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이형
변질
변환
변전
변이
이상
뉴스
"
변형
"(으)로 총 1,397건 검색되었습니다.
비타민 D 결핍증, 부족할 경우 ‘뼈
변형
질환 발생’…예방법은?
동아닷컴
l
2014.12.22
결핍증은 칼슘과 인의 대사를 좌우하는 호르몬인 비타민D가 부족해 성장 장애 또는 뼈의
변형
이 생기는 질환이다. 특히 비타민D는 몸에선 만들어지지 않고 햇빛을 쬐면 생기는 영양소다. 비타민 D 결핍증이 늘어난 이유는 그만큼 야외활동이 줄어들었다는 의미가 된다. 비타민D는 우유나 유제품 버섯 ... ...
1000분의 1초만에 안경 도수가 바뀐다고?
2014.12.19
센터장은 “전압으로 렌즈 두께를 조절하는 원천 기술 개발은 거의 끝났다”면서 “렌즈
변형
에 걸리는 시간이 1000분의 1초 정도로 매우 빠른 편”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이 변신렌즈에 이어 최근 주목하는 아이템은 ‘변신액정’이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에서 문자메시지를 쓸 때 자판에서 ... ...
우리가 걸을 때 쓰는 근육 몇 개나 될까
2014.12.15
장애인은 뇌에 손상을 입고 태어난다. 뇌성마비 장애인의 가장 큰 불편은 근골격의
변형
으로 잘 걸을 수 없다는 점이다. 정상인과의 구조적 차이에서 발생한 비정상적인 보행은 정형외과 수술을 통해 보정하고 있지만 실제로 걸을 때 각 근육들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알 수 없어 그간 수술 결과를 ... ...
매일 타우린 30mg 먹었더니 치매가…
2014.12.14
활성화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김 연구원은 “인체에 무해한 타우린의 화학구조를
변형
해 약효가 증진된 신물질을 만들 것”이라며 “타우린이 초기 알츠하이머병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된 만큼 중증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실험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 ...
줄기세포 치료제 부작용 없앤다
2014.12.08
조절한다는 사실을 처음 알아낸 것이다. 연구진이 밝혀낸 줄기세포 성잘 조절 원리.
변형
된 배아줄기세포전사인자가 성장조절 RNA의 성숙을 방해하는 경우 줄기세포의 성장과 분화가 억제된다(오른쪽). - KAIST 제공 연구팀은 이 원리를 이용하면 부작용이 없는 줄기세포 치료제나 새로운 항암제 ... ...
‘합금만 쓸모 있다’던 상식 깬 순수 타이타늄 등장
2014.12.03
재료연구소 제공 연구팀은 타이타늄에 값비싼 원소를 넣는 대신 타이타늄을 고온에서
변형
시키는 방법을 택했다. 이때 타이타늄의 미세 구조는 nm(나노미터) 단위로 줄어든다. 금속을 이루는 성분의 미세 구조가 작을수록 금속의 강도는 강해지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공정을 거친 ... ...
인간과 인간의 교집합은 생쥐?
2014.11.23
정도는 유사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하지만 전사인자를 조절하는 부분, 크로마틴의
변형
등에서는 사람과 많은 차이가 있었다.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피부 표면이 장식했다. 굵은 주름과 거친 피부결 때문에 코끼리의 피부가 연상되지만 사실 이 피부는 사람의 손이다 ... ...
초기 배아에서 마이크로RNA 조절 현상 최초 규명
2014.11.23
마이크로RNA 끝 부분에 염기의 하나인 아데닌(A) 꼬리가 붙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 이
변형
으로 마이크로RNA의 양이 조절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연구진은 초파리 실험에서 마이크로RNA에 아데닌 꼬리를 달아주는 것은 ‘위스피(Wispy)’ 효소라는 점도 추가로 알아냈다. 김 단장은 “지금까지 ... ...
사람 살리는 쥐(GEM)의 독백
2014.11.21
- 국가마우스표현형분석사업단 제공 찍찍, 나는 생쥐다. 정확히 말하면 유전자
변형
쥐(GEM). 부모가 누군지는 모른다. 실험실에서 만든 수정란에서 태어났다고만 할 뿐. 내 이름은 1, 2, 3 이런 숫자로만 존재한다. 대신 연구원들은 나를 ‘슈워제네거’라고 부른다. 불룩불룩한 근육 때문인데 ... ...
[전문가들에게 물어봤습니다, 수능 생명과학II 8번 논란]
2014.11.17
식이다. 하지만 젖당이 유일한 에너지원이라면 상황이 바뀐다. 젖당이 억제 단백질을
변형
시키기 때문에 RNA 중합 효소가 방해를 받지 않고 프로모터와 결합하면서 그 결과 구조 유전자가 활성화돼 젖당 분해 효소가 만들어진다. 이 모든 과정에서 관여하는 유전자 집단을 ‘젖당 오페론’이라고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