 좌우 양 끝의
변형
량(양단 편심량)을 9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 이내가 되도록 제어하는 데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존의 프레스 기기는 가격이 비싸면서 크고 무거운 모터 1개를 이용했기 때문에 프레스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